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노벨 화학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같이 보기 문단 추가
 
(사용자 20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상 정보
{{상 정보
| 이름 = 노벨 화학상
| 이름 = 노벨 화학상
9번째 줄: 10번째 줄:
| 웹사이트 = [http://www.nobelprize.org 공식 홈페이지]
| 웹사이트 = [http://www.nobelprize.org 공식 홈페이지]
}}
}}
[[파일:Vant Hoff.jpg|thumb|200px|[[야코뷔스 반트 호프]]는 [[1901년]]에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을 발견하여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사람이 됐다.]]
[[파일:Vant Hoff.jpg|섬네일|200px|[[야코뷔스 반트 호프]]는 [[1901년]]에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을 발견하여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사람이 됐다.]]
'''노벨 화학상'''( - 化學賞, {{llang|sv|Nobelpriset i kemi}}, {{llang|en|Nobel Prize in Chemistry}})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매년 [[12월 10일]]에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서 주는 것으로 다른 노벨상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주어진다.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1천만 [[스웨덴 크로나]]([[한화]] 약 16억 8천 1백 9십 만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노벨 화학상'''({{llang|sv|Nobelpriset i kemi}}, {{llang|en|Nobel Prize in Chemistry}})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매년 [[12월 10일]]에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서 주는 것으로 다른 노벨상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주어진다.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1,000만 [[스웨덴 크로나]]([[한화]] 약 16억 8,190만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 역대 수상자 ==
== 역대 수상자 ==
{{본문|노벨 화학상 수상자 목록}}
=== 190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01년]]
|[[파일:Vant Hoff.jpg|75px]]
|[[야코뷔스 반트 호프]]
|{{국기나라|네덜란드}}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 발견
|-
|[[1902년]]
|[[파일:Hermann Emil Fischer c1895.jpg|75px]]
|[[헤르만 에밀 피셔]]
|{{국기나라|독일 제국}}
|당과 푸린 합성에 관한 연구
|-
|[[1903년]]
|[[파일:Arrhenius2.jpg‎|75px]]
|[[스반테 아레니우스]]
|{{국기나라|스웨덴}}
|전기해리이론
|-
|[[1904년]]
|[[파일:William Ramsay.jpg|75px]]
|[[윌리엄 램지]]
|{{국기나라|영국}}
|공기 중 비활성 기체원소의 발견과 주기율표 내 위치 결정
|-
|[[1905년]]
|[[파일:Adolf von Baeyer (1905).jpg|75px]]
|[[아돌프 폰 베이어]]
|{{국기나라|독일 제국}}
|유기염료와 히드로방향족 화합물 연구
|-
|[[1906년]]
|[[파일:Henri Moissan.jpg|75px]]
|[[앙리 무아상]]
|{{국기나라|프랑스}}
|플루오린의 분리와 무아상 전기로 연구
|-
|[[1907년]]
|[[파일:Eduard Buchner (Nobel 1907).jpg|75px]]
|[[에두아르트 부흐너]]
|{{국기나라|독일 제국}}
|비세포적 발효 발견과 연구
|-
|[[1908년]]
|[[파일:Ernest Rutherford (Nobel).jpg|75px]]
|[[어니스트 러더퍼드]]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뉴질랜드}})
|원소의 분열과 방사능 물질의 화학에 대한 연구
|-
|[[1909년]]
|[[파일:Wilhelm Ostwald.jpg|75px]]
|[[빌헬름 오스트발트]]
|{{국기나라|독일 제국}}
|촉매, 화학평형과 반응속도에 관한 선구적 연구
|-
|}


=== 1910년대 ===
== 같이 보기 ==
* [[노벨 화학상 수상자 목록]]
{| class="wikitable"
* [[노벨상 수상자 목록]]
!연도
* [[울프 화학상]]
!사진
== 외부 링크 ==
!수상자
{{위키공용분류}}
!국적
* {{언어링크|en}} [http://www.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 노벨 화학상 홈페이지] - 노벨 재단
!업적
|-
|[[1910년]]
|[[파일:Otto Wallach.jpg|75px]]
|[[오토 발라흐]]
|{{국기나라|독일 제국}}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선구적 연구
|-
|[[1911년]]
|[[파일:Marie Curie (Nobel-Chem).jpg|75px]]
|[[마리 퀴리]]
|{{국기나라|폴란드}}<br />{{국기나라|프랑스}}
|[[라듐]] 및 [[폴로늄]] 발견, 라듐 분리, 라듐의 성질과 라듐화학물 연구
|-
|rowspan=2|[[1912년]]
|[[파일:Viktor-grignard.jpg|75px]]
|[[빅토르 그리냐르]]
|{{국기나라|프랑스}}
|그리냐르 시약의 발견
|-
|[[파일:Paul Sabatier.jpg‎|75px]]
|[[폴 사바티에]]
|{{국기나라|프랑스}}
|유기화합물의 수소화 방법 발견
|-
|[[1913년]]
|[[파일:Alfred Werner.jpg|75px]]
|[[알프레트 베르너]]
|{{국기나라|스위스}}
|분자 내에서의 원자의 결합 연구로 무기화학의 새로운 분야 개척
|-
|[[1914년]]
|[[파일:Theodore william richards.jpg|75px]]
|[[시어도어 리처즈|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국기나라|미국}}
|많은 화학원소의 정확한 원자량 측정
|-
|[[1915년]]
|[[파일:Richard Willstätter ETH-Bib PI 55-BO-0022.jpg|75px]]
|[[리하르트 빌슈테터]]
|{{국기나라|독일 제국}}
|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관한 연구
|-
|[[1916년]]
|rowspan="2" colspan="4" align="center"|'''수상자 없음'''
|-
|[[1917년]]
|-
|[[1918년]]
|[[파일:Fritz Haber.png|75px]]
|[[프리츠 하버]]
|{{국기나라|독일 제국}}
|원소로부터 암모니아 합성
|-
|[[1919년]]
|colspan="4" align="center"|'''수상자 없음'''
|-
|}

=== 192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20년]]
|[[파일:Walther Nernst.jpg|75px]]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열화학 분야에 관한 연구
|-
|[[1921년]]
|[[파일:Frederick Soddy.jpg|75px]]
|[[프레더릭 소디]]
|{{국기나라|영국}}
|방사성 물질의 화학동위원소의 기원과 성질에 관한 연구
|-
|[[1922년]]
|[[파일:Francis William Aston.jpg|75px]]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국기나라|영국}}
|질량분석사진기를 이용한 비방사성 동위원소 발견 및 정수법칙 발표
|-
|[[1923년]]
|[[파일:Fritz Pregl.jpg|75px]]
|[[프리츠 프레글]]
|{{국기나라|오스트리아}}
|유기 물질의 미량분석법 개발
|-
|[[1924년]]
|colspan="4" align="center"|'''수상자 없음'''
|-
|[[1925년]]
|[[파일:Richard Adolf Zsigmondy LOC.jpg|75px]]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br />{{국기나라|헝가리}}
|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
|-
|[[1926년]]
|[[파일:The-svedberg-1.jpg|75px]]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국기나라|스웨덴}}
|분산계에 대한 연구
|-
|[[1927년]]
|[[파일:Heinrich Wieland.jpg|75px]]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담즙산]] 및 관련 물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
|[[1928년]]
|[[파일:Windaus.jpg|75px]]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스테롤]]의 구도와 [[비타민]]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rowspan=2|[[1929년]]
|[[파일:ArthurHarden.jpg|75px]]
|[[아서 하든]]
|{{국기나라|영국}}
|rowspan=2|당의 발효와 발효효소에 관한 연구
|-
|[[파일:Euler-chelpin.jpg|75px]]
|[[한스 폰 오일러켈핀]]
|{{국기나라|스웨덴}}
|-
|}

=== 193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30년]]
|[[파일:Hans Fischer (Nobel).jpg|75px]]
|[[한스 피셔]]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혜민]]과 [[엽록소]] 구성성분 중 헤민 합성에 기여
|-
|rowspan=2|[[1931년]]
|[[파일:Carl Bosch.jpg|75px]]
|[[카를 보슈]]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rowspan=2|화학적 고압방법의 발명과 개발
|-
|[[파일:Bergius.jpg|75px]]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
|[[1932년]]
|[[파일:Langmuir.jpg|75px]]
|[[어빙 랭뮤어]]
|{{국기나라|미국}}
|표면화학에 대한 발견과 연구
|-
|[[1933년]]
|colspan="4" align="center"|'''수상자 없음'''
|-
|[[1934년]]
|[[파일:Urey.jpg|75px]]
|[[해럴드 클레이턴 유리]]
|{{국기나라|미국}}
|[[중수소]]에 대한 연구
|-
|rowspan=2|[[1935년]]
|[[파일:Joliot-fred.jpg|75px]]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국기나라|프랑스}}
|rowspan=2|새로운 방사성원소 합성
|-
|[[파일:Joliot-curie.jpg|75px]]
|[[이렌 졸리오퀴리]]
|{{국기나라|프랑스}}
|-
|[[1936년]]
|[[파일:Debye100.jpg|75px]]
|[[피터 디바이]]
|{{국기나라|네덜란드}}
|기체 내의 쌍극자모멘트와 엑스선 및 전자의 회절 연구
|-
|rowspan=2|[[1937년]]
|[[파일:Norman Haworth.jpg|75px]]
|[[노먼 하워스]]
|{{국기나라|영국}}
|rowspan=2|탄수화물 및 비타인 C 연구와 카로티노이드, 플라빈, 비타민 A와 비타민 B<sup><small>2</small></sup> 연구
|-
|[[파일:Paul Karrer.jpg|75px]]
|[[파울 카러]]
|{{국기나라|스위스}}
|-
|[[1938년]]
|[[파일:Richard Kuhn ETH-Bib Dia 248-065.jpg|75px]]
|[[리하르트 쿤]]
|{{국기나라|나치 독일}}
|카로티노이드와 비타민 연구
|-
|rowspan=2|[[1939년]]
|[[파일:A. Butenandt 1921.jpg|75px]]
|[[아돌프 부테난트]]
|{{국기나라|나치 독일}}
|성 호르몬 연구
|-
|[[파일:Leopold Ruzicka ETH-Bib Portr 00239.jpg|75px]]
|[[레오폴트 루지치카]]
|{{국기나라|스위스}}
|폴리메틸렌 및 폴리터펜 연구
|-
|}

=== 194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40년]]
|rowspan="3" colspan="4" align="center"|'''수상자 없음'''
|-
|[[1941년]]
|-
|[[1942년]]
|-
|[[1943년]]
|[[파일:George de Hevesy.jpg|75px]]
|[[조르주 드 헤베시]]
|{{국기나라|헝가리 왕국}}
|화학연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
|-
|[[1944년]]
|[[파일:Bundesarchiv Bild 183-46019-0001, Otto Hahn.jpg|75px]]
|[[오토 한]]
|{{국기나라|나치 독일}}
|중핵분열의 발견
|-
|[[1945년]]
|[[파일:Virtanen.jpg|75px]]
|[[아르투리 비르타넨]]
|{{국기나라|핀란드}}
|농업화학, 영양화학 연구, 특히 사료보존법 개발
|-
|rowspan=3|[[1946년]]
|[[파일:James Batcheller Sumner.jpg|75px]]
|[[제임스 섬너]]
|{{국기나라|미국}}
|효소의 결정화 발견
|-
|[[파일:John Howard Northrop.jpg|75px]]
|[[존 노스럽]]
|{{국기나라|미국}}
|rowspan=2|순수 형태의 효소 및 바이러스 단백질 제조
|-
|[[파일:Wendell Meredith Stanley.jpg|75px]]
|[[웬들 스탠리]]
|{{국기나라|미국}}
|-
|[[1947년]]
||[[파일:Robert Robinson organic chemist.jpg|75px]]
|[[로버트 로빈슨]]
|{{국기나라|영국}}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식물 생성물, 특히 알칼로이드 연구
|-
|[[1948년]]
|[[파일:Arne Tiselius.jpg|75px]]
|[[아르네 티셀리우스]]
|{{국기나라|스웨덴}}
|전기영동 및 흡착분석에 관한 연구
|-
|[[1949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윌리엄 지오크]]
|{{국기나라|미국}}
|극저온에서 물질의 거동에 관한 연구
|-
|}

=== 195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rowspan=2|[[1950년]]
|[[파일:Otto Paul Hermann Diels.jpg|75px]]
|[[오토 딜스]]
|{{국기나라|서독}}
|rowspan=2|다이엔합성의 발견과 개발
|-
|[[파일:Kurt Alder Nobel.jpg|75px]]
|[[쿠르트 알더]]
|{{국기나라|서독}}
|-
|rowspan=2|[[1951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에드윈 맥밀런]]
|{{국기나라|미국}}
|rowspan=2|트랜스우라늄 원소의 발견과 연구
|-
|[[파일:Glenn_Seaborg_-_1964.jpg|75px]]
|[[글렌 시보그]]
|{{국기나라|미국}}
|-
|rowspan=2|[[1952년]]
|[[파일:Archer John Porter Martin Nobel.jpg|75px]]
|[[아처 마틴]]
|{{국기나라|영국}}
|rowspan=2|분배 크로마토그래피 발명
|-
|[[파일:Richard Laurence Millington Synge.jpg|75px]]
|[[리처드 싱]]
|{{국기나라|영국}}
|-
|[[1953년]]
|[[파일:Hermann Staudinger.jpg|75px]]
|[[헤르만 슈타우딩거]]
|{{국기나라|서독}}
|거대분자 연구
|-
|[[1954년]]
|[[파일:Pauling.jpg|75px]]
|[[라이너스 폴링|라이너스 칼 폴링]]
|{{국기나라|미국}}
|화학결합의 특성 연구
|-
|[[1955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빈센트 뒤 비뇨]]
|{{국기나라|미국}}
|폴리펩타이드 호르몬의 최초 합성
|-
|rowspan=2|[[1956년]]
|[[파일:Cyril Norman Hinshelwood Nobel.jpg|75px]]
|[[시릴 노먼 힌셜우드]]
|{{국기나라|영국}}
|rowspan=2|화학반응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파일:Nikolay Semyonov Nobel.jpg|75px]]
|[[니콜라이 세묘노프]]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
|[[1957년]]
|[[파일:Alexander Todd Nobel.jpg|75px]]
|[[알렉산더 토드]]
|{{국기나라|영국}}
|뉴클레오티드류와 뉴클레오티드 조효소에 대한 연구
|-
|[[1958년]]
|[[파일:Frederick Sanger2.jpg|75px]]
|[[프레더릭 생어]]
|{{국기나라|영국}}
|[[인슐린]] 구조에 대한 연구
|-
|[[1959년]]
|[[파일:Heyrovsky Jaroslav crop.jpg|75px]]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국기나라|체코슬로바키아}}
|폴라로그래피의 발견과 개발
|-
|}

=== 196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60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윌러드 프랭크 리비]]
|{{국기나라|미국}}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 개발
|-
|[[1961년]]
|[[파일:Melvin Calvin.jpg|75px]]
|[[멜빈 캘빈]]
|{{국기나라|미국}}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관한 연구
|-
|rowspan=2|[[1962년]]
|[[파일:Max Perutz.jpg|75px]]
|[[막스 퍼루츠]]
|{{국기나라|영국}}
|rowspan=2|구형 단백질 구조에 관한 연구
|-
|[[파일:John Kendrew Nobel.jpg|75px]]
|[[존 켄드루]]
|{{국기나라|영국}}
|-
|rowspan=2|[[1963년]]
|[[파일:Karl Ziegler Nobel.jpg|75px]]
|[[카를 치글러]]
|{{국기나라|서독}}
|rowspan=2|고분자 화학과 기술 분야 연구
|-
|[[파일:Giulio Natta Nobel.jpg|75px]]
|[[줄리오 나타]]
|{{국기나라|이탈리아}}
|-
|[[1964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도로시 호지킨]]
|{{국기나라|영국}}
|엑스선 기술로 중요한 생화학 물질의 구조결정
|-
|[[1965년]]
|[[파일:Robert Burns Woodward in 1965.jpg|75px]]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국기나라|미국}}
|유기합성 기술의 뛰어난 연구
|-
|[[1966년]]
|[[파일:Mulliken,Robert 1929 Chicago.jpg|75px]]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국기나라|미국}}
|분자의 화학결합 및 전기적 구조에 관한 연구
|-
|rowspan=3|[[1967년]]
|[[파일:Eigen,Manfred 1996 Göttingen.jpg|75px]]
|[[만프레트 아이겐]]
|{{국기나라|서독}}
|rowspan=3|초고속 화학반응에 관한 연구
|-
|[[파일: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jpg|75px]]
|[[로널드 노리시]]
|{{국기나라|영국}}
|-
|[[파일:George Porter Nobel.jpg|75px]]
|[[조지 포터 (화학자)|조지 포터]]
|{{국기나라|영국}}
|-
|[[1968년]]
|[[파일:Onsager 1968.jpg|75px]]
|[[라스 온사거]]
|{{국기나라|미국}}
|비가역과정 열역학에 기초를 이루고 그의 이름을 딴 역관계 발견
|-
|rowspan=2|[[1969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드렉 바턴]]
|{{국기나라|영국}}
|rowspan=2|특정 유기화합물의 3차원적 형태결정에 대한 연구
|-
|[[파일:Odd Hassel.jpg|75px]]
|[[오드 하셀]]
|{{국기나라|노르웨이}}
|-
|}

=== 197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70년]]
|[[파일:Luis Federico Leloir - young.jpg|75px]]
|[[루이 를루아르]]
|{{국기나라|아르헨티나}}
|당뉴클레오티드의 발견과 탄수화물의 생합성에서 그 역할 연구
|-
|[[1971년]]
|[[파일:Herzberg,Gerhard 1952 London.jpg|75px]]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국기나라|캐나다}}
|자유 라디칼의 구조에 관한 연구
|-
|rowspan=3|[[1972년]]
|[[파일:Christian B. Anfinsen, NIH portrait, 1969.jpg|75px]]
|[[크리스천 앤핀슨]]
|{{국기나라|미국}}
|아미노산 서열과 생체활성형태의 연관성 연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스탠퍼드 무어]]
|{{국기나라|미국}}
|rowspan=2|리보뉴클레아제 내 활성센터의 화학구조와 촉매활동 간의 연관성 연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윌리엄 하워드 스테인]]
|{{국기나라|미국}}
|-
|rowspan=2|[[1973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에른스트 피셔]]
|{{국기나라|서독}}
|rowspan=2|샌드위치 화합물 화학에 관한 선구적 연구
|-
|[[파일:Geoffrey_Wilkinson_ca._1976.png|75px]]
|[[제프리 윌킨슨]]
|{{국기나라|영국}}
|-
|[[1974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폴 플로리]]
|{{국기나라|미국}}
|고분자 물리화학의 발전에 기여
|-
|rowspan=2|[[1975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존 콘포스]]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효소 - 촉매반응의 입체화학 연구
|-
|[[파일:Vladimir Prelog ETH-Bib Portr 00214.jpg|75px]]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국기나라|스위스}}
|유기분자와 유기반응의 입체화학 연구
|-
|[[1976년]]
|[[파일:William n lipscomb jr.jpg|75px]]
|[[윌리엄 립스컴]]
|{{국기나라|미국}}
|보란의 구조에 대한 연구
|-
|[[1977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일리야 프리고진]]
|{{국기나라|벨기에}}
|비평형 열역학, 특히 소산 구조론 연구
|-
|[[1978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피터 미첼]]
|{{국기나라|영국}}
|생물학적 에너지이동 과정의 공식화
|-
|rowspan=2|[[1979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허버트 브라운]]
|{{국기나라|미국}}
|rowspan=2|유기물질 합성에 붕소와 인 화학물 도입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게오르크 비티히]]
|{{국기나라|서독}}
|-
|}

=== 198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rowspan=3|[[1980년]]
|[[파일:Paul Berg in 1980.jpg|75px]]
|[[폴 버그]]
|{{국기나라|미국}}
|혼성 DNA와 관련된 핵산의 생화학적 기초 연구
|-
|[[파일:WalterGilbert2.jpg|75px]]
|[[월터 길버트]]
|{{국기나라|미국}}
|rowspan=2|핵산 염기서열 결정에 공헌
|-
|[[파일:Frederick Sanger2.jpg|75px]]
|[[프레더릭 생어]]
|{{국기나라|영국}}
|-
|rowspan=2|[[1981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후쿠이 겐이치]]
|{{국기나라|일본}}
|rowspan=2|화학반응 경로에 관한 이론
|-
|[[파일:Roald Hoffmann.jpg|75px]]
|[[로알드 호프만]]
|{{국기나라|미국}}
|-
|[[1982년]]
|[[파일:Aaron Klug 1979.jpg|75px]]
|[[에런 클루그]]
|{{국기나라|영국}}
|결정학적 전자현미경 개발과 [[핵산]] -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규명
|-
|[[1983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헨리 타우비]]
|{{국기나라|미국}}
|금속 착물의 전자이동반응 메커니즘 연구
|-
|[[1984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로버트 메리필드]]
|{{국기나라|미국}}
|고체기질 위에서의 화학합성 방법론 개발
|-
|rowspan=2|[[1985년]]
|[[파일:Herbert Hauptman - UB 2009.jpg|75px]]
|[[허버트 하우프트먼]]
|{{국기나라|미국}}
|rowspan=2|분자의 결정구조를 직접 알아내는 방법 개발
|-
|[[파일:Jerome Karle.jpg|75px]]
|[[제럼 칼]]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86년]]
|[[파일:Dudley R. Herschbach in Lindau.jpg|75px]]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국기나라|미국}}
|rowspan=3|화학의 기본과정 동역학에 대한 기여에 의해서
|-
|[[파일:Yuan T. Lee 1-1.jpg|75px]]
|[[리위안저]]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중화민국}})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존 폴라니]]
|{{국기나라|캐나다}}<br />{{국기나라|헝가리}}
|-
|rowspan=3|[[1987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도널드 제임스 크램]]
|{{국기나라|미국}}
|rowspan=3|높은 선택성의 구조 - 특이적 상호작용을 갖는 분자의 개발과 사용
|-
|[[파일:Bundesarchiv B 145 Bild-F088117-0003, Jean-Marie Lehn.jpg|75px]]
|[[장마리 렌]]
|{{국기나라|프랑스}}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찰스 피더슨]]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88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요한 다이젠호퍼]]
|{{국기나라|서독}}
|rowspan=3|[[광합성]] 반응센터의 삼차원 구조를 결정함
|-
|[[파일:Robert Huber.JPG|75px]]
|[[로베르트 후버]]
|{{국기나라|서독}}
|-
|[[파일:Michel, Hartmut (1948).jpg|75px]]
|[[하르트무트 미헬]]
|{{국기나라|서독}}
|-
|rowspan=2|[[1989년]]
|[[파일:Sidney Altman crop.jpg|75px]]
|[[시드니 올트먼]]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캐나다}})
|rowspan=2|[[RNA]]가 [[촉매]]성질을 가짐을 발견
|-
|[[파일:Thomas r. cech.jpg|75px]]
|[[토머스 체크]]
|{{국기나라|미국}}
|-
|}

=== 199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1990년]]
|[[파일:E.J.Coreyx240.jpg|75px]]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국기나라|미국}}
|유기합성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개발
|-
|[[1991년]]
|[[파일:Richard R Ernst.jpg|75px]]
|[[리하르트 에른스트]]
|{{국기나라|스위스}}
|고해상도의 [[NMR]]분광법의 개발에 대한 기여
|-
|[[1992년]]
|[[파일:Prof. Dr. Rudolph A. Marcus.jpg|75px]]
|[[루돌프 마커스]]
|{{국기나라|미국}}
|화학계에서의 전자전달반응에 대한 이론을 성립하는데 기여한 공로
|-
|rowspan=2|[[1993년]]
|[[파일:Kary Mullis.jpg|75px]]
|[[캐리 멀리스]]
|{{국기나라|미국}}
|rowspan=2|[[PCR|DNA기반 화학방법론]]의 개발에 대한 공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마이클 스미스 (화학자)|마이클 스미스]]
|{{국기나라|캐나다}}
|-
|[[1994년]]
|[[파일: Oláh György előadása 8299.jpg|75px]]
|[[조지 올라]]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헝가리}}
|탄소양이온 화학에 대한 공헌
|-
|rowspan=3|[[1995년]]
|[[파일:Paul Jozef Crutzen 128.jpg|75px]]
|[[파울 크뤼첸]]
|{{국기나라|네덜란드}}
|rowspan=3|[[대기화학]], 정확히는 [[오존층]] 파괴에 관한 연구
|-
|[[파일:Mario Molina 1c389 8387.jpg|75px|Mario J. Molina]]
|[[마리오 몰리나]]
|{{국기나라|미국}}
|-
|[[파일:F. Sherwood Rowland.jpg|75px]]
|[[셔우드 롤런드]]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96년]]
|[[파일:Robert Curl crop 2009 CHAO.jpg|75px]]
|[[로버트 컬]]
|{{국기나라|미국}}
|rowspan=3|[[풀러렌]]을 발견
|-
|[[파일:Hkroto.jpg|75px]]
|[[해럴드 크로토]]
|{{국기나라|영국}}
|-
|[[파일:Richard Smalley.jpg|75px]]
|[[리처드 스몰리]]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97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폴 보이어]]
|{{국기나라|미국}}
|rowspan=2|[[아데노신 삼인산|ATP]] 합성 반응의 기초를 이루는 효소 기작에 대한 설명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존 E. 워커]]
|{{국기나라|영국}}
|-
|[[파일:Skou2008crop.jpg|75px]]
|[[옌스 스코우]]
|{{국기나라|덴마크}}
|막경유 ATPase의 일종인 Na+K+-ATPase의 발견
|-
|rowspan=2|[[1998년]]
|[[파일:WalterKohnGraz21042006 1.jpg|75px]]
|[[월터 콘]]
|{{국기나라|미국}}
|밀도함수이론의 개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존 포플]]
|{{국기나라|영국}}
|[[양자 화학]]의 계산방법론의 개발
|-
|[[1999년]]
|[[파일:Ahmed_Zewail.jpg|75px]]
|[[아메드 즈웨일|아메드 H. 즈웨일]]
|{{국기나라|이집트}}
|[[펨토]][[초 (시간)|초]] 분광법을 이용한 화학반응의 전이단계에 대한 연구
|-
|}

=== 200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rowspan=3|[[2000년]]
|[[파일:Heeger, Alan J. (1936).jpg|75px]]
|[[앨런 제이 히거|앨런 J. 히거]]
|{{국기나라|미국}}
|rowspan=3|전도성 고분자의 발명과 발견
|-
|[[파일:Alan MacDiarmid 2005.017.004e crop.tif|75px]]
|[[앨런 맥더미드]]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뉴질랜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시라카와 히데키]]
|{{국기나라|일본}}
|-
|rowspan=3|[[2001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윌리엄 S. 놀스]]
|{{국기나라|미국}}
|rowspan=2|[[키랄]]성을 갖고 촉매되는 [[수소]]첨가반응에 대한 작업
|-
|[[파일:Rioji Noyori.jpg|75px]]
|[[노요리 료지]]
|{{국기나라|일본}}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배리 샤플리스]]
|{{국기나라|미국}}
|[[키랄]]성을 갖고 촉매되는 [[산화]]반응에 대한 작업
|-
|rowspan=3|[[2002년]]
|[[파일:John B Fenn01.jpg|75px]]
|[[존 펜]]
|{{국기나라|미국}}
|rowspan=2|생체[[고분자]]의 구조적 분석과 동정을 위한 방법론의 개발(생체 고분자의 [[질량 분석|질량 분석법]]을 위한 온화하는 이탈 이온화법의 개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다나카 고이치]]
|{{국기나라|일본}}
|-
|[[파일:Kurt wuethrich.jpg|75px]]
|[[쿠르트 뷔트리히]]
|{{국기나라|스위스}}
|생체고분자의 구조적 분석과 동정을 위한 방법론의 개발(용액중에서 생체고분자의 [[입체화학|3차원 구조 결정]]에 관한 [[핵자기 공명 분광법]]의 개발)
|-
|rowspan=2|[[2003년]]
|[[파일:Peter Agre.jpg|75px]]
|[[피터 에이그리]]
|{{국기나라|미국}}
|rowspan=2|[[세포막]]상의 [[이온 채널]]을 발견
|-
|[[파일:Roderick MacKinnon, M.D..jpg|75px]]
|[[로더릭 매키넌]]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04년]]
|[[파일:Flickr - Government Press Office (GPO) - Nobel Laureate Aaron Ciechanover.jpg|75px]]
|[[아론 치카노베르]]
|{{국기나라|이스라엘}}
|rowspan=3|[[유비퀴틴]]이 관여된 [[단백질]]의 분해를 발견
|-
|[[파일:Flickr - Government Press Office (GPO) - Nobel Laureate Avram Hershko.jpg|75px]]
|[[아브람 헤르슈코]]
|{{국기나라|이스라엘}}
|-
|[[파일:Nobel2004chemistrylaurets-Rose.jpg|75px]]
|[[어윈 로즈]]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05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이브 쇼뱅]]
|{{국기나라|프랑스}}
|rowspan=3|복분해 반응 및 복분해 반응을 유도하는 촉매물질 개발
|-
||[[파일:Robert Grubbs.jpg|75px]]
|[[로버트 그럽스]]
|{{국기나라|미국}}
|-
|[[파일:R. Schrock 2012b.jpg|75px]]
|[[리처드 슈록]]
|{{국기나라|미국}}
|-
|[[2006년]]
|[[파일:Roger.Kornberg.JPG|75px]]
|[[로저 콘버그]]
|{{국기나라|미국}}
|유전자 정보 전사과정연구
|-
|[[2007년]]
|[[파일:Prof Ertl-Portrait.jpg|75px]]
|[[게르하르트 에르틀]]
|{{국기나라|독일}}
|표면 화학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
|-
|rowspan=3|[[2008년]]
|[[파일:Osamu Shimomura-press conference Dec 06th, 2008-2.jpg|75px]]
|[[시모무라 오사무]]
|{{국기나라|일본}}
|rowspan=3|특정한 세포의 활동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는 [[녹색형광단백질]](GFP)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공로
|-
|[[파일:Martin Chalfie-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4.jpg|75px]]
|[[마틴 챌피]]
|{{국기나라|미국}}
|-
|[[파일:Roger Tsien-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2.jpg|75px]]
|[[로저 첸]]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09년]]
|[[파일:Nobel Prize 2009-Press Conference KVA-08.jpg|75px]]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인도}}<br />{{국기나라|영국}}
|rowspan=3|[[리보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
|[[파일:Nobel Prize 2009-Press Conference KVA-10.jpg|75px]]
|[[토머스 스타이츠]]
|{{국기나라|미국}}
|-
|[[파일:Ada E. Yonath.jpg|75px]]
|[[아다 요나스]]
|{{국기나라|이스라엘}}
|-
|}

=== 2010년대 ===
{| class="wikitable"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
|rowspan=3|[[2010년]]
|[[파일:Richard F. Heck2010.jpg|75px]]
|[[리처드 F. 헥]]
|{{국기나라|미국}}
|rowspan=3|[[팔라듐]]의 [[촉매]]반응 개발 공로
|-
|[[파일:Nobel Prize 2010-Press Conference KVA-DSC 7397.jpg|75px]]
|[[네기시 에이이치]]
|rowspan=2|{{국기나라|일본}}
|-
|[[파일:Nobel Prize 2010-Press Conference KVA-DSC 7370.jpg|75px]]
|[[스즈키 아키라]]
|-
|[[2011년]]
|[[파일:Nobel Prize 2011-Nobel interviews KVA-DSC 8039.jpg|75px]]
|[[단 셰흐트만]]
|{{국기나라|이스라엘}}
|[[준결정]] 상태의 발견
|-
|rowspan=2|[[2012년]]
|[[파일:Lefkowitz3.jpg|75px]]
|[[로버트 레프코위츠]]
|{{국기나라|미국}}
|rowspan=2|인체 세포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신호에 대응하는 단백질인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기능과 구조를 밝혀낸 공로를 인정
|-
|[[파일:Brian Kobilka (649437151).jpg|75px]]
|[[브라이언 코빌카]]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13년]]
|[[파일:Martin Karplus Nobel Prize 22 2013.jpg|75px]]
|[[마르틴 카르플루스]]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오스트리아}})
|rowspan=3|오늘날 컴퓨터로 화학 반응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
|-
|[[파일:Michael Levitt.jpg|75px]]
|[[마이클 레빗]]
|{{국기나라|미국}}<br/>{{국기나라|영국}}<br/>{{국기나라|이스라엘}}<br/>({{국기나라|남아프리카공화국}})
|-
|[[파일:AW TW PS.jpg|75px]]
|[[아리 워셜]]
|{{국기나라|미국}}<br/>{{국기나라|이스라엘}}<br/>({{국기나라|영국령 팔레스타인}})
|-
|rowspan=3|[[2014년]]
|[[파일:Eric Betzig.jpg|75px]]
|[[에릭 베치그]]
|{{국기나라|미국}}
|rowspan=3|미세 구조를 측정·관찰할 수 있는 기법을 발전시킨 공로
|-
|[[파일:Stefan W Hell.jpg|75px]]
|[[슈테판 헬]]
|{{국기나라|독일}}
|-
|[[파일:WE Moerner.jpg|75px]]
|[[윌리엄 머너]]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15년]]
|[[파일:Tomas Lindahl 0209.jpg|75px]]
|[[토마스 린달]]
|{{국기나라|스웨덴}}
|rowspan=3|DNA 미스매치 복구 매커니즘 규명
|-
|[[파일:Paul L. Modrich 0151.jpg|75px]]
|[[폴 L. 모드리치]]
|{{국기나라|미국}}
|-
|[[파일:Aziz Sancar 0176.jpg|75px]]
|[[아지즈 산자르]]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터키}}
|-
|rowspan=3|[[2016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장 피에르 소바주]]
|{{국기나라|프랑스}}
|rowspan=3|분자 기계를 고안하고 직접 만들어 화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프레이저 스토다트]]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미국}}
|-
|[[파일:FeringaWiki.jpg|75px]]
|[[베르나르트 페링하]]
|{{국기나라|네덜란드}}
|}

== 각주 ==
<references/>


{{노벨상}}
{{노벨상}}
{{노벨 화학상 수상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전거 통제}}
[[분류:노벨상|화학상]]

[[분류:화학상]]
[[분류:과학사]]
[[분류:노벨 화학상| ]]
[[분류:1901년 설립]]
[[분류: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

2024년 6월 1일 (토) 19:04 기준 최신판

노벨 화학상
수상대상화학
주최스웨덴 왕립 과학원
장소스톡홀름
나라스웨덴의 기 스웨덴
첫 시상1901년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야코뷔스 반트 호프1901년에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을 발견하여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사람이 됐다.

노벨 화학상(스웨덴어: Nobelpriset i kemi, 영어: Nobel Prize in Chemistry)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매년 12월 10일스웨덴 왕립 과학원에서 주는 것으로 다른 노벨상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스톡홀름에서 주어진다.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1,000만 스웨덴 크로나(한화 약 16억 8,190만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역대 수상자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