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풀산딸나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풀산딸나무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엘핀호에서 촬영한 모습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엘핀호에서 촬영한 모습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층층나무목
과: 층층나무과
속: 층층나무속
학명
Cornus canadensis
L.
보전상태

풀산딸나무(학명Cornus canadensis)는 층층나무속에 속한 식물종이다. 한반도, 일본, 중국 북동부(지린성), 러시아 극동 등 동아시아 지역과 미국 북부, 콜로라도주, 뉴멕시코주, 캐나다, 그린란드에 자생한다.[1] 층층나무속에 속한 다른 식물들이 대체로 나무이거나 관목인 데 반해, 풀산딸나무는 키가 약 20 c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 땅속줄기 풀이다.

설명

[편집]

풀산딸나무는 느리게 자라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키는 10 ~ 20 cm까지 자라며 양탄자 같은 깔개 모양을 이룬다. 땅속줄기는 흙 속 2.5 - 7.5cm 깊이에서 옆으로 자라며 나무뿌리 밑으로 복제된 개체들의 군집을 형성한다. 땅속줄기에서 뻗어나온 땅 위 줄기는 수직으로 자라고 가늘며 가지가 없다. 잎은 마주나기를 하지만, 마디와 마디 사이 간격이 압축되어 6개의 잎이 뭉치기 때문에 돌려나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무성하게 난 녹색 잎은 줄기 말단부에서 자라며 큰 잎 2개와 작은 잎 4개가 모여 있다. 작은 잎은 큰 잎의 곁눈에서 생긴다. 광택이 있는 어두운 녹색 잎은 2 ~ 3 mm 길이의 잎꼭지와 도란형 잎새를 지녔다. 잎새는 테두리가 매끈하고 길이는 3.5 ~ 4.8 cm, 너비는 1.5 ~ 2.5 cm이며 잎맥은 2 ~ 3개, 잎밑은 쐐기 꼴이고 잎끝은 뾰족하다. 가을에는 잎맥이 붉은 기운을 띠며 잎새가 완전히 붉은색이 된다.

[편집]
다 자란 꽃과 그렇지 않은 꽃. 흰색 부분은 꽃잎이 아니라 포엽이고, 포엽들 가운데 있는 것이 진짜 꽃송이들이다. 온타리오주 보니시어 주립공원.

늦봄에서 한여름 사이에 지름 2 mm 정도의 흰 꽃을 피운다. 꽃잎은 밖으로 굽어 있고 달걀 모양 내지는 창끝 모양이며 길이는 1 ~ 2 mm이다.[2] 꽃차례는 취산상이고, 마치 꽃잎처럼 생겨 눈에 띄는 흰색 포엽들을 지녔다. 포엽은 다 자라기 전에는 녹색이고, 넓은 달걀 모양에 길이 0.8 ~ 1.2 cm, 너비 0.5 ~ 1.1 cm이며 잎맥은 7개가 평행하게 놓인다. 꽃받침관은 도란형으로 길이는 1 mm이며 빼곡한 솜털과 착 달라붙은 모용으로 덮여 있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좁은 달걀 모양이다. 화주는 1 mm 길이로 털이 없고 반들반들하다. 풀산딸나무는 대체로 자가불임이고 곤충에 수분을 의존한다. 꽃가루 매개 곤충으로는 호박벌, 단생 벌, 등에, 꽃등에 따위가 있다.[3] 열매는 장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핵과이다.

꽃가루

[편집]

풀산딸나무 꽃이 꽃가루를 뿌릴 때가 되면 탄력적인 꽃잎이 뒤로 확 젖혀지면서 그 밑에 팽팽하게 압축돼 있던 용수철 같은 수술 가닥이 풀려나 튕겨져 올라오며 수술 끝에 달린 꽃가루 주머니에서 꽃가루가 튀어나간다. 이때 수술이 겪는 가속도는 24,000 m/s2에 달한다.[4] 이 동작은 0.0005 초 내에 일어나며 꽃가루는 중력의 2 ~ 3,000배에 이르는 힘을 받는다. 수술의 최대 속도는 초속 3.1 미터, 꽃잎의 최대 속도는 초속 6.7 미터에 달한다.[5] 풀산딸나무 꽃의 움직임은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의 움직임 중 가장 빠른 편에 속하고, 이를 촬영하려면 초당 1만 장을 찍는 카메라가 필요하다.[6]

열매

[편집]
미성숙한 꽃
열매

열매는 녹색의 구형 핵과이고 늦여름에 새빨갛게 익는다. 지름은 5 mm 정도이고, 타원체형의 씨가 한두 개 들어 있다. 열매는 늦여름이 제철이며 먹을 수 있지만 맛이 좋지는 않다.[7] 씨는 비교적 단단하고 바삭하다.

분류

[편집]

풀산딸나무가 독립된 종이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어느 에 속하느냐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층층나무속(Cornus)을 넓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풀산딸나무는 그 아속Arctocrania에 속하며 Cornus canadensis라 부른다.[8] 그러나 풀산딸나무를 층층나무속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Chamaepericlymenum canadense 또는 Cornella canadensis 따위로 분류하기도 한다.[9][10]

알래스카, 래브라도, 그린란드에서는 숲에서 자라는 종인 풀산딸나무와 습지에서 자라는 종인 난장이산딸풀(Cornus suecica)의 서식지가 인접한 경우가 있는데, 수분에 의해 두 종의 잡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11][12]

서식지

[편집]

풀산딸나무는 차고 습한 흙에서 자라는 중생(中生) 식물이다. 산간 또는 아한대 지방의 침엽수림에 분포하며 습한 숲의 가장자리나 늙은 나무 둥치, 이끼로 뒤덮인 곳, 또는 습하고 탁 트인 곳에서 발견된다.

생태

[편집]

씨를 퍼트리는 동물은 주로 가을에 이동하다 열매를 따먹는 철새들이다. 알래스카에서는 풀산딸나무 열매가 노새사슴말코손바닥사슴의 주요한 먹이 중 하나다.[13]

상징성

[편집]

클레어 웨이트 켈러는 영국 왕세손비 메건 마클결혼 면사포를 만들면서 영국 연방에 속한 나라들을 상징하는 독특한 식물들을 디자인에 넣었는데, 캐나다를 나타내는 식물로는 풀산딸나무를 선택했다.[14]

각주

[편집]
  1.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United Kingdom: Dorling Kindersley. 2008. 1136쪽. ISBN 978-1405332965. 
  2. Murrell, Zack E.; Poindexter, Derick B. (2016). "Cornus canadensis".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12. New York and Oxford – via eFloras.org Archived 2020년 2월 20일 - 웨이백 머신,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3. Barrett, Spencer C.; Helenurm, Kaius. 1987. The reproductive biology of boreal forest herbs. I. Breeding systems and pollination. Canadian Journal of Botany. 65: 2036-2046.
  4. 1949-, Walker, Marilyn (2008). 《Wild plants of Eastern Canada : identifying, harvesting and using : includes recipes & medicinal uses》. Halifax, N.S.: Nimbus Pub. ISBN 9781551096155. OCLC 190965401. 
  5. A record-breaking pollen catapult at Academia.edu
  6. Edwards J, Whitaker D, Klionsky S, Laskowski MJ (2005). “Botany: a record-breaking pollen catapult”. 《Nature》 435 (7039): 164. Bibcode:2005Natur.435..164E. doi:10.1038/435164a. PMID 15889081. 
  7. Lyons, C. P. (1956). 《Trees, Shrubs and Flowers to Know in Washington》 1판. Canada: J. M. Dent & Sons. 111, 196쪽. 
  8. Murrell, Zack E.; Poindexter, Derick B. (2016). "Cornus subg. Arctocrania".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12. New York and Oxford – via eFloras.org Archived 2020년 2월 20일 - 웨이백 머신,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9. Eyde, R. H. 1987. The case for keeping Cornus in the broad Linnaean sense. Systematic Botany. 12(4): 505-518.
  10. Eyde, Richard H. 1988. Comprehending Cornus: puzzles and progress in the systematics of the dogwoods. Botanical Review. 54(3): 233-351.
  11. Neiland, Bonita J. 1971. The forest-bog complex of southeast Alaska. Vegetatio. 22: 1-64.
  12. Murrell, Zack E. 1994. Dwarf dogwoods: Intermediacy and the morphological landscape. Systematic Botany 19: 539-556.
  13. Hanley, Thomas A.; Cates, Rex G.; Van Horne, Beatrice; McKendrick, Jay D. 1987. Forest stand-age related differences in apparent nutritional quality of forage for deer in southeastern Alaska. In: Provenza, Frederick D.; Flinders, Jerran T.; McArthur, E. Durant, compilers. Proceedings--symposium on plant-herbivore interactions; 1985 August 7–9; Snowbird, UT. Gen. Tech. Rep. INT-222. Ogden, U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9-17.
  14. “The Wedding Dress, Bridesmaids' Dresses and Page Boys' Uniforms”. 2018년 5월 19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