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 60335-2-7
KC 60335-2-7
KC 60335-2-7
(개정 : 2021-02-08)
전기용품안전기준
Technical Regulations for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Products and Components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
제정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8-0789호(2008.11.14)
개정 기술표준원 고시 제2010-0245호(2010.06.30)
개정 기술표준원 고시 제2010-0699호(2010.12.24)
개정 기술표준원 고시 제2011-0044호(2011.2.28)
개정 기술표준원 고시 제2012-0735호(2012.12.20)
개정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4-0422호(2014. 9. 3)
개정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5-383호(2015. 9. 23)
개정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21-0031호(2021. 2. 8.)
- 1 -
전기용품안전기준
- 2 -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가능한 한 가정 주변에서 기기에 의하여 사람이 직면하는 공통적인 위험성을 다루고 있
다. 다만, 이 표준에서는 통상 다음의 상태에 대하여는 규정하지 않는다.
– 신체, 감각, 정신 능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여 감독이나 지시 없이는 안전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어린이 포함)
2 인용표준
추가
- 3 -
3 용어와 정의
3.1.9 대 체
통상 동작 (normal operation)
다음 상태에서의 기기 동작
기기에는 설명서에 명시된 최대질량과 동일한 질량을 갖는 건조한 직물 재료와, 그 구조에 적합한
최대 수량의 물이 채워져 있다. 그러나 전력 입력 또는 전류가 직물 재료의 50 % 만 사용될 때 더
크다면 기기는 이 부하에서 작동된다. 다만, 이 부하는 11. 시험 중에 전부하 보다 더 불리한
조건을 제공하여야 한다.
3.101 추 가
일체형 세탁·건조기
별도의 드럼에서 옷을 세탁하고 건조시키는 데 사용되는 일체형 기기
4 일반 요구사항
5 시험에 관한 일반조건
5.2 추가
- 4 -
5.3 추가
5.7 추가
6 분류
6.1 수정
6.2 추가
7 표시 및 사용설명서
7.1 추가
기기를 사용할 때 특별하게 주의할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본체, 문, 뚜껑, 꼬리표 또는 사용설명서
등에 명기해야 한다. 특히, 드럼세탁기 안전사고(갇힘) 방지를 위한 아래와 같은 경고문구나 도안을
제품 전면의 보이기 쉬운 곳에 부착하여야 한다.
예) 어린이가 세탁기에 들어가면 안전사고(갇힘)가 발생하므로 절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
시오
7.10 추가
7.12 추가
- 5 -
7.15 추가
8 충전부에 대한 감전보호
9 전동기 구동 기기의 기동
10 입력 및 전류
10.1 추가
10.2 추가
11 온도 상승
11.7 대체
- 6 -
12 공란
13.2 수정
14 과도 과전압
15 내습성
15.2 대체
기기는 통상 사용시 액체가 유출된 경우 흡입 밸브가 닫히지 않더라도 전기절연에 영향을 미치지 않
는 구조여야 한다.
- 8 -
그 후 기기는 16.3의 절연내력 시험에 견뎌야 하고, 또한 절연물에는 공간거리 또는 연면거리가 29.
에 규정한 값 이하로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물이 들어간 흔적이 없어야 한다.
세제 분배기가 내장된 기기의 경우, 세제를 대개 자동공급 주기로 수동으로 첨가한다. 다른 기기의
경우, 이 세제는 이 사이클이 시작하기 전에 첨가한다.
16 누설전류 및 절연내력
18 내구성
매번 뚜껑을 약 45° 정도, 도어를 90° 정도 개방한다. 개방 속도는 약 1.5 m/s로 한다. 뚜껑이나 도
어를 여는 데 가하는 힘은 측정한 개방력의 2배이며, 최소 50 N과 최대 200 N이다.
도어를 약 1.5 m/s의 속도로 닫는다. 가하는 힘은 측정한 폐쇄력의 5배이며, 최소 50 N과 최대 200
N이다. 뚜껑은 자체 무게로 닫힐 수 있으나, 걸쇠가 걸리지 않으면 측정한 폐쇄력의 5배 힘을 가한
다. 이때 힘은 최소 50 N과 최대 200 N이다.
- 9 -
기기에 정격전압의 1.06배를 가하고, 전동기가 최고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통상 동작하에서 동작시
킨다. 그 다음 뚜껑을 완전히 개방한다. 이 시험은 기기가 초과 온도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
하기에 충분히 긴 기간 동안 드럼이 정지 상태에 있은 후에 반복한다.
19 이상 운전
19.1 추가
프로그래머나 타이머가 내장된 기기의 경우, 19.2와 19.3의 시험을 19.101 시험으로 대체한다.
19.2 추가
19.7 추가
19.13 추가
― 어떤 위치에서 프로그래머의 정지
- 10 -
― 온도조절기의 모세관이 뚫린 경우
비고 고장 상태 인 경우로서는
20 안정성 및 기계적 위험
20.1 수정
통상 동작에 대해 규정한 것 중에서 더 불리한 조건으로 기기를 비우거나 채운다. 도어와 뚜껑을 닫
고, 캐스터를 가장 불리한 위치로 돌린다.
- 11 -
기기가 쓰러지지 않아야 하며, 드럼은 외함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아야 한다. 시험 후 기
기를 추가로 사용하기 위해 끼워 맞춘다.
20.103 앞에서 혹은 상단에서부터 채워 넣는 드럼형 세탁기의 경우, 도어나 뚜껑은 기기가 도어나
뚜껑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도록 연동시켜야 한다.
드럼 속도가 60 r/min을 초과할 때 뚜껑이나 도어를 열 수 없어야 한다. 이 기기가 앞에서 적재하는
것이고, 도어를 열 수 있으면 전동기는 50 mm가 열리기 전에 전원이 차단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E :회전 운동 에너지 (단위:J)
m:사용설명서에 규정된 천의 질량 (단위:kg)
v :드럼의 최대 주변 속도 (단위:m/s)
21 기계적 강도
- 12 -
21.101.1 지름이 70 mm이고, 경도가 40 IRHD∼50 IRHD인 고무 반구체를 질량이 20 kg인 실린더에
고정시키고, 100 mm 높이에서 뚜껑 중앙에 떨어뜨린다.
이 시험을 3회 실시한 후 뚜껑은 가동부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해서는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이 시험을 3회 실시한다. 그 후 경첩이 느슨하게 되지 않아야 하며, 기기는 손상되지 않아야 하고,
20.103∼20.105의 적합성을 손상시키는 범위로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22 구조
22.6 요구사항의 변경
기기의 용기, 호스, 결합장치 및 이와 유사한 부품의 누설에 관한 요구사항은 부속서 BB에 규정된
노화 시험을 견딘 부분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시험 세부내용의 변경:
– 연동된 것
– 열쇠로 열리는 것
– 두 가지 독립된 행동(예, 누름과 돌림)으로 열리는 것
– 180° 이상 회전으로 열리는 것
- 13 -
뚜껑과 도어를 닫는다. 기기에 정격전압을 공급하고, 연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될 충분한 기간 동안 동
작시킨다. 그런 다음 통상 사용하는 대로 뚜껑이나 도어를 연다. 가한 힘을 측정한 개방력의 5배까
지 서서히 증가시킨다. 이 힘은 5초 동안 증가시키며 최소 50 N과 최대 200 N이다.
22.106 직경 200 mm를 초과하는 치수를 갖는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부속서 EE에 규정된 용적이
60 L를 초과하는 드럼이 장착된 기기는 93 N {9.5kgf} 이하의 힘에서 문이 열리는 구조여야 한다.
23 내부 배선
24 부품
- 14 -
25 전원접속 및 외부 유연성 코드
26 외부 전선용 단자
27 접지 접속
28 나사 및 접속
29.2 추가
― 기기에 의해 생긴 응결
― 세제, 섬유유연제 등 화학물질
30 내열성 및 내화성
30.2 추가
31 내부식성
- 15 -
- 16 -
- 17 -
설명서에 명시된 세제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시험 결과에 관하여 의심이 든다면 세제 조성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AA.2 헹굼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헹굼제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시험 결과에 관하여 의심이 든다면 헹굼제
조성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점도, 17 mPas
― pH, 2.2(물에서 1 %)
- 18 -
4 시험액
5 시편
6 시험액에 담금
6.1 온도
+5
시험편을 담근 상태에서 이 용액을 1시간 내에 75 0
+1
0
℃ 온도로 가열한 후 이 값을 유지한다. 이
용액을 24시간마다 새 것으로 바꾸고, 같은 방법으로 가열한다.
6.2 지속 시간
시편은 총 48
시간 동안 담근다.
7 절차
7.2 질량의 변화
7.6 경도의 변화
- 19 -
- 20 -
2 인용표준
추가
3 용어와 정의
3.1.9 추가:
사용자가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설명서에 명시된 전해질의 양과 유형을 채워야 한다.
7 표시 및 사용설명서
7.12 추가:
7.12.1 추가:
15 내습성
15.101 해당 사항 없음
19 이상 운전
- 21 -
부속서 AA에 규정된 조성을 갖는 세제를 첨가한다. 이때 세제량은 통상적인 세척에 필요한
전재질량의 2배로 한다. 그 다음 기기를 11.에서 규정한 조건에서, 하지만 최장 동작 기간이 되는
프로그램의 1 사이클 동안 작동시킨다.
22 구조
22.6 변경:
다음 항을 추가한다.
22.17 추가:
22.201 전해조가 부착되어 있으며 전해질 격리판으로 분리된 음극실과 양극실로 이루어진 기기는
2
전해조가 지름이 적어도 5 mm이고 면적이 20 mm 이며 폭이 적어도 3 mm인 개구부를 통해
대기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된 것이어야 한다. 이 개구부는 통상 사용시 막힐 가능성이
없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 22 -
시험 후 기기는 이 표준, 특히 8.과 27.의 적합성을 손상할 정도로 열화되어서는 안 된다. 피복은
파손되지 않아야 하며 표면에서 떨어지지도 않아야 한다.
29 공간거리, 연면거리 및 고체 절연
29.2 변경:
추가:
- 23 -
변경:
세제를 함유한 용액 대신에, 11.의 조건에서 얻은 세척수 전해질 부분의 용액을 사용한다.
- 24 -
7 표시 및 사용설명서
7.1 추가:
7.12 추가:
전력 구동식 탈수기를 내장한 세탁기 설명서에는 세탁기를 작동할 때 관련된 잠재적 위해를 비롯해
다음을 명시하여야 한다.
11 온도 상승
11.7 추가:
19 이상 운전
19.7 추가:
20 안정성 및 기계적 위험
다음을 추가한다.
- 25 -
전력 구동식 탈수기는 롤러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는 구조로 된 것이어야 한다.
- 26 -
세탁조 입구를 제외하고 세탁조 내부의 모든 구멍을 비닐류의 재질로 막고 부피를 측정한다. 모든
구석 부분과 들어간 부분이 채워져 있는지 여부와 세탁조 내의 구멍을 통하여 비닐류의 재질이
들어간 부분이 없음을 확인한다.
앞에서 막아놓은 비닐류의 재질이 세탁조의 표면 안쪽으로 들어갔는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부피를
더하거나 뺀다.
C = W / d
여기서, C : 세탁조의 용적 (L)
W : 물의 질량 (kg)
d : 물의 온도에 따른 밀도 (kg/L)
- 27 -
추가
ISO 13732-1,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responses to contact with surfaces – Part 1: Hot surfaces
- 28 -
다음 각 항을 추가 및 대체 적용한다.
7.101 추가
습도 65%
코스 표준코스*b) 제품 사용설명서 따름
일반 : 30~800kPa
설치 사용수압
드럼 : 30~1000kPa
급탕. 급수온도 20℃±15℃
1일평균사용회수 1회
1년간사용회수 1회X365일=365회/년
- 29 -
1. 개요
이 기준은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 전기제품의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국가표준
인 한국산업표준(KS)을 최대한 인용하여 단일화한 전기용품안전기준이다.
2. 배경 및 목적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 전기제품의 인증을 위한 시험의 기준은 2000년부터 국제표
준을 기반으로 안전성 규격을 도입․인용하여 운영해 왔으며 또한 한국산업표준도 2000년부터 국제표
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규격의 내용은 양자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기준과 한국산업표준의 중복인증이 발생하였으며, 기준의 단
일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기용품 안전인증기준의 단일화는 기업의 인증대상제품의 인증시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
이며, 국가표준인 한국산업표준과 IEC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단일화를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용품 안전인증기준을 한국산업표준을 기반으로 단일화 함으로써 한국산업표준의 위상을
강화하고, 우리나라 각 부처별로 시행하는 법률에 근거한 각 인증의 기준을 국제표준에 근거한 한국
산업표준으로 일원화할 수 있도록 범부처 모범사례가 되도록 하였다.
3. 단일화 방향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서 적용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동일한 한국산업표준으로 간단히 전기용품안전
기준으로 채택하면 되겠지만, 전기용품안전기준은 그간의 전기용품 안전관리제도를 운용해 오면서
국내기업의 여건에 맞추어 시험항목, 시험방법 및 기준을 여러번의 개정을 통해 변경함으로써 한국
산업표준과의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의 단일화 방향을 두 기준 모두 국제표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전기용품안전기준에서 한국산업표준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
고자 한다.
안전기준에서 그간의 전기용품 안전관리제도를 운용해 오면서 개정된 시험항목과 시험방법, 변경된
기준은 별도의 항을 추가하도록 하였다.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을 비교하여 한국산업표준의 최신판일 경우는 한국산업표준의 내
용을 기준으로 전기용품안전기준의 내용을 개정키로 하며, 이 경우 전기용품안전기준의 구판은 병행
적용함으로서 그간의 인증받은 제품들이 개정기준에 맞추어 개선할 시간적 여유를 줌으로서 기업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제표준이 개정되어 판번이 변경되었을 경우는 그 최신판을 한국산업표준으로 개정 요청을
하고 그리고 전기용품안전기준으로 그 내용을 채택함으로써 전기용품안전기준을 국제표준에 신속하
게 대응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기용품안전기준에서만 규정되어 있는 고유기준은 한국산업표준에도 제정요청하고, 아울러
필요시 국제표준에도 제안하여 우리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고자 한다.
4. 향후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의 중복시험 항목을 없애고 단일화 함으로써 표준과 기준의 이원화
에 따른 중복인증의 기업부담을 경감시키고, KS표준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각 부처별로 시행하는 법률에 근거한 각 인증의 기준을 국제표준에 근거한 한국산
업표준으로 일원화할 수 있도록 범부처 모범사례가 되도록 한다.
또한 국제인증기구는 국제표준 인증체계를 확대하는 추세에 있으며, 표준을 활용하여 자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가표준과 안전기준이 국제표준에 신속히 대응함으
로서 우리나라의 수출기업이 인증에 애로사항을 감소하도록 한다.
- 30 -
2. 배경 및 목적
IEC 60335-2-7 국제 표준을 기준으로 기존 내용의 누락된 부분에 대하여 추가 명시 하여 국내 적
용 표준과 국제 표준을 일치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3. 국제표준과의 차이점
해당 절 개정일 구 분 비고
[제품의 용어와 정의 추가]
3.101 2020.11.XX. 추가
- 3.101 일체형 세탁·건조기 추가
- 31 -
구 분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 원 장) 송양회 국가기술표준원 전기통신제품안전과 과 장
(위 원) 전희종 숭실대학교 교 수
조경록 한국소비자원 팀 장
김대원 삼성전자(주) 과 장
정구열 LG전자(주) 과 장
김광현 (주)동부대우전자 책 임
한종현 한일전기(주) 수 석
양상열 코웨이(주) 책 임
박종구 청호나이스(주) 수 석
김선랑 전기매트요장판제조자협회 회 장
박재형 한국제품안전협회 팀 장
지경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센터장
한치경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팀 장
김승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책 임
신동희 국가기술표준원 전자정보통신표준과 연구관
(간 사) 이명수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 전기통신제품안전과 연구관
구 분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연구책임자) 지경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센터장
(참여연구원) 한치경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팀 장
임일권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센터장
이명수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 전기통신제품안전과 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