Papers by Daeseung Park
보건사회연구, 2023
Nursing professionals are currently regulated by the Medical Act in South Korea. Separating nursi... more Nursing professionals are currently regulated by the Medical Act in South Korea. Separating nursing regulations into an independent Nursing Act has been a fiercely debated issue. Both sides of the debate cit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to support their arguments. However, the legislation of an independent nursing law depends on the health legal system of each country. Each legal system operates around certain principles, yet these principles have been mostly neglected in the health policy debate. This study carries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nursing institutions, particularly the legal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UK), France, and South Korea. Through this method, we aim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Korean nursing institution. The UK model legislates independent acts or statutory instruments for nursing professionals as well as other health professionals. The French model unifies regulations for all health professionals under a single Code. Despite such formal differences, these two models share several commonalities. First, the health legal system is systematic and consistent. Second, specific rules regulate the scope of work for each health professional. Third,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are not hierarchical and are instead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operation, delegation, and responsibility. These common features of the UK and French model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constructing the Korean nursing institution.
간호법은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독 간호법 찬성과 반대 입장 모두 해외 사례를 주요 근거로 제시한다. 그러나 단독 간호법 유무는 해당 국가의 법체계에 의존한다. 중요한 문제는 각 국가의 보건 법체계가 어떤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프랑스, 한국의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간호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영국 모델은 보건 직종 각각을 규율하는 독립적인 법령들로 구성된다. 반면, 프랑스 모델은 하나의 법전에서 모든 보건 직종을 규율한다. 이러한 형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모델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보건 법체계가 체계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각 보건 직종의 업무 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된다. 셋째, 보건 직종 간 관계가 위계보다는 협업・위임・책임의 원리에 기초한다. 이 세 가지 원칙은 한국의 간호 제도를 재구성할 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안과밖 제53호, 2022
전문 보기: http://sesk.net/bbs/board.php?bo_table=sub2_1&wr_id=919&sca=53%ED%98%B8
"Conditions of ... more 전문 보기: http://sesk.net/bbs/board.php?bo_table=sub2_1&wr_id=919&sca=53%ED%98%B8
"Condition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Laclau and the permanent crisi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s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politics and society, by elaborating the concept of “pure space of antagonism”. This concept i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s and interpretations of Ernesto Laclau’s texts about “empty signifiers” and populism. We define it as an abstract state in which exterior conditions of antagonism, especially what Laclau called “institution” and “conceptual determination,” are completely removed. South Korean social fields that are close to such a state, reveal an extreme form of social antagonism, the effects of which were not expected by Laclau. He considered antagonistic frontiers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people” who stand against an oppressive, hierarchical or not-well-structured institutional system. On the other hand, we pay attention to destructive effect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which are made when a non-antagonistic political community disappears or is not separated from social antagonism. Antagonistic frontiers can constitute the people against elites and, as we can see in South Korea, they can also make an underdog exclude other underdogs or minorities. Therefore, we must establish a space proper to institutionalised politics, which does not depend upon antagonistic and hegemonic space.
문학과지성사, 2020
문학과사회 하이픈 (2020년 가을)
책소개 및 목차 : http://moonji.com/book/25410/
AUC INTERPRETATIONES, 2018
The central problem of this text deals with the concept of counter-anthropology developed by Edua... more The central problem of this text deals with the concept of counter-anthropology developed by Eduardo Viveiros de Castro. The purpose is to reconceptualize the anthropological comparison from a decolonial point of view. The new task that the Brazilian anthropologist assigns to anthropology in Cannibal Metaphysics is a "permanent decolonization of thought", which will only be realized when anthropology establishes an alliance with others' philosophies. He brings to the forefront of anthropology Amerindian perspectivist multinaturalism coming from the encounter between a "certain becoming-Indian of Deleuze-Guattari' s philosophy" and a "certain becoming-Deleuzian" of structural anthropology. By reversing Western multiculturalism and identifying the interspecific difference to the intercultural difference, multinaturalism makes it possible above all to redefine "comparison"-the emblematic method of Western anthropology-with its fertile concepts of translation and equivocation. In this text we try to show that, insofar as counter-anthropology is a power of becoming-other and transforming Western anthropology, it is different from some "post-colonial" projects that reproduce images of the anthropological mirror. Moreover, counter-anthropology cannot be identified with a recent theoretical orientation, the so-called "ontological turn", since it is not about a plurality of ontologies, but about a multiplicity of perspectives, their becomings and their equivocal relationships.
https://karolinum.cz/en/journal/auc-interpretationes/year-8/issue-2/article-8122
한글 번역 :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72
Thèse by Daeseung Park
l'Université Toulouse 2 - Jean Jaurès, 2020
Abstract (en)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elements of the strategy of emancipation from Del... more Abstract (en)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elements of the strategy of emancipation from Deleuze and Guattari’s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t is about showing how the "becoming-minoritarian" developed in A Thousand Plateaus works as a revolutionary "minoritarian strategy". Its opposite is the "majoritarian strategy" represented by the Gramscian theory of "hegemony". In order to define these two strategies and formulate their "antinomy", we first take Balibar’s reflection on "strategies of civility" as a guide for research. The thesis has three momen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oncept of "strategy": from the 12th Plateau of A Thousand Plateaus on the "War machine", we bring out the concept of "pure strategy" which distinguishes the two strategies in terms of the concept of strategy. In the Second part, the Gramscian theory of subalternity and the "historical bloc" is translated into the Guattaro-Deleuzian perspective, so that we conceive of subalternity and minority as constituting a "block of becoming". Thus, it turns out that Gramsci’s strategy consists of a double movement of hegemony and becoming-subaltern. This transl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ategies as an antinomic coexistence. First, there is an impossibility of articulating between them: a minor social group will declare in the majoritarian strategy that "we are all human", while a revolutionary power of the minoritarian strategy consists in asserting that "we are not human, neither are you, and we all become savage, animal, inhuman and molecular". However, these two antinomic strategies coexist in the current struggles of minorities against the world capitalist axiomatic. Finally, the Third part examines problems that arise from this coexistence.
Résumé (fr)
La présente thèse se propose d’examiner les éléments de la stratégie d’émancipation dans la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de la minorité. L’enjeu est de montrer comment le « devenir-minoritaire » élaboré dans Mille plateaux opère comme « stratégie minoritaire » révolutionnaire. L’opposé de celle-ci est la « stratégie majoritaire » que représente la théorie de Gramsci sur l’« hégémonie ». Afin de définir ces deux stratégies et de formuler leur « antinomie », nous prenons d’abord la réflexion de Balibar sur les « stratégies de civilité » pour guide de la recherche. Cette thèse a trois moments. La Première partie porte sur le concept de « stratégie » : du 12ᵉ des Mile plateaux sur la « machine de guerre », nous dégageons le concept de « pure stratégie » qui distingue les deux stratégies au niveau du concept de stratégie. Dans la Deuxième partie, la théorie gramscienne de la subalternité et du « bloc historique » est traduite en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si bien que nous concevons la subalternité et la minorité comme constituant un « bloc de devenir ». Il s’avère ainsi que la stratégie gramscienne est constituée par un double mouvement de l’hégémonie et du devenir-subalterne. Cette traduction nous permet de percevoir le rapport entre les deux stratégies comme une coexistence antinomique. Il y a d’abord une impossibilité d’articuler entre celles-ci : un groupe social mineur déclarerait dans la stratégie majoritaire que « nous sommes tous humains », tandis que la puissance révolutionnaire de la stratégie minoritaire consiste à affirmer que « nous ne sommes pas humains, vous ne l’êtes pas non plus, et on devient tous sauvage, animal, inhumain et moléculaire ». Toutefois, ces deux stratégies antinomiques coexistent dans les luttes actuelles des minorités contre l’axiomatique capitaliste mondiale. Enfin, Il s’agit dans la Troisième partie d’examiner les problèmes qui se posent dans cette coexistence.
Books by Daeseung Park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아마존의 목소리, 2024
들어가며: 생태학적 위기에 맞선 가장 급진적인 비판의 목소리
1부.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 아이우통 크레나키
1.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more 들어가며: 생태학적 위기에 맞선 가장 급진적인 비판의 목소리
1부.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 아이우통 크레나키
1.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2. 꿈과 땅에 관하여
3.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인류
2부. 종말과 위기를 생각하는 방법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에 대한 후기 -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
세계의 종말, 그것은 백인들이다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기후재앙에 직면한 인류의 무능함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박이대승
3부. 원주민의 역-인류학
인간의 가장자리에서 던지는 브라질 원주민의 질문 - 박수경
이미지 껍질’ 개념의 비판적 역량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우리의 언어는 아름답고, 분명히 살아 있다”: 파우마리어 경연대회 (1) - 오야라 보니야
오월의봄, 2020
출판사 책소개.
오월의봄에서 선보이는 새로운 문고 시리즈 ‘오봄문고’의 두 번째 책. 지난 2019년 4월 11일은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이 확정된 날로 기억된다. 이... more 출판사 책소개.
오월의봄에서 선보이는 새로운 문고 시리즈 ‘오봄문고’의 두 번째 책. 지난 2019년 4월 11일은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이 확정된 날로 기억된다. 이는 1953년 9월 형법에서 낙태죄가 제정된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내려진 위헌 판결이었으며, “임신중단 비범죄화”를 오랫동안 외쳐온 여성운동 진영의 성과이기도 했다. 하지만 위헌 판결 이후 막상 달라진 것은 없었다. 위헌 판결과 동시에 임신중단을 둘러싼 논쟁은 공론장에서 자취를 감췄고, 낙태죄 조항이 효력을 상실하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새로운 입법안을 제시해야 하는 국회는 판결 이후 17개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대체 입법 논의를 시작하지 않았다.
이 책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의 문제를 토론하고 논의해야 했던 지난 1년 반, 오로지 침묵만이 감돌던 한국사회의 모습을 지적한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낙태죄 위헌의 최종 결정 유형인 헌법불합치의견의 심각한 논리적 모순에 있다. 저자에 따르면, 헌법불합치의견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여 임신중단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태아의 생명권” 개념을 끝내 유지함으로써 적지 않은 모순과 비합리를 만들어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오히려 임신중단에 관한 토론을 방해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 책은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와 “태아의 생명권”을 동시에 인정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함을 분명히 제시함으로써, 합리적 논쟁의 장을 구성하는 규칙을 마련하고자 한다.
미리보기 :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22633201
후마니타스, 2018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까스뜨루 지음.
박이대승, 박수경 옮김.
이 책은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로 요약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관점주의와 다자연... more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까스뜨루 지음.
박이대승, 박수경 옮김.
이 책은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로 요약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관점주의와 다자연주의는 경이로운 귀환의 존재론적 사례다. 흥미로운 교차란 들뢰즈와 레비-스트로스의 예상치 못한 만남을 말한다. 물론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도 서로 가로지른다. 원주민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 들뢰즈의 다양체와 강도의 철학, 레비-스트로스의 탈구조주의는 인류학의 “들뢰즈주의자-되기”와 들뢰즈, 과타리 철학의 “원주민-되기”에 의해 리좀적 다양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탈식민주의 기획들과 분명히 구별된다. 탈식민주의 이론가들은 서구가 비서구를 재현하는 방식을 비판하지만, 이런 “자기비판”의 관심은 여전히 “타자”가 아니라 서구 자신을 향할 뿐이다. 반면 이 책은 서구의 재현 체계에는 별 관심이 없다. 원주민의 관점주의를 관점주의에 따라 번역하기 ― 이것이 <식인의 형이상학>의 목표다.
이 책은 한국어 독자에게 실천적인 유용성을 제공한다. 많은 지식인들이 서구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질문을 제기해 왔다. 하지만 사유의 탈식민화는 “문화”와 “차이”라는 개념 자체의 재창조를 요구한다. 아마존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가 제안하는 “애매성”과 “번역”, 와그너가 다리비인과 함께 발견한 “발명”과 “관습” 등이 그런 개념 창조의 중요한 사례이자 안내자가 되어 줄 것이다.
미리보기: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896437309X
프랑스어-한국어 번역어 목록: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666
오월의봄, 2017
출판사 책소개.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공감 부족이 아닌 사회적 공통언어의 부재에서 찾는다. 갖가지 매체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공감’에 기초한 무수한... more 출판사 책소개.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공감 부족이 아닌 사회적 공통언어의 부재에서 찾는다. 갖가지 매체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공감’에 기초한 무수한 말들이 쏟아졌지만, 궁극적으로 그것이 고통을 호소하거나 증언하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에 이 책은 주목한다. 심지어 공감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적대’로 변했다. 피해자들이 보상의 권리를 주장하며 청와대로 행진하기 시작하자 ‘그들이 억지를 부려 한몫 챙기려고 한다’는 식의 여론이 훨씬 우세해진 것이다.
흔히 사회는 소수자에게 어서 짱돌을 던지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들이 진짜 짱돌을 던졌을 때, 과연 우리는 그들에게 등 돌리지 않을 수 있을까? 결국 소수자가 저항할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저항하는 소수자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이다.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약자란 언제나 ‘불쌍한 사람’이며, 불쌍하기 때문에 우리가 시혜를 베풀어줄 수 있는 무기력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개념 없는 사회’를 살아가는 소수자들에게 정치전략이 필요한 이유, 지극히 당연하고 뻔한 시민의 권리를 행사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소수자는 동정과 시혜의 대상이 아니라 권리의 주체이다. 소수자는 불우이웃이 아닌 ‘시민’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총 네 편의 강의를 통해 소수자가 사회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개념언어, 정치언어라는 말의 두 가지 경향을 다루는 사전 강의와 청년 담론을 분석하는 1강은 문제 제기에 해당하는 강의로, 한국 사회에 농후한 ‘개념 없음’의 상태를 비판한다. 2강 ‘소수자 사회’ 및 3강 ‘시민성의 재구성’에서는 약자의 고통을 논의할 수 있는 공동체의 언어를 본격적으로 구상한 뒤 구체적인 정치전략을 세운다. ‘소수자’와 ‘시민’이 바로 그런 공통언어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미리보기: https://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12530538
Papers, book chapters, book reviews by Daeseung Park
La Bête et l’Adversité, 2017
Photographies by Daeseung Park | 2017
Performance: Barata By AJASO
In La Bête et l’Adversité... more Photographies by Daeseung Park | 2017
Performance: Barata By AJASO
In La Bête et l’Adversité. ISBN: 978-2-94-0563-12-8
Geneva: MetisPresses, pp.82-85.
Conference Presentations by Daeseung Park
Texte de présentation pour le stage d’hiver 2018 du Master Erasmus Mundus EuroPhilosophie à l’U... more Texte de présentation pour le stage d’hiver 2018 du Master Erasmus Mundus EuroPhilosophie à l’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Texte d'intervention du 12 juillet 2023.
Parler les lieux. Ré-exister le commun. https://europhi... more Texte d'intervention du 12 juillet 2023.
Parler les lieux. Ré-exister le commun. https://europhilomem.hypotheses.org/11140
Uploads
Papers by Daeseung Park
간호법은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독 간호법 찬성과 반대 입장 모두 해외 사례를 주요 근거로 제시한다. 그러나 단독 간호법 유무는 해당 국가의 법체계에 의존한다. 중요한 문제는 각 국가의 보건 법체계가 어떤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프랑스, 한국의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간호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영국 모델은 보건 직종 각각을 규율하는 독립적인 법령들로 구성된다. 반면, 프랑스 모델은 하나의 법전에서 모든 보건 직종을 규율한다. 이러한 형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모델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보건 법체계가 체계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각 보건 직종의 업무 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된다. 셋째, 보건 직종 간 관계가 위계보다는 협업・위임・책임의 원리에 기초한다. 이 세 가지 원칙은 한국의 간호 제도를 재구성할 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Condition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Laclau and the permanent crisi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s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politics and society, by elaborating the concept of “pure space of antagonism”. This concept i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s and interpretations of Ernesto Laclau’s texts about “empty signifiers” and populism. We define it as an abstract state in which exterior conditions of antagonism, especially what Laclau called “institution” and “conceptual determination,” are completely removed. South Korean social fields that are close to such a state, reveal an extreme form of social antagonism, the effects of which were not expected by Laclau. He considered antagonistic frontiers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people” who stand against an oppressive, hierarchical or not-well-structured institutional system. On the other hand, we pay attention to destructive effect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which are made when a non-antagonistic political community disappears or is not separated from social antagonism. Antagonistic frontiers can constitute the people against elites and, as we can see in South Korea, they can also make an underdog exclude other underdogs or minorities. Therefore, we must establish a space proper to institutionalised politics, which does not depend upon antagonistic and hegemonic space.
https://karolinum.cz/en/journal/auc-interpretationes/year-8/issue-2/article-8122
한글 번역 :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72
Thèse by Daeseung Park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elements of the strategy of emancipation from Deleuze and Guattari’s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t is about showing how the "becoming-minoritarian" developed in A Thousand Plateaus works as a revolutionary "minoritarian strategy". Its opposite is the "majoritarian strategy" represented by the Gramscian theory of "hegemony". In order to define these two strategies and formulate their "antinomy", we first take Balibar’s reflection on "strategies of civility" as a guide for research. The thesis has three momen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oncept of "strategy": from the 12th Plateau of A Thousand Plateaus on the "War machine", we bring out the concept of "pure strategy" which distinguishes the two strategies in terms of the concept of strategy. In the Second part, the Gramscian theory of subalternity and the "historical bloc" is translated into the Guattaro-Deleuzian perspective, so that we conceive of subalternity and minority as constituting a "block of becoming". Thus, it turns out that Gramsci’s strategy consists of a double movement of hegemony and becoming-subaltern. This transl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ategies as an antinomic coexistence. First, there is an impossibility of articulating between them: a minor social group will declare in the majoritarian strategy that "we are all human", while a revolutionary power of the minoritarian strategy consists in asserting that "we are not human, neither are you, and we all become savage, animal, inhuman and molecular". However, these two antinomic strategies coexist in the current struggles of minorities against the world capitalist axiomatic. Finally, the Third part examines problems that arise from this coexistence.
Résumé (fr)
La présente thèse se propose d’examiner les éléments de la stratégie d’émancipation dans la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de la minorité. L’enjeu est de montrer comment le « devenir-minoritaire » élaboré dans Mille plateaux opère comme « stratégie minoritaire » révolutionnaire. L’opposé de celle-ci est la « stratégie majoritaire » que représente la théorie de Gramsci sur l’« hégémonie ». Afin de définir ces deux stratégies et de formuler leur « antinomie », nous prenons d’abord la réflexion de Balibar sur les « stratégies de civilité » pour guide de la recherche. Cette thèse a trois moments. La Première partie porte sur le concept de « stratégie » : du 12ᵉ des Mile plateaux sur la « machine de guerre », nous dégageons le concept de « pure stratégie » qui distingue les deux stratégies au niveau du concept de stratégie. Dans la Deuxième partie, la théorie gramscienne de la subalternité et du « bloc historique » est traduite en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si bien que nous concevons la subalternité et la minorité comme constituant un « bloc de devenir ». Il s’avère ainsi que la stratégie gramscienne est constituée par un double mouvement de l’hégémonie et du devenir-subalterne. Cette traduction nous permet de percevoir le rapport entre les deux stratégies comme une coexistence antinomique. Il y a d’abord une impossibilité d’articuler entre celles-ci : un groupe social mineur déclarerait dans la stratégie majoritaire que « nous sommes tous humains », tandis que la puissance révolutionnaire de la stratégie minoritaire consiste à affirmer que « nous ne sommes pas humains, vous ne l’êtes pas non plus, et on devient tous sauvage, animal, inhumain et moléculaire ». Toutefois, ces deux stratégies antinomiques coexistent dans les luttes actuelles des minorités contre l’axiomatique capitaliste mondiale. Enfin, Il s’agit dans la Troisième partie d’examiner les problèmes qui se posent dans cette coexistence.
Books by Daeseung Park
1부.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 아이우통 크레나키
1.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2. 꿈과 땅에 관하여
3.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인류
2부. 종말과 위기를 생각하는 방법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에 대한 후기 -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
세계의 종말, 그것은 백인들이다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기후재앙에 직면한 인류의 무능함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박이대승
3부. 원주민의 역-인류학
인간의 가장자리에서 던지는 브라질 원주민의 질문 - 박수경
이미지 껍질’ 개념의 비판적 역량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우리의 언어는 아름답고, 분명히 살아 있다”: 파우마리어 경연대회 (1) - 오야라 보니야
오월의봄에서 선보이는 새로운 문고 시리즈 ‘오봄문고’의 두 번째 책. 지난 2019년 4월 11일은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이 확정된 날로 기억된다. 이는 1953년 9월 형법에서 낙태죄가 제정된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내려진 위헌 판결이었으며, “임신중단 비범죄화”를 오랫동안 외쳐온 여성운동 진영의 성과이기도 했다. 하지만 위헌 판결 이후 막상 달라진 것은 없었다. 위헌 판결과 동시에 임신중단을 둘러싼 논쟁은 공론장에서 자취를 감췄고, 낙태죄 조항이 효력을 상실하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새로운 입법안을 제시해야 하는 국회는 판결 이후 17개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대체 입법 논의를 시작하지 않았다.
이 책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의 문제를 토론하고 논의해야 했던 지난 1년 반, 오로지 침묵만이 감돌던 한국사회의 모습을 지적한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낙태죄 위헌의 최종 결정 유형인 헌법불합치의견의 심각한 논리적 모순에 있다. 저자에 따르면, 헌법불합치의견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여 임신중단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태아의 생명권” 개념을 끝내 유지함으로써 적지 않은 모순과 비합리를 만들어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오히려 임신중단에 관한 토론을 방해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 책은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와 “태아의 생명권”을 동시에 인정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함을 분명히 제시함으로써, 합리적 논쟁의 장을 구성하는 규칙을 마련하고자 한다.
미리보기 :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22633201
박이대승, 박수경 옮김.
이 책은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로 요약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관점주의와 다자연주의는 경이로운 귀환의 존재론적 사례다. 흥미로운 교차란 들뢰즈와 레비-스트로스의 예상치 못한 만남을 말한다. 물론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도 서로 가로지른다. 원주민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 들뢰즈의 다양체와 강도의 철학, 레비-스트로스의 탈구조주의는 인류학의 “들뢰즈주의자-되기”와 들뢰즈, 과타리 철학의 “원주민-되기”에 의해 리좀적 다양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탈식민주의 기획들과 분명히 구별된다. 탈식민주의 이론가들은 서구가 비서구를 재현하는 방식을 비판하지만, 이런 “자기비판”의 관심은 여전히 “타자”가 아니라 서구 자신을 향할 뿐이다. 반면 이 책은 서구의 재현 체계에는 별 관심이 없다. 원주민의 관점주의를 관점주의에 따라 번역하기 ― 이것이 <식인의 형이상학>의 목표다.
이 책은 한국어 독자에게 실천적인 유용성을 제공한다. 많은 지식인들이 서구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질문을 제기해 왔다. 하지만 사유의 탈식민화는 “문화”와 “차이”라는 개념 자체의 재창조를 요구한다. 아마존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가 제안하는 “애매성”과 “번역”, 와그너가 다리비인과 함께 발견한 “발명”과 “관습” 등이 그런 개념 창조의 중요한 사례이자 안내자가 되어 줄 것이다.
미리보기: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896437309X
프랑스어-한국어 번역어 목록: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666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공감 부족이 아닌 사회적 공통언어의 부재에서 찾는다. 갖가지 매체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공감’에 기초한 무수한 말들이 쏟아졌지만, 궁극적으로 그것이 고통을 호소하거나 증언하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에 이 책은 주목한다. 심지어 공감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적대’로 변했다. 피해자들이 보상의 권리를 주장하며 청와대로 행진하기 시작하자 ‘그들이 억지를 부려 한몫 챙기려고 한다’는 식의 여론이 훨씬 우세해진 것이다.
흔히 사회는 소수자에게 어서 짱돌을 던지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들이 진짜 짱돌을 던졌을 때, 과연 우리는 그들에게 등 돌리지 않을 수 있을까? 결국 소수자가 저항할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저항하는 소수자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이다.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약자란 언제나 ‘불쌍한 사람’이며, 불쌍하기 때문에 우리가 시혜를 베풀어줄 수 있는 무기력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개념 없는 사회’를 살아가는 소수자들에게 정치전략이 필요한 이유, 지극히 당연하고 뻔한 시민의 권리를 행사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소수자는 동정과 시혜의 대상이 아니라 권리의 주체이다. 소수자는 불우이웃이 아닌 ‘시민’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총 네 편의 강의를 통해 소수자가 사회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개념언어, 정치언어라는 말의 두 가지 경향을 다루는 사전 강의와 청년 담론을 분석하는 1강은 문제 제기에 해당하는 강의로, 한국 사회에 농후한 ‘개념 없음’의 상태를 비판한다. 2강 ‘소수자 사회’ 및 3강 ‘시민성의 재구성’에서는 약자의 고통을 논의할 수 있는 공동체의 언어를 본격적으로 구상한 뒤 구체적인 정치전략을 세운다. ‘소수자’와 ‘시민’이 바로 그런 공통언어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미리보기: https://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12530538
Papers, book chapters, book reviews by Daeseung Park
Performance: Barata By AJASO
In La Bête et l’Adversité. ISBN: 978-2-94-0563-12-8
Geneva: MetisPresses, pp.82-85.
Conference Presentations by Daeseung Park
Parler les lieux. Ré-exister le commun. https://europhilomem.hypotheses.org/11140
간호법은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독 간호법 찬성과 반대 입장 모두 해외 사례를 주요 근거로 제시한다. 그러나 단독 간호법 유무는 해당 국가의 법체계에 의존한다. 중요한 문제는 각 국가의 보건 법체계가 어떤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프랑스, 한국의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간호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영국 모델은 보건 직종 각각을 규율하는 독립적인 법령들로 구성된다. 반면, 프랑스 모델은 하나의 법전에서 모든 보건 직종을 규율한다. 이러한 형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모델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보건 법체계가 체계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각 보건 직종의 업무 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된다. 셋째, 보건 직종 간 관계가 위계보다는 협업・위임・책임의 원리에 기초한다. 이 세 가지 원칙은 한국의 간호 제도를 재구성할 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Condition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Laclau and the permanent crisi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s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politics and society, by elaborating the concept of “pure space of antagonism”. This concept i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s and interpretations of Ernesto Laclau’s texts about “empty signifiers” and populism. We define it as an abstract state in which exterior conditions of antagonism, especially what Laclau called “institution” and “conceptual determination,” are completely removed. South Korean social fields that are close to such a state, reveal an extreme form of social antagonism, the effects of which were not expected by Laclau. He considered antagonistic frontiers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people” who stand against an oppressive, hierarchical or not-well-structured institutional system. On the other hand, we pay attention to destructive effects of the pure space of antagonism, which are made when a non-antagonistic political community disappears or is not separated from social antagonism. Antagonistic frontiers can constitute the people against elites and, as we can see in South Korea, they can also make an underdog exclude other underdogs or minorities. Therefore, we must establish a space proper to institutionalised politics, which does not depend upon antagonistic and hegemonic space.
https://karolinum.cz/en/journal/auc-interpretationes/year-8/issue-2/article-8122
한글 번역 :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72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elements of the strategy of emancipation from Deleuze and Guattari’s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t is about showing how the "becoming-minoritarian" developed in A Thousand Plateaus works as a revolutionary "minoritarian strategy". Its opposite is the "majoritarian strategy" represented by the Gramscian theory of "hegemony". In order to define these two strategies and formulate their "antinomy", we first take Balibar’s reflection on "strategies of civility" as a guide for research. The thesis has three momen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oncept of "strategy": from the 12th Plateau of A Thousand Plateaus on the "War machine", we bring out the concept of "pure strategy" which distinguishes the two strategies in terms of the concept of strategy. In the Second part, the Gramscian theory of subalternity and the "historical bloc" is translated into the Guattaro-Deleuzian perspective, so that we conceive of subalternity and minority as constituting a "block of becoming". Thus, it turns out that Gramsci’s strategy consists of a double movement of hegemony and becoming-subaltern. This transl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ategies as an antinomic coexistence. First, there is an impossibility of articulating between them: a minor social group will declare in the majoritarian strategy that "we are all human", while a revolutionary power of the minoritarian strategy consists in asserting that "we are not human, neither are you, and we all become savage, animal, inhuman and molecular". However, these two antinomic strategies coexist in the current struggles of minorities against the world capitalist axiomatic. Finally, the Third part examines problems that arise from this coexistence.
Résumé (fr)
La présente thèse se propose d’examiner les éléments de la stratégie d’émancipation dans la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de la minorité. L’enjeu est de montrer comment le « devenir-minoritaire » élaboré dans Mille plateaux opère comme « stratégie minoritaire » révolutionnaire. L’opposé de celle-ci est la « stratégie majoritaire » que représente la théorie de Gramsci sur l’« hégémonie ». Afin de définir ces deux stratégies et de formuler leur « antinomie », nous prenons d’abord la réflexion de Balibar sur les « stratégies de civilité » pour guide de la recherche. Cette thèse a trois moments. La Première partie porte sur le concept de « stratégie » : du 12ᵉ des Mile plateaux sur la « machine de guerre », nous dégageons le concept de « pure stratégie » qui distingue les deux stratégies au niveau du concept de stratégie. Dans la Deuxième partie, la théorie gramscienne de la subalternité et du « bloc historique » est traduite en perspective guattaro-deleuzienne, si bien que nous concevons la subalternité et la minorité comme constituant un « bloc de devenir ». Il s’avère ainsi que la stratégie gramscienne est constituée par un double mouvement de l’hégémonie et du devenir-subalterne. Cette traduction nous permet de percevoir le rapport entre les deux stratégies comme une coexistence antinomique. Il y a d’abord une impossibilité d’articuler entre celles-ci : un groupe social mineur déclarerait dans la stratégie majoritaire que « nous sommes tous humains », tandis que la puissance révolutionnaire de la stratégie minoritaire consiste à affirmer que « nous ne sommes pas humains, vous ne l’êtes pas non plus, et on devient tous sauvage, animal, inhumain et moléculaire ». Toutefois, ces deux stratégies antinomiques coexistent dans les luttes actuelles des minorités contre l’axiomatique capitaliste mondiale. Enfin, Il s’agit dans la Troisième partie d’examiner les problèmes qui se posent dans cette coexistence.
1부.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 아이우통 크레나키
1.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2. 꿈과 땅에 관하여
3.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인류
2부. 종말과 위기를 생각하는 방법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에 대한 후기 -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
세계의 종말, 그것은 백인들이다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기후재앙에 직면한 인류의 무능함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박이대승
3부. 원주민의 역-인류학
인간의 가장자리에서 던지는 브라질 원주민의 질문 - 박수경
이미지 껍질’ 개념의 비판적 역량 - 장-크리스토프 고다르
우리의 언어는 아름답고, 분명히 살아 있다”: 파우마리어 경연대회 (1) - 오야라 보니야
오월의봄에서 선보이는 새로운 문고 시리즈 ‘오봄문고’의 두 번째 책. 지난 2019년 4월 11일은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이 확정된 날로 기억된다. 이는 1953년 9월 형법에서 낙태죄가 제정된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내려진 위헌 판결이었으며, “임신중단 비범죄화”를 오랫동안 외쳐온 여성운동 진영의 성과이기도 했다. 하지만 위헌 판결 이후 막상 달라진 것은 없었다. 위헌 판결과 동시에 임신중단을 둘러싼 논쟁은 공론장에서 자취를 감췄고, 낙태죄 조항이 효력을 상실하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새로운 입법안을 제시해야 하는 국회는 판결 이후 17개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대체 입법 논의를 시작하지 않았다.
이 책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의 문제를 토론하고 논의해야 했던 지난 1년 반, 오로지 침묵만이 감돌던 한국사회의 모습을 지적한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낙태죄 위헌의 최종 결정 유형인 헌법불합치의견의 심각한 논리적 모순에 있다. 저자에 따르면, 헌법불합치의견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여 임신중단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태아의 생명권” 개념을 끝내 유지함으로써 적지 않은 모순과 비합리를 만들어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오히려 임신중단에 관한 토론을 방해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 책은 “임신중단에 대한 권리”와 “태아의 생명권”을 동시에 인정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함을 분명히 제시함으로써, 합리적 논쟁의 장을 구성하는 규칙을 마련하고자 한다.
미리보기 :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22633201
박이대승, 박수경 옮김.
이 책은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로 요약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관점주의와 다자연주의는 경이로운 귀환의 존재론적 사례다. 흥미로운 교차란 들뢰즈와 레비-스트로스의 예상치 못한 만남을 말한다. 물론 경이로운 귀환과 흥미로운 교차도 서로 가로지른다. 원주민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 들뢰즈의 다양체와 강도의 철학, 레비-스트로스의 탈구조주의는 인류학의 “들뢰즈주의자-되기”와 들뢰즈, 과타리 철학의 “원주민-되기”에 의해 리좀적 다양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탈식민주의 기획들과 분명히 구별된다. 탈식민주의 이론가들은 서구가 비서구를 재현하는 방식을 비판하지만, 이런 “자기비판”의 관심은 여전히 “타자”가 아니라 서구 자신을 향할 뿐이다. 반면 이 책은 서구의 재현 체계에는 별 관심이 없다. 원주민의 관점주의를 관점주의에 따라 번역하기 ― 이것이 <식인의 형이상학>의 목표다.
이 책은 한국어 독자에게 실천적인 유용성을 제공한다. 많은 지식인들이 서구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질문을 제기해 왔다. 하지만 사유의 탈식민화는 “문화”와 “차이”라는 개념 자체의 재창조를 요구한다. 아마존의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가 제안하는 “애매성”과 “번역”, 와그너가 다리비인과 함께 발견한 “발명”과 “관습” 등이 그런 개념 창조의 중요한 사례이자 안내자가 되어 줄 것이다.
미리보기: http://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896437309X
프랑스어-한국어 번역어 목록: https://anthropodeco.hypotheses.org/1666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공감 부족이 아닌 사회적 공통언어의 부재에서 찾는다. 갖가지 매체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공감’에 기초한 무수한 말들이 쏟아졌지만, 궁극적으로 그것이 고통을 호소하거나 증언하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에 이 책은 주목한다. 심지어 공감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적대’로 변했다. 피해자들이 보상의 권리를 주장하며 청와대로 행진하기 시작하자 ‘그들이 억지를 부려 한몫 챙기려고 한다’는 식의 여론이 훨씬 우세해진 것이다.
흔히 사회는 소수자에게 어서 짱돌을 던지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들이 진짜 짱돌을 던졌을 때, 과연 우리는 그들에게 등 돌리지 않을 수 있을까? 결국 소수자가 저항할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저항하는 소수자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를 묻는 것이다.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약자란 언제나 ‘불쌍한 사람’이며, 불쌍하기 때문에 우리가 시혜를 베풀어줄 수 있는 무기력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개념 없는 사회’를 살아가는 소수자들에게 정치전략이 필요한 이유, 지극히 당연하고 뻔한 시민의 권리를 행사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소수자는 동정과 시혜의 대상이 아니라 권리의 주체이다. 소수자는 불우이웃이 아닌 ‘시민’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총 네 편의 강의를 통해 소수자가 사회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개념언어, 정치언어라는 말의 두 가지 경향을 다루는 사전 강의와 청년 담론을 분석하는 1강은 문제 제기에 해당하는 강의로, 한국 사회에 농후한 ‘개념 없음’의 상태를 비판한다. 2강 ‘소수자 사회’ 및 3강 ‘시민성의 재구성’에서는 약자의 고통을 논의할 수 있는 공동체의 언어를 본격적으로 구상한 뒤 구체적인 정치전략을 세운다. ‘소수자’와 ‘시민’이 바로 그런 공통언어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미리보기: https://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SBN=K412530538
Performance: Barata By AJASO
In La Bête et l’Adversité. ISBN: 978-2-94-0563-12-8
Geneva: MetisPresses, pp.82-85.
Parler les lieux. Ré-exister le commun. https://europhilomem.hypotheses.org/1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