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보이기
(우이신설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서울 경전철 노선에 관한 것입니다. 해당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에 대해서는 우이신설경전철 (기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대한민국 |
종류 | 도시 철도 (서울 경전철) |
체계 | 수도권 전철 |
상태 | 영업중 |
기점 | 북한산우이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
종점 |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역 수 | 13 |
개통일 | 2017년 9월 2일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우이신설경전철 (사업 시행)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운영 및 유지보수) |
사용 차량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전동차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11.4 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선로 수 | 2 |
전철화 | 직류 750 V |
신호 방식 | ATC/ATO [무인 반자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ATC/ATO 구간 70 km/h |
설계 최고 속도 | 80 km/h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신설동) | |||||||||||||||||||||||||||||||||||||||||||||||||||||||||||||||||||||||||||||||||||||||||||||||||||||||||||||||||||||||||||||||||||||||||||||||||||||||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서울輕電鐵牛耳新設線)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북한산우이역과 동대문구의 신설동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노선이다. 노선색은 ●연두색과 서울 경전철 주조색인 ●진한 회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개요
[편집]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총연장 11.4 km이고, 차량기지 1개소와 정거장 13개소가 건설되었다. 총 사업비로는 9,299억 원이 소요되었다.[1].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시설을 갖추고[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역무실과 매표소 등을 없애고 전 구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집중관리체계를 구축했다[3]. 민간사업자(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가 운영개시일로부터 30년간 운영하며 사업시설의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4]. 그리고 국내에서 운영하는 타 경전철 노선[5]과는 달리 차량기지 구간을 포함하여 전 구간 지하화로 운영된다.[6]
양측 시종착역에서는 되돌림회차 방식으로 열차가 들어오기 때문에, 진입한 승강장에서 회차 없이 곧바로 출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 총 연장 : 11.4km[7]
- 역 수 : 13개[8]
- 운행방식 : 무인 자동 운전 / 중앙 관제 시스템
- 착공 : 2009년 9월 15일
- 개통 : 2017년 9월 2일
- 총사업비 : 9,299억원[9]
- 사업시행방법 : 민간투자사업 (BTO)
연혁
[편집]-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1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1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완료[12](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인 고려개발이 자금난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공사 중단[1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14]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1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16]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17]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
향후 계획
[편집]차량
[편집]운임
[편집]- 기존 수도권 전철의 운임 제도와 동일하며, 거리에 따른 요금만 추가된다. 환승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지만, 신분당선 등과 달리 경전철 회사에 별도로 지불해야 하는 추가 운임은 없다. 서울 전용 정기권도 사용 가능하다.
무인운행
[편집]무인자동운전으로 운행되며, 운행 중 비상정지 등 유사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관사 면허를 보유한 운행관리원이 항시에 탑승한다.
비상핸들 작동 시 주의사항
[편집]- 터널내에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하차 시 감전 위험이 있다.
역 목록
[편집]-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에 의한 것이며, 역간 거리는 사업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였다.[22]
- 역번호는 S1번대가 부여되었으나[23], 실제 시설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우이차량사업소 | - | - | 서울특별시 | 강북구 | ||||
S110 | 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 | Bukhansan Ui | 北漢山牛耳 | (0.4) | 0.0 | |||
S111 | 솔밭공원 | Solbat Park | 松林公園 | 0.8 | 0.8 | |||
S112 | 4.19민주묘지(덕성여대) | April 19th National Cemetery (Duksung Women's Univ.) |
4.19民主墓地 | 0.7 | 1.5 | |||
S113 | 가오리 | Gaori | 加五里 | 0.9 | 2.4 | |||
S114 | 화계 | Hwagye | 華溪 | 0.8 | 3.2 | |||
S115 | 삼양 | Samyang | 三陽 | 0.8 | 4.0 | |||
S116 | 삼양사거리 | Samyangsageori | 三陽四거리 | 0.7 | 4.7 | |||
S117 | 솔샘 | Solsaem | 松泉 | 0.8 | 5.5 | |||
S118 | 북한산보국문(서경대) | Bukhansan Bogungmun (Seokyeong Univ.) |
北漢山輔國門 | 1.2 | 6.7 | 성북구 | ||
S119 | 정릉(국민대입구) | Jeongneung (Kookmin Univ.) |
貞陵 | 1.2 | 7.9 | |||
S120 | 성신여대입구(돈암) | Sungshin Women's Univ. (Donam) | 誠信女大入口(敦岩) | ● 수도권 전철 4호선 | 1.2 | 9.1 | ||
S121 | 보문 | Bomun | 普門 | ● 서울 지하철 6호선 | 0.9 | 10.0 | ||
S122 |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1.0 | 11.0 | 동대문구 |
- 솔밭공원역에서 현재 1호선 방학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고, 국토부로부터 2024. 2월 우이신설연장선 도시철도 기본계획 승인되어 고시됐다.
- 2024년 내 입찰공고 및 시공사 선정 후 2025년 착공 2031년 준공 예정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서울 경전철 목동·DMC·우이연장선 '빨간불', 《머니투데이》, 2011-11-20
- ↑ 서울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노선 최종 확정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 2009-01-22
- ↑ 서울시 최초 '우이~신설 경전철' 착공…2014년 개통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09-09-10
- ↑ 우이~신설 경전철사업 내달 착공, 《한국경제》, 2009-04-10
- ↑ 부산 4호선, 대구 3호선, 인천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 ↑ 즉, 경전철 차량을 지하로 운행하면서 우이신설 도시철도의 직원은 국내 운영중인 타 경전철 노선과 달리 모두 지하에서 근무하게 된다. 사실상 국내 최초 완전지하 경전철이라고 볼 수 있다!
- ↑ 서울 우이~신설 경전철 '첫 삽'…2014년 완공, 《SBS》, 2009-09-10
- ↑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착공, 《중앙일보》, 2009-09-11
- ↑ 서울 경전철 목동·DMC·우이연장선 '빨간불', 《머니투데이》, 2011-11-20
- ↑ 우이신설 경전철(주) (2014년 9월). “우이신설 경전철(주) - 사업추진현황”. 2017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3일에 확인함. 이하 본 문단에서는 별도로 각주를 표기하지 않음.
-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4호
- ↑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연내 착공, 《머니투데이》, 2008-07-30
- ↑ 일하고 못 받은 돈 최소 264억…"애 학원도 끊었다",《프레시안》, 2013-06-28
- ↑ 서울시 재정만 쏟아부은 우이경전철 사업…특혜 의혹?, 《노컷뉴스》, 2013-04-08
- ↑ 이태수 (2016년 8월 5일). “경전철 우이-신설선 공사중단 위기…서울시 "과태료·손배 검토"(종합)”. 2016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우이-신설 경전철 26일 공사 재개…내년 7월 개통”. 연합뉴스. 2016년 8월 25일.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 2017년 3월 2일.
- ↑ 이수기 (2007년 6월 27일). “경전철 7곳 노선 확정”. 《중앙일보》. 2017년 1월 2일에 확인함.
- ↑ 강북횡단선·서부선 담긴 서울 철도망 계획, 국토부 승인 출처:경향신문 2020년 11월 17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 2020-822호
- ↑ 주요업무보고 출처:서울시
- ↑ 우이신설 경전철(주) - 노선안내, 2017년 9월 3일 확인.
- ↑ 도시철도 우이-신설선 역명제정 및 다국어 표기 알림 - 우이신설경전철 역명자료 문서파일, 2017년 3월 10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