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
---|---|
개최기간 | 2015년 5월 24일 ~ 2016년 3월 29일 |
통계 | |
최다 득점 | 모하메드 알살라위 |
« 2014 2022 »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은 2015년 5월 24일부터 2016년 3월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한다.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3차 예선과 2019년 AFC 아시안컵에 직행하며, 나머지 2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도 3차 예선과 동시에 AFC 아시안컵에도 진출한다. 2위를 하고도 FIFA 월드컵 2차 예선에서 탈락한 나머지 4개 팀과 각 조 3위 팀은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진출한다. 각 조 4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은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나머지 4개 팀과 각 조 5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
참가국
[편집]시드 배정
[편집]조 추첨은 2015년 4월 14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2] FIFA 랭킹은 2015년 4월 기준.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포트 5 |
---|---|---|---|---|
이란 (40위) |
사우디아라비아 (95위) |
아프가니스탄 (135위) |
동티모르 (152위) |
말레이시아 (164위) |
경기 결과
[편집]- 보기
색상 기준 | |
---|---|
AFC 아시안컵 본선과 FIFA 월드컵 3차 예선에 직행한 각 조 1위 팀, 조 2위 팀 중 승점이 높은 상위 4개 팀 | |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팀 및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진출한 팀 | |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팀 및 AFC 아시안컵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 | |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팀 및 AFC 아시안컵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 중 전적에서 제외되는 팀 |
A조
[편집]
|
|
- 아랍에미리트는 2019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이므로, AFC 아시안컵은 경기 결과와 관계 없이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아랍에미리트 | 10 – 0 | 말레이시아 |
---|---|---|
살렘 16′ 맙쿠트 22′, 33′, 76′ 칼릴 24′, 29′, 70′, 78′ 파르단 25′ 아흐메드 37′ |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몰수)[3] | 동티모르 |
---|---|---|
알셰흐리 2′ 알살라위 23′ (페널티), 26′, 71′ 알파라지 30′ 알자심 32′ 알무왈라드 73′ |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팔레스타인 | 0 – 0 | 아랍에미리트 |
---|---|---|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동티모르 | 0 – 10 | 사우디아라비아 |
---|---|---|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알살라위 29′ (페널티), 42′, 55′ (페널티), 70′, 89′ 알나흘리 34′ 알셰흐리 35′ 알자심 85′ 하자지 90′ 알무왈라드 90+2′ |
B조
[편집]
|
|
C조
[편집]
|
|
카타르 | 15 – 0 | 부탄 |
---|---|---|
무사 8′, 28′ 카솔라 18′ 아사달라 21′, 45′, 63′ 알하이도스 25′, 87′ 문타리 37′, 41′, 49′ 아피프 57′ 쿠키 62′, 70′ 모하마드 75′ |
D조
[편집]
|
|
E조
[편집]
|
|
F조
[편집]
|
|
- 인도네시아는 2015년 5월 130일에 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고 2015년 6월 13일에 아시아 축구 연맹(AFC)으로부터 실격 처리되었다.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의 행정에 간섭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와의 경기는 모두 취소되었고 F조는 4개 팀만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G조
[편집]
|
|
- 쿠웨이트는 2015년 10|16일에 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는 쿠웨이트 정부가 쿠웨이트 축구 협회의 행정에 간섭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쿠웨이트는 미얀마와의 원정 경기, 라오스와의 홈 경기, 대한민국과의 원정 경기에서 모두 0-3 몰수패를 당했다.
H조
[편집]
|
|
예멘 | 0 – 3 (몰수)[2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서현욱 71′ |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2위 팀 중 AFC 아시안컵 자동 출전권과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 올라갈 4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 승점
- 득실차
- 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1점 : 경고,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 중립 지역에서의 플레이오프
인도네시아는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실격 처리되었고 F조는 4개 팀만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5개 팀으로 구성된 나머지 7개 조의 2위 팀들은 공정성을 위해 각 조 5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 전적만을 계산한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5위 팀 |
---|---|---|---|---|---|---|---|---|---|---|
F | 이라크 | 6 | 3 | 3 | 0 | 13 | 6 | +7 | 12 | 없음 |
E | 시리아 | 6 | 4 | 0 | 2 | 14 | 11 | +3 | 12 | 캄보디아 |
A | 아랍에미리트 | 6 | 3 | 2 | 1 | 16 | 4 | +12 | 11 | 동티모르 |
C | 중국 | 6 | 3 | 2 | 1 | 9 | 1 | +8 | 11 | 부탄 |
H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3 | 1 | 2 | 10 | 8 | +2 | 10 | 예멘 |
B | 요르단 | 6 | 3 | 1 | 2 | 9 | 7 | +2 | 10 | 방글라데시 |
D | 오만 | 6 | 2 | 2 | 2 | 6 | 6 | 0 | 8 | 인도 |
G | 레바논 | 6 | 1 | 2 | 3 | 3 | 6 | -3 | 5 | 라오스 |
각 조 4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4위 팀 중 FIFA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올라갈 상위 4개 팀과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 올라갈 하위 4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 승점
- 득실차
- 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1점 : 경고,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 중립 지역에서의 플레이오프
인도네시아는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실격 처리되었고 F조는 4개 팀만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5개 팀으로 구성된 나머지 7개 조의 4위 팀들은 공정성을 위해 각 조 5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 전적만을 계산한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5위 팀 |
---|---|---|---|---|---|---|---|---|---|---|
D | 괌 | 6 | 1 | 1 | 4 | 1 | 14 | -13 | 4 | 인도 |
G | 미얀마 | 6 | 1 | 1 | 4 | 4 | 18 | -14 | 4 | 라오스 |
H | 바레인 | 6 | 1 | 0 | 5 | 3 | 10 | -7 | 3 | 예멘 |
E | 아프가니스탄 | 6 | 1 | 0 | 5 | 4 | 24 | -20 | 3 | 캄보디아 |
B | 타지키스탄 | 6 | 0 | 1 | 5 | 3 | 19 | -16 | 1 | 방글라데시 |
F | 중화 타이베이 | 6 | 0 | 0 | 6 | 5 | 19 | -14 | 0 | 없음 |
C | 몰디브 | 6 | 0 | 0 | 6 | 0 | 15 | -15 | 0 | 부탄 |
A | 말레이시아 | 6 | 0 | 0 | 6 | 1 | 29 | -28 | 0 | 동티모르 |
득점 선수
[편집]136 경기에서 461 골이 터졌다. 1경기당 평균 3.22골이다.
- 14 골
- 11 골
- 8 골
- 7 골
- 6 골
- 5 골
- 4 골
- 3 골
- 2 골
- 하이바르 아마니
- 노를라 아미리
- 무스타파 자자이
- 마시모 루옹고
- 마크 밀리건
- 에런 무이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압둘와하브 알말루드
- 사예드 모하메드 아드난
- 체링 도르지
- 첸초 겔첸
- 왕융포
- 우레이
- 위한차오
- 우쥔칭
- 갓프레드 카리카리
- 람카와이
- 제이미스 매키
- 수닐 체트리
- 아슈칸 데자가
- 에흐산 하지사피
- 알리 아드난
- 저스틴 메람
- 가나자키 무
- 비탈리 룩스
- 하산 카이토
- 하산 마투크
- 아웅 투
- 박광룡
- 아마드 알호스니
- 아흐메드 무바락 알마하이지리
- 압둘라지즈 알무크발리
- 자카 이흐베이셰
- 사메흐 마라아바
- 야시르 핀토
- 이언 램지
- 카림 부디아프
- 모하메드 카솔라
- 파하드 알무왈리드
- 카이룰 암리
- 장현수
- 기성용
- 구자철
- 석현준
- 압델라자크 알후세인
- 라자 라페
- 아흐탐 나자로프
- 뽁끌라오 아난
- 티라톤 분마탄
- 아디삭 끄라이손
- 몽콘 톳끄라이
- 라몬 사로
- 구반치 아빌로프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 안주르 이스마일로프
- 응우옌반또안
- 아흐메드 알사로리
- 1 골
- 파이살 샤예스테
- 요제프 시르델
- 매슈 레키
- 토미 오어
- 사미 알후세이니
- 후세인 알리 바바
- 무함마드 알루마이히
- 압둘라 오마르
- 자히드 하산 아멜리
- 비렌 바스네트
- 소스 수하나
- 황보원
- 메이팡
- 장린펑
- 장시저
- 황카이쥔
- 원즈하오
- 인야지
- 브랜던 맥도널드
- 트래비스 니클로
- 크리스천 아난
- 바이허
- 찬시우키
- 쥐잉즈
- 로콴이
- 파울리뉴
- 쉬더솨이
- 산데시 징간
- 제제 랄페클루아
- 로빈 싱
- 카림 안사리파르드
- 사이드 에자톨라히
- 잘랄 호세이니
- 알리레자 자한바크슈
- 카말 캄야비니아
-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 라민 레자에이안
- 마수드 쇼자에이이
- 안드라닉 테이무리안
- 메흐디 토라비
- 모한나드 압둘라힘
- 알리 호스니
- 두르감 이스마일
- 마흐디 카밀
- 아흐메드 야신
- 하라구치 겐키
- 기요타케 히로시
- 모리시게 마사토
- 우사미 다카시
- 문테르 아부 아마라
- 야신 알바키트
- 유세프 알-나베르
- 유세프 알-라와슈데
- 바하 파이살
- 아흐메드 사미르
- 알리 마크시드
- 아지즈 마샤안
- 파이살 자히드
- 일다르 아미로프
- 예드가르 베른하르트
- 바흐티야르 두이쇼베코프
- 알마즈베크 미르잘리에프
- 로다 안타르
- 압바스 아흐메드 아트위
- 힐랄 엘헬웨
- 모하메드 가다르
- 알리 하맘
- 유세프 모하메드
- 조안 우마리
- 페이즈 샴신
- 모드 암리 야히야
- 바드롤 바크티아르
- 모드 사픽 라힘
- 사피 살리
- 압둘라 아사둘라
- 나이즈 하산
- 아흐메드 나시드
- 캬우 코 코
- 쿄자야르윈
- 수안람망
- 조민툰
- 장국철
- 로학수
- 서현욱
- 서경진
- 모하메드 알가사니니
- 사드 알무카이니
- 카심 사이드
- 라에드 이브라힘 살레
- 무스압 알바타트
- 아흐메드 이와드
- 압델라티프 바흐다리
- 마티아스 자두에
- 파블로 탐부리니
- 카데르 유세프
- 마누엘 오트
- 하비에르 파티뇨
- 슈테판 슈뢰크
- 아크람 아피프
- 압델카림 하산
- 아흐메드 압둘 마크수드
- 이스마일 모하마드
- 세바스티안 소리아
- 살만 알파라지
- 오사마 하우사위
- 나이프 하자지
- 파리스 람리
- 이청용
- 이정협
- 남태희
- 모아야드 아잔
- 오다이 알자팔
- 아마드 칼리시
- 오마르 미다니
- 파트쿨로 파트쿨로예프
- 타나 차나붓
- 끄르끄릿 타위깐
- 세르다르알리 아타예프
- 아르투르 게보르키안
- 루슬란 밍가조프
- 쉴레이만 무하도프
- 메칸 사파로프
- 모하메드 아흐메드
- 이스마일 알함마디
- 아흐메드 알하슈미
- 하비브 파르단
- 압둘라 무사
- 모하나드 살렘
- 스타니슬라프 안드레예프
- 세르베르 제파로프
- 아지즈베크 하이다로프
- 엘도르 쇼무로도프
- 딘띠엔타인
- 쩐피선
- 1 자책골
- 샤리프 무카마드 (일본 전)
- 쿤 라보라비 (일본 전)
- 렝 마카라 (시리아 전)
- 일다르 아미로프 (오스트레일리아 전)
- 발레리 키친 (방글라데시 전)
- 알리 하맘 (대한민국 전)
- 조민툰 (쿠웨이트 전)
- 함디 알마스리 (일본 전)
- 세르다르 안나오라조프 (괌 전)
- 메켄 사파로프 (오만 전)
- 딘띠엔타인 (태국 전)
기록
[편집]팀 득점 기록
[편집]
|
|
|
팀 실점 기록
[편집]
|
|
|
같이 보기
[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
-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각주
[편집]- ↑ “ExCo approves expanded AFC Asian Cup finals - AFC” (영어).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고일환 (2015년 4월 14일). “한국, 월드컵 2차예선서 쿠웨이트와 같은 조”. 《연합뉴스》.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동티모르가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경기에서 부적격 외국인 선수 12명을 출전시킨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축구 연맹(AFC), 국제 축구 연맹(FIFA)은 해당 선수가 참가한 경기를 모두 동티모르의 0-3 몰수패(말레이시아와의 원정 경기는 원래 1-1 무승부,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는 원래 아랍에미리트의 1-0 승리,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원정 경기는 원래 사우디아라비아의 7-0 승리, 팔레스타인과의 홈 경기는 원래 1-1 무승부, 말레이시아와의 홈 경기는 원래 말레이시아의 1-0 승리로 각각 기록되었음)로 처리했다.
- ↑ 가 나 사우디아라비아와 팔레스타인 간의 경기 일정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여행이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달함에 따라 변경되었다. 2015년 10월 13일 팔레스타인에서 열릴 예정이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스라엘의 통제하에 있는 팔레스타인 국경을 통과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함에 따라 2015년 11월 5일로 연기되었다. 2015년 11월 4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경기를 위한 안전 보장을 더 이상 할 수 없다고 확정하였다. 따라서 팔레스타인 대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는 중립 지대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2015년 11월 9일로 연기되었다.
- ↑ 동티모르는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말레이시아에서 치렀다. 이는 동티모르 딜리에는 국제 경기를 치르기에 적합한 경기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 ↑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후반 42분에 관중들이 경기장 안으로 물건을 던지면서 중단되었다. 경기가 중단되던 당시에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1로 앞서고 있었다. FIFA는 2015년 10월 5일에 해당 경기를 말레이시아의 0-3 몰수패로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또한 FIFA는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에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르도록 명령했다.
- ↑ 가 나 팔레스타인은 안전 문제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와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요르단에서 치렀다.
- ↑ 가 나 “Palestine to play Saudi Arabia and Malaysia on neutral ground”. FIFA.com. 2015년 11월 4일.
|보존url=
은|보존날짜=
를 필요로 함 (도움말)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말레이시아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 난동에 대한 FIFA의 징계에 따라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으나, 기록상 소수의 관중이 들어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 몰디브는 중국과의 홈 경기를 중국 선양에서 치렀다. 이는 몰디브 말레에 있는 라스미 단두 스타디움의 그라운드 상태가 나빠졌기 때문이다.
- ↑ 인도는 이란과의 홈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인 유진슨 링도(Eugeneson Lyngdoh)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이란의 3-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 ↑ 가 나 다 라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이란에서 치렀다.
- ↑ 가 나 일본과 싱가포르 간의 경기 일정은 2015년 6월 16일에 싱가포르에서 201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폐막식이 열리는 관계로 변경되었다.
- ↑ 가 나 다 라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오만에서 치렀다.
- ↑ 태국과 베트남의 경기는 2015년 6월 11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싱가포르에서 열린 201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일정과 중복되는 관계로 2015년 5월 24일로 변경되었다.
- ↑ 가 나 다 이라크는 이라크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이란에서 치렀다.
- ↑ 가 나 다 미얀마는 2011년 7|28일에 열린 오만과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홈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 난동에 대한 FIFA의 징계에 따라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태국에서 치렀다.
- ↑ 쿠웨이트는 미얀마와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카타르에서 치렀다.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 ↑ 미얀마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2015년 11월 17일 19:00 UTC+7에 태국 방콕의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열리지 못했고 결국 취소되었다.
- ↑ FIFA는 2016년 1월 14일에 미얀마와 쿠웨이트의 경기를 쿠웨이트의 0 - 3 몰수패로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이는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 ↑ 쿠웨이트와 라오스의 경기는 2016년 3월 24일 18:35 UTC+3에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의 알쿠웨이트 SC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열리지 못했고 결국 취소되었다.
- ↑ FIFA는 2016년 4월 16일에 쿠웨이트와 라오스의 경기를 쿠웨이트의 0 - 3 몰수패로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이는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 ↑ 대한민국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2016년 3월 29일 20:00 UTC+9에 대한민국 대구의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열리지 못했고 결국 취소되었다.
- ↑ FIFA는 2016년 4월 6일에 대한민국과 쿠웨이트의 경기를 쿠웨이트의 0 - 3 몰수패로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이는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 ↑ 예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홈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 – 3 몰수패(원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 – 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문제의 부적격 선수인 무디르 알라다에이(Mudir Al-Radaei)는 1차 예선 2경기에서 경고를 연이어 받아 1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다.
- ↑ 가 나 다 라 예멘은 예멘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카타르에서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