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령 (1929년)
조미령 | |
---|---|
본명 | 조제순 (趙濟順)[1] |
출생 | 1929년 2월 4일 경상남도 마산시 | (95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배우 |
활동 기간 | 1948년~1969년, 1981년 |
대표작 | |
---|---|
춘향전 | 1955년 |
시집가는 날 | 1956년 |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 | 1956년 |
자유 결혼 | 1957년 |
10대의 반항 | 1959년 |
장마루촌의 이발사 | 1959년 |
역마 | 1967년 |
몽땅 드릴까요 | 1968년 |
눈나리는 밤 | 1969년 |
조미령(趙美鈴[2], 1929년 2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났다.
생애
[편집]일찍이 아역 연극배우로 한국 최초의 연극 상설극장인 서울의 동양극장에서 활동하였는데, 8세 때 연극 《임자 없는 자식들》로 데뷔하였다고 알려져 있다.[3][4]
1939년에 동양극장 전속 공연단체 중 하나인 극단 ‘청춘좌’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연기를 시작하였고, 1943년에는 동양극장 후반기 최대 히트작인 연극 《어머니의 힘》에 출연했다.[3] 20세 때인 1948년, 이규환 감독의 작품 《갈매기》로 영화계에 입문하였다.[4]
23세 때, 1934년에 동경유학생들이 조직했던 연극단체 '동경학생예술좌(東京學生藝術座)' 중심인물 중 한명이자 영화 《갈매기》의 기획을 맡았던 마산 출신 엘리트 연극인인 프로듀서 이철혁과 결혼하였다.[3][5] 6.25 전쟁 직후인 1955년, 국도극장 단일관으로 13만명을 동원하는 기록적인 흥행을 기록한 전후최대흥행작 《춘향전》에서 성춘향 역할을 맡아 스타덤에 올랐다.[6]
《춘향전》은 남편인 이철혁이 제작한 영화로 6.25 전쟁 직후 침체되어 있던 한국 상업영화가 부활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 기념비적 작품이 되었는데, 여주인공 성춘향 역할을 맡았던 조미령은 단아하고 청순가련한 이미지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되었다.[7] 그 후 영화 《시집가는 날》(이병일 감독·1956년), 《10대의 반항》(김기영 감독·1959년), 《마부》(강대진 감독·1961년) 등에 출연하면서 1956년부터 1960년대까지 불세출의 은막 스타로 명성을 날린다.[3] 그 중, 영화 《마부》는 제11회 베를린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받으면서 서구영화계에 한국영화의 위상을 알린 최초의 영화이기도 하다.
1969년 재혼한 재미교포 남편과[8] 미국으로 떠나면서 연예계 은퇴를 하였고 미국으로 간 후 하와이에서 평온한 가정을 꾸며 슈퍼마켓을 운영하며 살았다.[9] 조문진 감독의 권유로 영화 《두 아들 2》에 출연하기 위해 12년만인 1981년에 53세의 나이로 일시 귀국하였다.[10][11]
출연 작품
[편집]영화
[편집]- 1955년 《춘향전》 ... 춘향 역
- 1956년 《교차로》
- 1956년 《단종애사》
- 1956년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
- 1956년 《여성의 적》
- 1956년 《시집 가는 날》 ... 이쁜이 역
- 1957년 《여성 전선》
- 1957년 《배뱅이굿》
- 1957년 《아리랑》
- 1958년 《모정》
- 1958년 《나 혼자만이》
- 1958년 《사람 팔자 알 수 없다》
- 1958년 《자유 결혼》
- 1959년 《결혼 조건》
- 1959년 《구혼 결사대》
- 1959년 《나비 부인》
- 1959년 《10대의 반항》
- 1959년 《여사장》
- 1959년 《오 내 고향》
- 1959년 《이름 없는 별들》
- 1959년 《자나 깨나》
- 1959년 《장마루촌의 이발사》
- 1959년 《청춘 일기》
- 1959년 《홀쭉이 뚱뚱이 논산 훈련소에 가다》
- 1959년 《황금의 상처》
- 1959년 《흥부와 놀부》
- 1960년 《흙》
- 1960년 《경상도 사나이》
- 1960년 《대지의 어머니》
- 1960년 《해 떨어지기 전에》
- 1960년 《아들의 심판》
- 1960년 《바위고개》
- 1960년 《이별의 종착역》
- 1960년 《어느 여교사의 수기》
- 1960년 《지상의 비극》
- 1960년 《진주탑》
- 1960년 《박서방》
- 1960년 《슬픔은 강물처럼》
- 1960년 《황혼》
- 1960년 《무화과》
- 1960년 《천하태평》
- 1960년 《내 가슴에 그 노래를》
- 1960년 《아 백범 김구 선생》
- 1961년 《마부》
- 1961년 《노다지》 ... 웅칠의 아내 역
- 1961년 《격정가》
- 1961년 《밤은 통곡한다》
- 1961년 《별》
- 1961년 《불효자》
- 1961년 《사랑이 문을 두드릴 때》
- 1961년 《사형수의 딸》
- 1961년 《양산도》
- 1961년 《에밀레종》
- 1961년 《역부의 딸》
- 1961년 《이 순간을 위하여》
- 1961년 《일편단심》
- 1961년 《해바라기 가족》
- 1962년 《감나무골 공서방》
- 1962년 《견습 부부》
- 1962년 《골목 안 풍경》
- 1962년 《구름이 흩어질 때》
- 1962년 《귀향》
- 1962년 《그리움은 가슴마다》
- 1962년 《내일까지는 말하지 마라》
- 1962년 《대장화홍련전》
- 1962년 《부라보 청춘》
- 1962년 《사랑을 다시 하지 않으리》
- 1962년 《살아있는 그날까지》
- 1962년 《슬픔은 나에게만》
- 1962년 《아내를 빼앗긴 사나이》
- 1962년 《암행어사 박문수》
- 1962년 《여인천하》
- 1962년 《여자의 일생》
- 1962년 《인목대비》
- 1962년 《임자 없는 나룻배》
- 1962년 《천하일색 양귀비》
- 1962년 《하늘이 무너져도》
- 1962년 《성웅 이순신》
- 1963년 《아빠 안녕》
- 1963년 《가야의 집》
- 1963년 《내 아내가 최고야》
- 1963년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 1963년 《로맨스 가족》
- 1963년 《민들레꽃도 봄이면 핀다》
- 1963년 《사명당》
- 1963년 《아버지 결혼하세요》
- 1963년 《애정 300년》
- 1963년 《여자의 열쇠》
- 1963년 《재회》
- 1963년 《죽도록 사랑해서》
- 1963년 《한양에서 온 성춘향》
- 1963년 《후라이보이 무전여행기》
- 1964년 《니가 잘나 일색이냐》
- 1964년 《도심의 향가》
- 1964년 《신식 할머니》
- 1964년 《홀어머니》
- 1964년 《목단등기》
- 1965년 《두 아빠》
- 1965년 《막내딸》
- 1965년 《무명가의 지배자》
- 1965년 《밤에 핀 해바라기》
- 1965년 《비무장지대》
- 1965년 《여자의 길》
- 1965년 《울면서 한세상》
- 1965년 《정경부인》
- 1965년 《주홍 스카트》
- 1965년 《채홍사》
- 1966년 《긴 여로》
- 1966년 《나운규의 일생》
- 1966년 《눈물 젖은 왕관》
- 1966년 《뜬구름아 말 물어보자》
- 1966년 《사랑보다 강한 것》
- 1966년 《여자이기 때문에》
- 1966년 《유정》
- 1966년 《이혼 상담소》
- 1967년 《공주님의 짝사랑》
- 1967년 《공처가 삼대》
- 1967년 《보은의 기적》
- 1967년 《안방 마님》
- 1967년 《역마》
- 1968년 《남》
- 1968년 《대똘똘이의 모험》
- 1968년 《로맨스 마마》
- 1968년 《몽땅 드릴까요》
- 1969년 《눈 나리는 밤》
- 1969년 《신세 좀 지자구요》
- 1969년 《춘원 이광수》
- 1981년 《두 아들 2》
수상
[편집]- 1957년 제2회 금룡상 여우주연상[12]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
- 1958년 제3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10대의 반항》
- 1959년 제3회 국제영화상 우수여자배우상[13]
- 1960년 문교부 우수국산영화상 조연여우상[14] 《10대의 반항》
- 1966년 제4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나운규의 일생》
이혼소송 및 사기 피소
[편집]1962년, 여배우 조미령에게 남편 최씨를 빼앗겼다고 최씨의 아내 김씨가 서울지법에 이혼 및 위자료 청구소송을 내고 연이어 간통 및 폭행혐의 사실을 들어 서울지검에 형사고소를 제기하여 피소를 당했다.[15][16] 그 해 12월, 피고인 조미령과 최씨가 위자료 60만원을 내기로 하면서 화해가 조성되어 지지부진한 위자료 청구소송 및 이혼소송이 일단락 되었다.[17] 또한 세 갈래로 얽힌 간통, 폭행치상, 명예훼손 등 고소사건에 대해서도 당사자 세사람에 대해 정상을 참작하여 서울지검으로부터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다.[18]
1966년 5월 19일에는 부부가 사기죄로 서울 지검에 피소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19] 충무로에 있는 통영공예사 대표 김씨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에서 백화점을 5개 운영한다는 조미령의 남편 최씨가 나전칠기 등을 대신 미국에서 판매해주겠다고 속여 9천달러 어치를 보내게 한 후 대금을 지불하지 않았다'는 것이다.[19] 그런데, 김씨가 샌프란시스코 주재 총영사관을 최씨의 신원을 조회한 결과 최씨는 백화점을 경영하고 있지 않으며 일정한 주소도 없이 전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
미국 시민권까지 얻고 미국 육군 대위로 제대한 최씨와 1963년에 결혼하여 4살 난 딸을 기르고 있었으나 1966년에 남편과 함께 사기죄로 기소된 와중에, 조미령이 남편 최씨를 상대로 이혼청구소송을 가정법원에 제기한 사실이 알려졌다.[20] 한국에서 직장을 얻지 못한 최씨가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조미령의 집을 3백만원에 팔고 전처 소생 남매를 데리고 도미해버린 것이다.[20] 1966년 9월, 조미령은 남편 최동원을 상대로 가정법원에 낸 이혼소송에서 승소하였다.[21] 가정법원은 이혼청구 이유인 남편 최씨가 가정을 돌보지 않고 미국에 데려가겠다던 약속을 져버렸다는 주장을 인정하여 이혼을 허가하였다.[21]
각주
[편집]- ↑ “銀幕의「스타」들은 藝名의「베일」쓰고”. 조선일보. 1963년 8월 29일. 2023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話題의 行方 (3) 愛情波動가신 趙美鈴양”. 동아일보. 1962년 12월 4일. 2023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유학파 영화감독-은막의 스타 역경과 사랑 《경남도민일보》, 2012년 9월 5일
- ↑ 가 나 아름답기에 더욱 처절했던 연기 《여성동아》, 2014년 4월 14일
- ↑ 연예수첩 반세기 영화계 23 예술영화의 개막 《동아일보》, 1972년 11월 23일
- ↑ 연예수첩 반세기 영화계 27 활력 불어넣은 춘향전 《동아일보》, 1972년 11월 29일
- ↑ '춘향' 우리들의 영원한 연인 《동아일보》, 1999년 3월 8일
- ↑ 추억의 스타들 공동출연 화제 《경향신문》, 1992년 7월 10일
- ↑ 해방 후 1대 춘향 출신의 톱스타 조미령 Archived 2014년 4월 27일 - 웨이백 머신 《마이데일리》, 2008년 9월 22일
- ↑ 조미령 윤정희 영화출연 위해 귀국한다 《동아일보》, 1981년 3월 20일
- ↑ 옛 동료들 조미령 찾아 격려 《경향신문》, 1981년 4월 29일
- ↑ 2회 금룡상 심위 과반득표자 없어 《동아일보》, 1957년 1월 26일
- ↑ 22일에 시상식 제3회 국제영화상 《동아일보》, 1959년 3월 4일
- ↑ 우수영화상 결정 《경향신문》, 1960년 9월 6일
- ↑ 남편 최씨와 여배우 조미령씨 걸어 간통죄로 고소 《동아일보》, 1962년 7월 12일
- ↑ 여우 조미령씨 피소 《경향신문》, 1962년 7월 4일
- ↑ 조양에 불기소처분 《경향신문》, 1962년 8월 1일
- ↑ 조미령양 화해 위자료 50만원 2월에 주기로 《동아일보》, 1962년 12월 4일
- ↑ 가 나 다 조미령씨 부부 피소 《매일경제》, 1966년 5월 20일
- ↑ 가 나 조미령양 이혼 소송 《동아일보》, 1966년 5월 21일
- ↑ 가 나 돌보지 않는 남편과 여우 조미령씨 이혼 《경향신문》, 1966년 9월 15일
외부 링크
[편집]- 조미령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조미령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