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홍반열
보이기
일본홍반열 | |
---|---|
다른 이름 | 동양반점열 |
진료과 | 감염내과 |
증상 | 발열, 홍반, 괴사딱지[1] |
합병증 | 파종성 혈관내 응고, 다발성 장기 부전, 중추신경계 합병증,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뇌수막염 |
병인 | 리케차 자포니카 감염 |
투약 | 테트라사이클린, 스테로이드 |
일본홍반열(japanese spotted fever) 또는 동양반점열(oriental spotted fever)은 발진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감염 초기에 반점(macule)이, 후기에는 일부 환자에서 점상출혈이 나타난다.[2] 발열, 홍반, 진드기가 문 자리의 괴사딱지(가피)가 특징적인 증상이며 C반응단백질 수치가 올라간다. 또한 호산구감소증이 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전체적인 양상은 쯔쯔가무시병과 아주 유사하다.[1]
원인이 되는 세균은 리케차의 일종인 리케차 자포니카(Rickettsia japonica)이다.[3][4] 따뜻한 시기인 4~11월에 호발하며 주로 태평양을 끼고 있는 일본 중부와 남서부에서 잘 발병한다.[1]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가 특히 효과적이며, 스테로이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파종성 혈관내 응고, 뇌수막염, 다발성 장기 부전, 중추신경계 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등이 보고되었다.[1]
처음 일본홍반열에 관하여 기술된 것은 1984년이다.[5]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에 처음으로, 인천광역시 무의도에 살던 65세 농부로부터 리케차 자포니카 감염이 확인되었다.[6][7]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Noguchi, Masamitsu; Oshita, Shizuka; Yamazoe, Naohisa; Miyazaki, Mitsukazu; Takemura, Yousuke C. (2018년 7월 2일). “Important Clinical Features of Japanese Spotted Fever”.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영어) 99 (2): 466–469. doi:10.4269/ajtmh.17-0576. ISSN 0002-9637.
- ↑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1130쪽. ISBN 978-1-4160-2999-1.
- ↑ Mahara F (1997). “Japanese spotted fever: report of 31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merging Infect. Dis.》 3 (2): 105–11. doi:10.3201/eid0302.970203. PMC 2627607. PMID 9204291.
- ↑ Inc, GIDEON Informatics; Berger, Dr Stephen (2017). 《Infectious Diseases of Japan: 2017 edition》 (영어). GIDEON Informatics Inc. 237쪽. ISBN 9781498813846. 2017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Mahara, F.; Koga, K.; Sawada, S.; Taniguchi, T.; Shigemi, F.; Suto, T.; Tsuboi, Y.; Ooya, A.; Koyama, H. (1985년 11월). “[The first report of the rickettsial infections of spotted fever group in Japan: three clinical cases]”. 《Kansenshogaku Zasshi. The Journal of the Japanese Associ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59 (11): 1165–1171. doi:10.11150/kansenshogakuzasshi1970.59.1165. ISSN 0387-5911. PMID 3938467.
- ↑ Chung, Moon-Hyun; Lee, Seung-Hyun; Kim, Mi-Jeong; Lee, Jung-Hee; Kim, Eun-Sil; Lee, Jin-Soo; Kim, Mee-Kyung; Park, Mi-Yeoun; Kang, Jae-Seung. “Japanese Spotted Fever, South Korea - Volume 12, Number 7—July 2006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 CDC” (미국 영어). doi:10.3201/eid1207.051372.
- ↑ “인하대병원, 일본홍반열 첫 학계 보고”. 2023년 3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