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수
보이기
대수기하학에서 교차수(交叉數, 영어: intersection number)는 서로 다른 부분 대수다양체가 만나는 수를 중복도를 고려하여 센 것이다. 중복도를 적절히 고려해야지만 베주 정리 등이 성립하게 된다.
정의
[편집]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한 비특이 준사영 대수다양체라고 하며, 이라고 하고, 라고 하자. 가 의 개의 초곡면(여차원이 1인 부분 대수 다양체)들이며, 이들이 근처에서 국소 방정식
으로 정의된다고 하자.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 . 즉, 이다.
- 는 에서 특이점을 갖지 않는다.
- (일반 위치 조건 영어: general position)
이 경우, 에서의 의 교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의 구조층의 에서의 줄기인 국소환이며, 은 이들 다항식으로 생성되는 의 아이디얼이다. 이 아이디얼에 대한 몫환은 -벡터 공간을 이루며, 는 -벡터 공간으로서의 차원이다.
이제, 일반 위치에 있는 들의 교차수는 각 점에서의 교차수들의 합이다.
이는 유한함을 보일 수 있다.
효과적 인자들은 초곡면들의 형식적 선형 결합이므로, 일반 위치에 있는 효과적 인자의 교차수는 (일반 위치의) 초곡면들의 교차수를 선형으로 확대하여 정의한다. 임의의 인자는 두 효과적 인자의 차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일반 위치에 있는 인자들의 교차수는 효과적 인자의 교차수를 선형으로 확대하여 정의한다. 임의의 인자들의 집합은 저우 움직임 보조정리를 사용하여, 유리 동치인 일반 위치 인자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교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참고 문헌
[편집]-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외부 링크
[편집]- “Intersection index (in algebraic geometr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