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따오기
올리브따오기 | |
---|---|
올리브따오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사다새목 |
과: | 저어새과 |
아과: | 따오기아과 |
속: | 올리브따오기속 |
종: | 올리브따오기 (B. olivacea) |
학명 | |
Bostrychia olivacea | |
Du Bus de Gisignies, 1838 | |
보전상태 | |
|
올리브따오기(Olive ibis)는 중앙아프리카의 울창한 열대 숲에 자생하는 따오기의 일종이다. 몸길이 65~75cm의 작은 따오기로 올리브색 깃털을 갖고 있으며 공기 중에 광택이 난다.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열대 아프리카 서부에서 동부 해안에 이르는 울창한 숲에 군데군데 분포한다. 서식지는 카메룬과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가봉, 가나, 케냐,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탄자니아 그리고 상투메 프린시페이다.[1][2] 울창한 숲 서식지와 함께 가봉의 재생림과[3] 절벽 구멍에서도 발견된다.[4]
다른 아종들은 아프리카의 다른 지리적 지역에서 서식하고, 서쪽에서 발생한다. 전자는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 그리고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나라들의 기니에서 발견되고, 후자는 카메룬과 가봉, 콩고 공화국 그리고 콩고 민주 공화국과 같은 조금 더 남쪽의 나라들의 기니에서 발견된다.
행동 및 생태
[편집]먹이 및 보금자리
[편집]올리브따오기는 딱정벌레, 굼벵이, 달팽이와 같은 곤충을 먹는다. 보도에 따르면 무수한 동물과[5] 숲 바닥 식물, 뱀을 먹기도 한다. 먹이는 보통 빠르게 흐르는 작은 물을 따라 울창한 숲 지역에서 5~12마리씩 짝을 지어 먹으며[4], 맹그로브 숲과 습지, 습지, 그리고 더 큰 강(라이베리아의 세인트폴강과 가봉의 캄마강)에서도 먹는다.[6] 케냐의 하게니아 숲에서 관찰한 바에 따르면, 이 따오기는 덤불이 거의 또는 전혀 자라지 않고 숲 바닥에서 우선적으로 먹이를 찾을 수 있다.[7]
올리브따오기는 주로 비단솜과 같은 밤에 죽은 큰 나무 꼭대기에 둥지를 틀며, 매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 매일 같은 경로를 이용하여 둥지와 먹이가 있는 땅 사이를 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행 중 나뭇가지에 착지할 때, 따오기는 직각으로 착륙하지 않고, 나뭇가지의 길이를 따라 짧은 거리를 달린다.[8]
위협 및 생존
[편집]사냥과 삼림 벌채를 통한 서식지 파괴의 영향을 받는다.[7][3] 2차적인 위협으로는 올리브개코원숭이와 노랑개코원숭이와 같은 숲새와 포유류의 포식자가 포함될 수 있다.[7] 그러나 이 따오기의 개체수가 대부분 문서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위협의 범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7]
올리브 따오기는 방해를 받으면 소리를 내지 않고[8] 날아가서 잎이 무성한 나무에 몸을 숨긴다.[6]
인간과의 관계
[편집]이 따오기는 사육된 적이 없으며[9][10], 살아있는 표본이 유럽으로 수입된 적이 없다고 한다.[11] 하지만, 브뤼셀, 파리, 필라델피아, 레이던 그리고 리스본과 같은 전 세계의 박물관에서 수많은 살아있지 않은 표본들이 보관되어 왔다.[12] 아종의 표본은 케냐 국립박물관과 대영박물관에서도 발견되었다.[8]
상황
[편집]올리브따오기는 IUCN이 최소관심대상종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개체수가 범위와 개체수 추세 기준에 따라 취약한 개체수의 임계값에 접근하지 않기 때문이다.[1]
이 종은 주로 접근할 수 없는 서식지와 함께 매우 비밀에 부쳐지기 때문에 개체수 조사가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세계 개체수는 보수적으로 3,000~25,000마리로 추정된다.[1]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고 있지는 않지만, 추정상 적은 세계 개체수가 삼림 벌채와 사냥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7][3] 그러나 개체수 감소 정도는 세계 개체수를 취약하게 만들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 야생 개체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특히 자주 듣는 발성을 고려할 때[7], 이 종은 문서화된 것보다 더 일반적일 수 있다.[4]
또 다른 아종은 1901년 서아프리카 연안의 프린시페섬에서 멸종되었다고 믿어진다.[13] 그러나, 이 종족은 1991년에 그곳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10마리 미만의 야생 개체들이 이 섬에 남아있을지도 모른다.[1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BirdLife International (2016). “Bostrychia olivacea”.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22697472A93615552.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7472A93615552.en. 2021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Ash J. S., 1990. Additions to the avifauna of Nigeria, with notes on distributional changes and breeding. Malimbus 11: 104-116.
- ↑ 가 나 다 Matheu E., del Hoyo J. & Kirwan G. M., 2016. Olive Ibis (Bostrychia olivacea). In: del Hoyo J., Elliott A., Sargatal J., Christie D. A. & de Juana E. (eds.).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live. Lynx Edicions, Barcelona. (retrieved fromhttp://www.hbw.com/node/52763 on 1 August 2016).
- ↑ 가 나 다 Sclater W. L., Moreau R. E., 1933. Taxonomic and field notes on some birds of North Eastern Tanganyika Territory. – Part V. Ibis 3: 399-440
- ↑ Jackson F. J., 1938. "The Birds of Kenya Colony and the Uganda Protectorate", vol. I. Gurney and Jackson, London
- ↑ 가 나 다 Bannerman D. A., 1953. The Birds of West and Equatorial Africa, vol. 1. Oliver and Boyd, London.
- ↑ 가 나 다 라 마 바 Hancock J. A., Kushlan J. A., Kahl M. P., 1992.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 ↑ 가 나 다 Meinertzhagen R., 1937. Some notes on the birds of Kenya Colony, with especial reference to Mount Kenya. Ibis 1: 731-760.
- ↑ Archibald G. W., Lantis S. D. H., Lantis L. R., Munetchika I., 1980. Endangered ibises Threskiornithae: their future in the wild and in captivity. International Year Zoobook 20: 6-17.
- ↑ Brouwer K., Schifter H., Jones M. L., 1994. Longevity and breeding records of ibises and spoonbills Threskiornithidae in captivity. International Zoo Yearbook 33: 94-102.
- ↑ Delacour J., 1931. Herons, storks, spoonbills and ibises. Aviculture 3: 772-778.
- ↑ Salvadori T., 1903. On the ibis Olivacea of Dubus. Ibis 45: 178-188.
- ↑ Curry-Lindahl K., 1978.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oblems of wading birds and their habitats: a global overview. In: Sprunt A., Ogden J. C., Winkler S. Wading birds. Pp 83-97. National Audubon Society, New York.
- ↑ Dodman T., 2007. Estimating the size and status of waterbird populations in Africa. Ostrich 78:475-480.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리브따오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