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어
사용 국가 | 알바니아, 코소보,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그리스, 터키 등 |
---|---|
사용 지역 | 동남유럽 발칸반도 |
언어 인구 | 약 540만 명 (ca.2011)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알바니아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
언어 부호 | |
ISO 639-1 | sq
|
ISO 639-2 | alb (B)sqi (T)
|
ISO 639-3 | 다수: sqi – Albanian (generic)aln – Ghegaae – Arbëreshëaat – Arvanitikaals – Tosk
|
알바니아어(Shqip [ʃcip])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로 알바니아의 공용어이다. 알바니아어 단독으로 독립된 어군을 이룬다. 알바니아인이 다수인 알바니아와 코소보에서 공용어이며,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에서도 소수언어로 인정되고 있다. 이외에 이탈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등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의해서도 쓰인다.
알바니아어는 대략 슈쿰빈강 부근을 기준으로 남부의 토스크 방언과 북부의 게그 방언으로 대별되며, 이 두 방언의 차이는 상당히 크나 표준어와는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 두 방언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역사적 발전을 거쳐왔으며, 알바니아의 독립 이전에는 문자도 게그 방언은 로마자, 토스크 방언은 그리스 문자로 각각 다른 것을 사용했다.
알바니아어는 고대 일리리아인이 사용했던 일리리아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한 기원에 관해서는 여전히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라틴어, 그리스어, 슬라브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등의 어휘를 다수 차용하였다.
문자
[편집]알바니아어는 그리스 문자, 로마자,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등 여러 문자로 표기되어 왔으며, 베이타 크크쥬 문자와 엘바산 문자라는 지역적으로 발명된 문자도 잠시나마 쓰였다. 또한, 로마자 정서법도 여러 차례 개정되어 왔다. 현대 알바니아의 정서법은 남부 토스크 방언을 기초로 하여 로마자로 표기한다.
- A, B, C, Ç, D, Dh, E, Ë, F, G, Gj, H, I, J, K, L, Ll, M, N, Nj, O, P, Q, R, Rr, S, Sh, T, Th, U, V, X, Xh, Y, Z, Zh
- a, b, c, ç, d, dh, e, ë, f, g, gj, h, i, j, k, l, ll, m, n, nj, o, p, q, r, rr, s, sh, t, th, u, v, x, xh, y, z, zh
음운 체계
[편집]닿소리(자음)
[편집]입술소리 | 치간음 | 치경음 | 연구개화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ɲ | (ŋ)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c | k | ||||
유성음 | b | d | ɟ | ɡ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ʃ | ||||||
유성음 | dz | dʒ | |||||||
마찰음 | 무성음 | f | θ | s | ʃ | h | |||
유성음 | v | ð | z | ʒ | |||||
유음 | 설측음 | l | ɫ | ||||||
탄음 | ɾ | ||||||||
전동음 | r | ||||||||
반모음 | j |
홀소리(모음)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고모음 | i | y | u | |||
중모음 | ə | |||||
중저모음 | ɛ | ɔ | ||||
저모음 | a |
대한민국에서의 학습
[편집]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규과정으로 알바니아어학과를 개설하겠다는 발표를 했으나, 현재는 실현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한국어로 된 알바니아어 교재가 없으며, 2013년 12월 12일에 네이버 사전에서 알바니아어 사전을 추가했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김현아 기자 (2013년 12월 13일). “네이버 사전, 포르투갈어 등 국내 최초 제공”. 이데일리. 2020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