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벌림근 (손)
새끼벌림근 | |
---|---|
정보 | |
이는곳 | 콩알뼈, 콩알갈고리인대, 굽힘근지지띠 |
닿는곳 | 새끼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안쪽 측면 |
동맥 | 자동맥 |
신경 | 자신경 깊은가지 |
작용 | 새끼손가락을 벌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abductor digiti minimi manus |
영어 |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
TA98 | A04.6.02.062 |
TA2 | 2529 |
FMA | 37382 |
새끼벌림근(abductor digiti minimi, abductor digiti quinti) 또는 소지외전근(小指外轉筋)은 손바닥 안쪽(자쪽) 모서리에 위치한 근육이다. 손바닥의 자쪽 경계를 형성하는 근육으로, 그 모양이 방추형이기 때문에 주변의 피부, 결합조직, 지방 등과 함께 새끼손가락 쪽에 통통하게 솟아 있는 부분인 새끼두덩을 형성한다. 주된 기능은 새끼손가락을 당겨 다른 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벌림이다.
구조
[편집]새끼벌림근은 콩알뼈, 콩알갈고리인대, 손의 굽힘근지지띠에서 일어난다.[1] 새끼벌림근 먼쪽의 힘줄은 세 갈래로 나뉘면서 몸쪽손가락뼈 안쪽 모서리, 손허리손가락관절의 손바닥판, (존재하는 경우) 종자뼈에 닿는다. 일부 섬유는 손가락의 폄근널힘줄까지 연결되며, 이 때문에 새끼벌림근은 등쪽뼈사이근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2]
신경 분포
[편집]발생
[편집]새끼벌림근은 얕은손가락굽힘근(안쪽 원기), 짧은엄지벌림근(노쪽 원기)와 함께, 발생 초기 손의 미분화 중간엽 얕은층에 존재하는 자쪽 근육 원기(ulnar muscle primordium)에서 발생한다. 새끼벌림근을 제외한 나머지 새끼두덩근육은 후기에 보다 깊은층에서 유래한다.[3]
변이
[편집]드물게 새끼벌림근의 부속다발(accessory fascicle)이 아래팔근막, 노뼈, 자뼈에서 일어난다.[3]
새끼벌림근은 변이가 가장 많은 새끼두덩근육이다.[4]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 굽힘근지지띠, 먼쪽 아래팔근막, 긴손바닥근 힘줄에서 오는 섬유 일부가 합류하기도 한다. 간혹 다섯째손허리뼈에 새끼벌림근 일부가 닿기도 한다.[5]
다지증이 있는 경우, 여섯째손가락이 있다면 새끼벌림근이 새끼손가락 대신 여섯째손가락에 닿을 수 있다.
기능
[편집]손허리손가락관절에 작용하여[6] 새끼손가락의 벌림근 역할을 한다.[1]
또한 새끼벌림근은 폄근널힘줄까지 연결되므로, 새끼손가락 중간손가락뼈를 펴는 작용에 관여할 수 있다.
손가락을 편 채로 손으로 큰 물건을 쥘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7]
추가 이미지
[편집]-
손목과 손가락의 단면
-
새끼벌림근
-
손 근육의 단면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Platzer, Werner (2004).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5판. Thieme. 178쪽. ISBN 3-13-533305-1.
- ↑ Schmidt, Hans-Martin; Lanz, Ulrich (2003).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Thieme. 125쪽. ISBN 1-58890-007-X.
- ↑ 가 나 Sanudo, JR; Mirapeix, RM; Ferreira, B (1993). “A rare anomaly of abductor digiti minimi”. 《J. Anat.》. 182 ( Pt 3) (182): 439–442. PMC 1259818. PMID 8226300.
- ↑ Claassen H, Schmitt O, Schulze M, Wree A (December 2013). “Variation in the hypothenar muscles and its impact on ulnar tunnel syndrome”. 《Surg Radiol Anat》 35 (10): 893–9. doi:10.1007/s00276-013-1113-5. PMID 23558800. S2CID 2851242.
- ↑ Doyle, James R.; Botte, Michael J. (2003).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and upper extremit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5–156쪽. ISBN 0-397-51725-4.
- ↑ Origin, insertion and nerve supply of the muscle at Loyola University Chicago Stritch School of Medicine
- ↑ Palastanga, Nigel; Field, Derek; Soames, Roger (2006). 《Anatomy and human movement: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112쪽. ISBN 0-7506-88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