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고프로락틴혈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프로락틴혈증
프로락틴
진료과내분비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고프로락틴혈증(高-血症, hyperprolactinaemia, hyperprolactinemia)은 혈액 내의 프로락틴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을 말한다. 정상 수치는 여성의 경우 500 mIU/L [20 ng/mL or µg/L] 미만, 남성의 경우 450 mIU/L 미만이다.

프로락틴은 주로 젖분비와 관련된 전측 뇌하수체가 생성하는 펩티드 호르몬이며 임신 기간 중에 가슴 발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고프로락틴혈증은 유즙 분비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정상 월경 주기를 방해하고, 남성의 경우 불임발기부전을 일으킨다.

고프로락틴혈증은 또한 임신 또는 모유수유 중에 발생하는 정상적인 신체 변화의 일부일 수도 있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약물, 약초, 체내 중금속에 의해 프로락틴 수준의 정상 통제가 방해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 간, 신장, 갑상선과 같은 다른 기관의 질병의 결과일 수도 있다.[1]

치료

[편집]

치료에는 보통 카버골린[2], 브로모크립틴(임신 가능성이 있을 때 종종 선호됨)[3][4], 또 그렇게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리수라이드라는 도파민 작용제가 사용된다.

고프로락틴혈증의 정도가 약할 경우 바이텍스 아그누스카스투스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ancini, T.; Casanueva, FF; Giustina, A (2008). “Hyperprolactinemia and Prolactinomas”. 《Endocrinology &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37 (1): 67. doi:10.1016/j.ecl.2007.10.013. PMID 18226731. 
  2. Verhelst J, Abs R, Maiter D, 외. (July 1999). “Cabergoline in the treatment of hyperprolactinemia: a study in 455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84 (7): 2518–22. doi:10.1210/jc.84.7.2518. PMID 10404830. 2021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8일에 확인함. 
  3. Webster J, Piscitelli G, Polli A, Ferrari CI, Ismail I, Scanlon MF (October 1994). “A comparison of cabergoline and bromocriptine in the treatment of hyperprolactinemic amenorrhea. Cabergoline Comparative Study Group”. 《N. Engl. J. Med.》 331 (14): 904–9. doi:10.1056/NEJM199410063311403. PMID 7915824. 
  4. Colao A, Di Sarno A, Guerra E, De Leo M, Mentone A, Lombardi G (April 2006). “Drug insight: Cabergoline and bromocriptine in the treatment of hyperprolactinemia in men and women”. 《Nat Clin Pract Endocrinol Metab》 2 (4): 200–10. doi:10.1038/ncpendmet0160. PMID 16932285. 
  5. Kilicdag, E.; Tarim, E.; Bagis, T.; Erkanli, S.; Aslan, E.; Ozsahin, K.; Kuscu, E. (2004). “Fructus agni casti and bromocriptine for treatment of hyperprolactinemia and mastalgia”.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the official organ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85 (3): 292–293. doi:10.1016/j.ijgo.2004.01.001. PMID 1514527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