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품왕
이시품왕
伊尸品王 | |
---|---|
제5대 금관가야 국왕 | |
재위 | 346년~407년 |
전임 | 거질미왕(居叱彌王) |
후임 | 좌지왕(坐知王) |
부왕 | 거질미왕(居叱彌王) |
폐하(陛下) | |
이름 | |
휘 | 김이시품(金伊尸品王) |
별호 | 미상 |
묘호 | 미상 |
시호 | 명왕(明王) |
연호 | 미상 |
신상정보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407년 |
사망지 | 미상 |
국적 | 금관가야(金官加耶) |
왕조 | 금관가야(金官加耶) |
가문 | 김해(金海) |
부친 | 거질미왕(居叱彌王) |
모친 | 아지부인(阿志夫人) |
배우자 | 정신부인(貞信夫人) |
자녀 | 좌지왕(坐知王) |
종교 | 미상 |
능묘 | 미상 |
이시품왕(伊尸品王, ? ~ 407년 4월 10일)은 금관가야의 제5대 국왕(재위: 346년 7월 8일 ~ 407년 4월 10일)이다. 시호는 명왕(明王)이다.
영화(永和) 2년[1]에 즉위하여, 의희(義熙) 3년[2] 정미(丁未) 4월 10일에 붕(崩)할 때까지 약 62년 동안 금관가야의 왕으로 통치하였다. 왕비(王妃)는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 정신(貞信)이며, 왕자 좌지(坐知)를 낳았다.[3]
생애
[편집]일본서기
[편집]369년 백제 근초고왕이 목라근자(木羅斤資)로 하여금 탁순국(卓淳國)에 모여 가야를 공격한 신라를 격파했다한다.
신라가 왜에 보내는 사신을 끊자, 일본은 소츠히코를 파견하였으나 미인계에 속아서 뜬금없이 금관 가야를 침공했다. 이 결과 가야의 왕과 그의 가족들이 모두 백제로 도망갔고, 백제의 장군 목라근자가 나서서 겨우 도성과 땅을 되찾았다고 한다.
광개토대왕릉비
[편집]400년 가야와 왜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는 광개토대왕에게 원병을 청했다. 이에 광개토대왕은 보병과 기병 5만명을 편성해 남하해 왔다. 이때 왜군을 퇴각하고 가야까지 쫓아와 종발성(從拔城: 지금의 부산)이 함락되었다.
칡꽃 전설
[편집]불모산 아래에 사는 도공 조씨의 딸 설희와 도공 조씨의 수제자 쇠바우가 둘은 서로 사랑하여 약혼을하였는데 하지만 부바우가 신라와 고구려 연합군과의 전쟁에 끌려가 설희는 정혼 언약을 끝까지 지키며 기다리고, 전쟁 포로가 돼 왼팔 불구가 되어 돌아온 쇠바우와 밤 늦게 까지 도예작품을 만들며 살았던 부부를 마을 사람들이 ‘칡넝쿨 부부’라 불었다. 큰 부를 쌓아 나라에 흉년이 올 때 가난한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눠주며 살았다.
이 소식을 들은 이시품왕은 칡넝쿨 부부를 불러 위로하고 큰상을 내렸다. 이들 부부가 죽은 뒤 가야 사람들은 칡넝쿨 부부를 기리기 위해서 해마다 여름 칡꽃이 필 때면 여인네들은 머리에 칡꽃을 꽂고 술, 떡, 차를 차린 후에 제사 지내는 풍속이 생겨났다고 한다.
가계
[편집]- 부왕 : 거질미왕(居叱彌王, ? ~346 재위:291~346)
- 모후 : 아지부인(阿志夫人, ? ~ 347)
- 국왕 : 이시품왕(伊尸品王, ? ~407 재위:346~407)
- 왕비 : 정신부인(貞信夫人) -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
- 장남 : 좌지왕(坐知王, ? ~421, 재위:407~421)
- 며느리 : 용녀(傭女)
- 며느리 : 복수부인(福壽夫人) - 대아간 도령(道寧)의 딸
전 임 거질미왕 |
제5대 가락국의 국왕 346년 7월 8일 ~ 407년 4월 10일 |
후 임 좌지왕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전 임 거질미왕 |
제5대 가락국의 국왕 346년 음력 7월 7일 ~ 407년 음력 4월 10일 |
후 임 좌지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