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안
복강안
福康安 | |
---|---|
《어필평정대만이십공신상찬(御筆平定臺灣二十功臣像贊)》에 있는 복강안의 초상화. 18세기 그림. | |
청나라의 군기대신 | |
임기 | 1772년 1783년 ~ 1784년 1776년 ~ 1777년 |
청나라의 내각대학사 | |
임기 | 1792년 ~ 1796년 |
전임 | 아계 |
후임 | 아계 |
청나라의 이부상서 | |
임기 | 1786년 ~ 1792년 |
청나라의 양광총독 | |
임기 | 1789년 2월 19일 ~ 1793년 9월 14일 |
신상정보 | |
출생일 | 1748년(건륭 13년) |
출생지 | 청나라 순천부(현재의 베이징 일대) |
사망일 | 1796년 7월 2일(가경 원년) 48세 |
국적 | 청나라 |
배우자 | 이르건 교로(伊爾根覺羅) 씨족 |
군사 경력 | |
복무 | 청군 |
소속군 | 양황기 |
푸차 풀캉간(만주어: ᡶᡠᠴᠠ
ᡶ᠋ᡠᠺᠠᠩᡤᠠᠨ Fuca fukʽanggan, 한국 한자: 富察 福康安 부찰 복강안, 1748년 ~ 1796년 7월 2일)은[1] 청나라 만주족 귀족인 푸차 할라 일족이고, 청나라 팔기군 양황기 출신의 정치인, 장군이다. 복강안의 아버지는 푸차 푸헝이고, 고모는 건륭제의 황후인 효현순황후이다.
복강안은 건륭제 재위 시기에 양강총독과 양광총독을 지냈다.
전투
[편집]자흐리야 수피 반란
[편집]청나라 감숙성에서 살라르족이 자흐리야 수피 반란(Jahriyya Sufi Revolt)을 일으켰다. 1784년 복강안은 아구이(阿桂, Agui), 리시야오(李時耀, 이시요)와 함께 반란을 진압했다.[2][3] 니오후루 허션은 반란 도중에 실패로 소환되었다.[4]
임상문 사건(林爽文 事件)
[편집]1787년(건륭 20년)에 대만에서 청나라를 몰아내려는 비밀결사조직 천사회(天四會)의 지도자 임상문(林爽文)이 군대를 일으켰다. 그들은 대만지부(台湾知府) 손경수(孫景燧), 이번동지(理番同知) 장경(張庚), 북로협부장(北路协副将) 혁생액(赫生額)을 살해하였다.[5]
봉산현(鳳山縣)에 있던 장대전(庄大田)도 이에 호응하여 군대를 집결시켰고, 대만 대부분이 임상문(林爽文)의 지배하에 들어갔다.[6]
복강안의 출정
[편집]건륭제는 복강안을 장군으로, 해란찰(海蘭察)을 참찬대신(参赞大臣)으로 임명하여 대만으로 원정을 떠나게 했다.[7]
당시 주뤄현(諸羅縣)은 복건성 해군제독 시대기(柴大紀)가 수비하며 잘 버텨내고 있었고, 건륭제는 이곳에 가의현(嘉義縣)이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8] 복건성 육군제독 채반룡(蔡攀龍)이 포위를 풀려고 했으나 실패했다.[9]
가의현(嘉義縣)의 포위를 풀다
[편집]복강안은 지금의 대만 장화현 남서쪽에 있는 루강진에 상륙하였고, 청나라군은 위창(劉昌)을 비롯한 여러 마을을 되찾았다.[10]
해질녘에 폭우가 내리자 복강안은 군대를 산정상으로 이동시켰고, 어두운 산 아래를 공격하기 위해 불화살을 날리게 했다. 해가 뜨고 비가 그치자, 해란찰(海蘭察)의 군대가 합류했고, 가의현(嘉義縣)의 포위는 풀렸다. 그리하여 복강안은 가궁공(嘉宮公)이라는 칭호를 받고, 홍옥석(루비) 모자와 사단용포복(四團龍補服)을 상으로 받았다.[11]
미흡한 수습
[편집]복강안이 도시로 들어가자, 가의현을 지켜낸 복건성 해군제독 시대기(柴大紀)가 예의 없이 활과 칼로 무장한 채 복강안을 알현했다. 우선, 복강안은 군인들에게 도박과 매춘을 허용하였고, 소금을 사적으로 판매하여 급여를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임상문(林爽文)의 반란은 시대기가 방치하여 점차로 커졌다고 비판하기 시작했다.[12]
그러자 해란찰(海蘭察)은 시대기를 변호했다. 건륭제도 칙령을 내려 시대기와 해란찰이 자만하고 복강안 앞에서 예절을 지키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복강안도 대신으로서의 품위 있는 태도를 가지라고 했다. 그러나 결국, 시대기(柴大紀)는 유죄를 받아 죽었다. 당시 여론은 시대기가 원통하다고 여겼고, 복강안은 인재에 대한 질투가 심하고 아버지인 푸차 푸헝보다 훨씬 열등하다고 평가하였다. 복강안은 다시 해란찰(海蘭察)을 탄핵하여 좌천시켜 버렸다.
그리고 복주장군 항서(恒瑞)의 사단은 진격하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러 있었지만, 복강안은 사촌동생으로써 그를 적극 보호했고, 건륭제도 복강안의 이기심을 질책하는 칙령을 내렸다.[13]
진압
[편집]같은 해 12월 복강안의 청나라 군대는 임상문(林爽文)의 반란군을 계속 포위하고 진압했다. 복강안은 해란찰(海蘭察)에게 임상문을 추격하도록 명령했다. 결국 임상문은 생포되어 베이징으로 보내졌다.[14] 봉산현(鳳山縣)에 있던 장대전(庄大田)까지 생포하자, 대만은 평정되었다.
건륭제는 치안을 안정시키고 관리들의 통치를 바로 잡기 위해서, 복강안을 복건성과 절강성의 총독으로 임명했다.[15]
청-네팔 전쟁(廓爾喀之役, Sino-Nepalese War)
[편집]1790년 네팔 구르카 군대가 티베트를 침공했다. 제8대 달라이 라마 참빼갸초는 라싸에서 탈출하여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건륭제는 복강안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보냈다. 복강안은 군대를 보호하기 위해 청-네팔 전쟁의 협상에 나서기도 했다.[16]
관작
[편집]- 1776년 ~ 1784년 : 삼등가용남(三等嘉勇男)
- 1784년 ~ 1787년 : 일등가용후(一等嘉勇侯)
- 1787년 ~ 1793년 : 일등가용공(一等嘉勇公)
- 1793년 ~ 1796년 : 충예가용공(忠銳嘉勇公)
- 사후 : 가용군왕(嘉勇郡王)
- 시호 : 문양(文襄)
각주
[편집]- ↑ “"Fuk'anggan"”. 《Academia Sinica》. Academia Sinica. 2018년 1월 5일. 2018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Hummel, Arthur W. Sr. (1943). “"Fu-k'ang-an" .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Hummel, Arthur W. Sr. (1943). “"Li Shih-yao" .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Hummel, Arthur W. Sr. (1943). “"Ho-shên".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乾隆传》. 323쪽.
- ↑ 《中国通史纲要》. 219쪽.
- ↑ 《乾隆传》. 328쪽.
- ↑ 《乾隆朝东华录》. 106권.
- ↑ 《清史稿》. 330권.
五十二年,台灣林爽文為亂,命福康安為將軍,而以海蘭察為參贊大臣,督師討之。時諸羅被圍久,福建水師提督柴大紀堅守。上褒大紀,改諸羅為嘉義,以旌其功。陸路提督蔡攀龍督兵赴援,圍未解。
- ↑ 《啸亭杂录》. 6권.
十一月八日,福康安等起行,賊方列拒於侖仔頂,海蘭察率巴圖魯侍衛發矢殪數十賊,賊大驚曰:“是何老騎兵,強壯乃爾?”遂即披靡。海蘭察笑曰: “此一群犬耳,何畏之有。”遂麾兵入。
- ↑ 《啸亭杂录》. 6권.
十一月八日,福康安等起行,賊方列拒於侖仔頂,海蘭察率巴圖魯侍衛發矢殪數十賊,賊大驚曰:“是何老騎兵,強壯乃爾?”遂即披靡。海蘭察笑曰: “此一群犬耳,何畏之有。”遂麾兵入。
- ↑ 《明清档案》. 乾隆三十四年十二月二十三日.
- ↑ 《清史稿》. 330권.
大紀以方在圍中,謁福康安未具櫜鞬禮,福康安銜之,疏論大紀骫法、牟利諸罪狀,並及攀龍陳戰狀不實。上以大紀困危城久,攀龍亦有勞,意右之,詔謂「二人或稍涉自滿,在福康安前禮節不謹,為所憎,遂直揭其短」,戒福康安宜存大臣體。然大紀卒以是坐死。時論冤大紀,亦深非福康安嫉能,不若傅恆遠也。福康安復劾攀龍,左遷;而福州將軍恆瑞師逗遛不進,福康安與有連,力庇之,詔亦斥其私。
- ↑ 《乾隆传》. 329쪽쪽.
- ↑ 《清史稿》. 330권.
福康安既解嘉義圍,令海蘭察督兵追捕爽文,檻致京師;復得副賊莊大田。台灣平,賜黃腰帶、紫韁、金黃辮珊瑚朝珠。命台灣、嘉義皆建生祠塑像,再圖形紫光閣。疏請募熟番補屯丁,並陳善後諸事,要在習戎事,除奸民,清吏治,肅郵政,上悉從之。旋授閩浙總督。
- ↑ “Nepal and Tibetan conflict”. 《Nepalese Army》. Nepalese Army. 2016년 12월 20일.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