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이비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


'''마이비카드'''는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선불식 전자 화폐이다. [[2000년]] [[부산광역시]]에서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교통 카드]]를 발급 및 유통하고 있다. [[2012년]]부터 [[캐시비]] 이비카드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마이비카드'''는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선불식 전자 화폐이다. [[2000년]] [[부산광역시]]에서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교통 카드]]를 발급 및 유통하고 있다. [[롯데그룹]]에 합병된 후에는 [[2012년]]부터 [[이비카드]] 기반으로 변경되어 [[캐시비]] 브랜드로 나오고 있다.


초기에는 대중교통 운임 지불 수단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자동판매기, 유통, 관공서 무인민원 발급기에서 사용하거나 공중전화 통화시 공중전화카드 대신 사용하는 등 대체 지불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초기에는 대중교통 운임 지불 수단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자동판매기, 유통, 관공서 무인민원 발급기에서 사용하거나 공중전화 통화시 공중전화카드 대신 사용하는 등 대체 지불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 마이비카드의 역사 ==
== 마이비카드의 역사 ==
[[2000년]] 9월 주식회사 마이비의 설립과 함께 [[부산광역시]]의 디지털 부산카드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다.이에 앞서 [[1998년]] 2월 [[부산광역시]]에는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출시한 [[하나로카드]]가 상용화되어 있었지만 이는 [[대중교통]] 분야에 한정된 [[교통 카드]]로만 기능할 수 있었고, 실질적으로 당시 외국에서 칩을 수입하여 들여 왔기에 시민들의 수요를 적시에 따라갈 수 없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전자화폐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 카드]]의 서비스가 필요했던 것이다.
[[2000년]] 9월 주식회사 마이비의 설립과 함께 [[부산광역시]]에서 '''디지털부산카드'''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에 앞서 [[1998년]] 2월 [[부산광역시]]에는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출시한 [[하나로카드]]가 상용화되어 있었지만 이는 [[대중교통]] 분야에 한정된 [[교통 카드]]로만 기능할 수 있었고, 실질적으로 당시 외국에서 칩을 수입하여 들여 왔기에 시민들의 수요를 적시에 따라갈 수 없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전자화폐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카드]]의 서비스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를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부산은행]]을 비롯, 롯데캐피탈, 부산롯데호텔,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KB테크놀로지(KEBT), 드림라인, 한국IT벤처투자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합작 법인을 설립한 뒤 [[2000년]] 9월 디지털부산카드의 상용화를 시작하였다. 이후 [[2002년]]에는 [[전라북도]]의 신명이카드를, [[경상남도]]의 디지털경남카드를 출시하였고 [[울산광역시]]의 디지털울산카드와 [[전라남도]]의 디지털전남예향카드를 출시하여 [[대한민국]]의 남부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확대하였고 영남과 호남 지역을 아우르며 성장하였다.
이에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를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부산은행]]을 비롯하여 롯데캐피탈, 부산롯데호텔,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KB테크놀로지(KEBT), 드림라인, 한국IT벤처투자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합작 법인을 설립한 뒤 [[2000년]] 9월 디지털부산카드의 상용화를 시작하였다. 이후 [[2002년]]에는 [[전라북도]]의 신명이카드, [[경상북도]]의 신나리카드, [[경상남도]]의 디지털경남카드를 출시하였고 [[울산광역시]]의 디지털울산카드와 [[전라남도]]의 디지털전남예향카드를 출시하여 [[대한민국]]의 남부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확대하였다. 영남과 호남 지역을 아우르며 성장하였다.


이어 [[2003년]]에는 [[충청북도]]의 으뜸e카드를 출시하였으며 [[2004년]]에는 [[광주광역시]]의 빛고을카드, [[충청남도]]의 디지털충남카드를 출시하였고 [[2006년]]에는 [[강원도]]까지 [[교통 카드]]를 출시하여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구입, 충전한 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교통 카드]] 전국 호환 정책과 함께 [[수도권]]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이어 [[2003년]]에는 [[충청북도]]의 으뜸e카드를 출시하였으며 [[2004년]]에는 [[광주광역시]]의 빛고을카드, [[충청남도]]의 디지털충남카드를 출시하였고 [[2006년]]에는 [[강원도 (남)|강원도]]까지 [[교통카드]]를 출시하여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구입, 충전한 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는 [[교통카드]] 전국 호환 정책과 함께 [[수도권]]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파일:Cashbee-Mybi.jpg|thumb|200px|신 마이비카드]]
[[파일:Cashbee-Mybi.jpg|thumb|200px|신 마이비카드]]
이와 같은 [[대중교통]] 분야 이외에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지역의 브랜드 택시나 일부 개인택시에서 마이비카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말 [[구세군]] 자선냄비나 사랑의 열매 등 디지털 모금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GS25]]나 [[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에서 지불 시스템도 갖추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등의 입장권 결제, 민원업무 시스템의 수수료 결제 등도 마이비카드로 가능하게 되었다. [[2009년]] [[9월 28일]] [[롯데그룹]]이 인수하여 [[롯데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0년]] [[12월 28일]] [[이비카드|㈜이비]]와 ㈜마이비는 공동 브랜드인 [[캐시비]]를 출시하였고<ref>[http://www.fnn.co.kr/content.asp?aid=fe101dd070244d1f916be8dba4be6828 교통비 결제도 되는 선불카드 나왔다] - 파이낸셜뉴스</ref>, [[롯데그룹]]의 캐시비 통합 정책에 따라 [[2012년]] 4월 [[캐시비]]를 기반으로 하는 신형 마이비카드를 출시하였다.<ref>[http://prlink.yonhapnews.co.kr/YNA/Basic/Article/Press/yibw_seoulpress.aspx?contents_id=RPR20120321004500353 부산시, 전국호환용 교통카드"캐시비"보급] - 연합뉴스</ref>
이와 같은 [[대중교통]] 분야 이외에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지역의 브랜드 택시나 일부 개인택시에서 마이비카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말 [[구세군]] 자선냄비나 사랑의 열매 등 디지털 모금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GS25]]나 [[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에서 지불 시스템도 갖추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등의 입장권 결제, 민원업무 시스템의 수수료 결제 등도 마이비카드로 가능하게 되었다. [[2009년]] [[9월 28일]] [[롯데그룹]]이 인수하여 [[롯데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0년]] [[12월 28일]] [[이비카드|㈜이비]]와 ㈜마이비는 공동 브랜드인 [[캐시비]]를 출시하였고<ref>[http://www.fnn.co.kr/content.asp?aid=fe101dd070244d1f916be8dba4be6828 교통비 결제도 되는 선불카드 나왔다] - 파이낸셜뉴스</ref>, [[롯데그룹]]의 캐시비 통합 정책에 따라 [[2012년]] 4월 [[캐시비]]를 기반으로 하는 신형 마이비카드를 출시하였다.<ref>[http://prlink.yonhapnews.co.kr/YNA/Basic/Article/Press/yibw_seoulpress.aspx?contents_id=RPR20120321004500353 부산시, 전국호환용 교통카드"캐시비"보급] - 연합뉴스</ref> 그 과정에서 [[캐시비]]는 [[이비카드]]·마이비카드·[[하나로카드]]의 사용 지역을 모두 포함하게 되었다. 기존 마이비카드가 단종된 이상 캐시비가 출시된 이후 호환된 지역에서는 기존 마이비카드의 사용 가능성이 낮거나 없다. 한 술 더 떠서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티머니]]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캐시비의 호환 사용은 허용하였으나, MIFARE 기반 교통카드 사용 금지 조치를 시 차원에서 내리게 되어 기존 마이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캐시비가 한페이와 상호 호환하여 캐시비를 광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 아래 문단과 표를 삭제하여 주십시오.-->
그 과정에서 [[캐시비]]는 [[이비카드]]·마이비카드·[[하나로카드]]의 사용 지역을 모두 포함한다.
* 기존 마이비카드가 단종된 이상 캐시비 출시이후 호환된 지역에서는 기존 마이비카드의 사용 가능성이 낮거나 없다.


== 마이비카드의 기술 ==
== 마이비카드의 기술 ==
{{다른 뜻|캐시비|카드 번호가 열 자리인 기존 마이비카드|카드 번호가 열 여섯 자리인 신 마이비카드}}
{{다른 뜻|캐시비|카드 번호가 열 자리인 기존 마이비카드|카드 번호가 열 여섯 자리인 신 마이비카드}}
마이비카드는 [[필립스]]사의 MIFARE Standard 1K와 PROX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 기술은 [[유패스|서울교통카드]]에도 이용된 바 있다. 카드 표면에 집적 회로가 노출되어 있는 마이비카드는 ISO 7816과 ISO 14443 표준을 따르며, 나머지는 모두 ISO 14443 표준만 따른다. MIFARE PROX 기술은 [[서울특별시]]의 신 [[교통카드]]인 [[티머니|보급형 티머니]]에 사용되고 있어서 현재 전국적으로 두루 쓰이는 두 교통 카드 시스템의 호환에 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마이비카드는 [[필립스]]사의 MIFARE Standard 1K와 PROX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 기술은 [[유패스|서울교통카드]]에도 이용된 바 있다. 카드 표면에 집적 회로가 노출되어 있는 마이비카드는 ISO 7816과 ISO 14443 표준을 따르며, 나머지는 모두 ISO 14443 표준만 따른다. MIFARE PROX 기술은 [[서울특별시]]의 신 [[교통카드]]인 [[티머니|보급형 티머니]]에 사용되고 있어서 현재 전국적으로 두루 쓰이는 두 교통 카드 시스템의 호환에 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마이페어 시스템은 복제가 쉽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티머니]]로 시스템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아예 마이페어 기반 [[교통카드]]의 사용을 금지했다. [[광주광역시]]에서도 MIFARE 기반 교통카드가 복제되기 쉽다는 특성 때문에 시 차원에서 [[한페이]]의 이용을 권장하는 추세다.


기본적으로 마이비카드는 지역 간 차별 없이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똑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기능의 제한이 있어서 다른 지역에 가더라도 사용이 무차별한 [[티머니]]와 비교된다. 특히 빛고을카드의 경우는 수도권에서 일부 호환되지 않으며<ref>자세히 설명하자면, [[인천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호환되며, [[수도권 전철]]과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ref> 빛고을카드 도입 초기에는 [[전라남도]] 면허 시내버스와도 호환하지 않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0248401 광주시내버스 전용 카드 논란] - 한국일보</ref>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선불 [[교통카드]] 기능과 [[KB 후불 카드|KB프리패스]]의 후불 [[교통 카드]] 기능과 호환된다. 기존에 판매하던 디지털경기카드를 비롯한 지역별 [[교통카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기술적으로는 [[수도권]]에서도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2007년]] 11월에는 [[한국스마트카드]]·[[이비카드|㈜이비]]와 함께 [[2008년]]까지 표준 SIM을 장착하여 각 회사의 [[교통카드]]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1월 10일]]부터는 [[수도권]] 지역에서도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마이비카드는 지역 간 차별 없이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똑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기능의 제한이 있어서 다른 지역에 가더라도 사용이 무차별한 [[티머니]]와 비교된다. 특히 빛고을카드의 경우는 수도권에서 일부 호환되지 않으며<ref>자세히 설명하자면, 구형 빛고을카드는 [[인천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에만 호환되며, [[수도권 전철]]과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캐시비의 사용이 [[광주광역시]]에서도 허용되어 이러한 제약은 줄어들었다.</ref> 빛고을카드 도입 초기에는 [[전라남도]] 면허 시내버스와도 호환하지 않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0248401 광주시내버스 전용 카드 논란] - 한국일보</ref>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선불 [[교통카드]] 기능과 [[KB 후불 카드|KB프리패스]]의 후불 [[교통 카드]] 기능과 호환된다. 기존에 판매하던 디지털경기카드를 비롯한 지역별 [[교통카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기술적으로는 [[수도권]]에서도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2007년]] 11월에는 [[한국스마트카드]]·[[이비카드|㈜이비]]와 함께 [[2008년]]까지 표준 SIM을 장착하여 각 회사의 [[교통카드]]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1월 10일]]부터는 [[수도권]] 지역에서도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 마이비카드의 사용 ==
== 마이비카드의 사용 ==
60번째 줄: 57번째 줄:


==== 주 사용 지역 ====
==== 주 사용 지역 ====
마이비카드는 지역별로 다른 [[교통 카드]]를 발급하고 있어서 [[티머니]]와 달리 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환승 및 사용 방식이 다른 점이 많았으나, [[2009년]] [[1월 1일]]부터 서비스 지역 안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도 환승 정책이 서로 다른 지역이 있으므로 참고한다. 또한 예전 마이비카드의 사용 지역 중 [[경산시의 시내버스|경산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에서는 [[대경교통카드]] 공용화 합의 이후 현재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하고 단말기를 철거하여 마이비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ref>이후 [[경산시]]에서는 [[캐시비]]를 호환 사용하게 된다.</ref>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2013년]] [[4월 1일]]자로 시내버스 [[교통카드]]를 [[티머니]] 시스템으로 변경하고 마이페어 교통카드 사용을 전면 금지하여 기존 마이비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캐시비]]는 호환할 수 있다.)
마이비카드는 지역별로 다른 [[교통카드]]를 발급하고 있어서 [[티머니]]와 달리 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환승 및 사용 방식이 다른 점이 많았으나, [[2009년]] [[1월 1일]]부터 서비스 지역 안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도 환승 정책이 서로 다른 지역이 있으므로 참고한다. 또한 예전 마이비카드의 사용 지역 중 [[경산시의 시내버스|경산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에서는 [[대경교통카드]] 공용화 합의 이후 현재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하고 단말기를 철거하여 마이비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ref>이후 [[경산시]]에서는 [[2011년]] [[8월 16일]]부터 [[티머니]]와 [[캐시비]]를 호환 사용하고 있다.</ref>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2013년]] [[4월 1일]]자로 시내버스 [[교통카드]]를 [[티머니]] 시스템으로 변경하고 마이페어 교통카드 사용을 전면 금지하여 기존 마이비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캐시비]]는 호환할 수 있다.)
* 호서대학교 셔틀버스<ref>아산캠퍼스를 기점으로 [[온양온천역]]과 천안캠퍼스의 두 방면으로 나뉘어 운행한다.</ref>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구형 마이비카드와 호서대학교 학생증 스마트카드만 사용이 가능하고 신형 마이비카드와 [[캐시비]]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호서대학교]] 셔틀버스<ref>아산캠퍼스를 기점으로 [[온양온천역]]과 천안캠퍼스의 두 방면으로 나뉘어 운행한다.</ref>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구형 마이비카드와 호서대학교 학생증 스마트카드만 사용이 가능하고, [[캐시비]] 기반으로 바뀐 신형 마이비카드와 [[캐시비]]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호환 사용 지역 ====
==== 호환 사용 지역 ====
위에 언급된 주 사용 지역 외에도 다른 지역의 [[교통카드]]와 호환하여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 전국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ATM에서 충전이 지원되어 상대적으로 충전의 제한이 적은 [[티머니]]와 달리 마이비카드는 이들 지역에서는 충전이 제한적이며 사용만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충전의 경우에는 일부 지역만 가능한데, 충전소의 검색은 마이비카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울특별시]] 공항버스나 [[경기도]] 시외버스에서는 마이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ref>[[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에서는 대중교통만 사용이 가능하다.</ref> [[롯데그룹]] 편입 이후 [[세븐일레븐]] 일부 매장에 있는 롯데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주 사용 지역 외에도 다른 지역의 [[교통카드]]와 호환하여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 전국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ATM에서 충전이 지원되어 상대적으로 충전의 제한이 적은 [[티머니]]와 달리 마이비카드는 이들 지역에서는 충전이 제한적이며 사용만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형의 경우 충전은 일부 지역만 가능한데, 충전소의 검색은 마이비카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울특별시]] 공항버스나 [[경기도]] 시외버스에서는 마이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ref>[[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에서는 대중교통만 사용이 가능하다.</ref> [[롯데그룹]] 편입 이후 [[세븐일레븐]] 일부 매장에 있는 롯데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수도권에서도 [[부산광역시]]의 [[교통카드]]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의 모든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의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모든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시내버스]] 및 [[수도권 전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운임 지불도 가능하다. 이들 지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고객안내 센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멤버십 회원 창구나 [[부산은행]] [[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 지점<ref>일부 카드는 제외한다.</ref>에서 마이비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허의 시내버스 역시 운임 지불이 가능하며, [[캐시비]]를 도입한 [[강원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마이비카드로 시내버스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ref>다만 공시적으로 공지가 되어 있지는 않다.</ref>
수도권에서도 [[부산광역시]]의 [[교통카드]]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의 모든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의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모든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시내버스]] 및 [[수도권 전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운임 지불도 가능하다. 이들 지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고객안내 센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멤버십 회원 창구나 [[부산은행]] [[대한민국의 수도권|수도권]] 지점<ref>일부 카드는 제외한다.</ref>에서 마이비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허의 시내버스 역시 운임 지불이 가능하며, [[캐시비]]를 도입한 [[강원도 (남)|강원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마이비카드로 시내버스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ref>다만 공시적으로 공지가 되어 있지는 않다.</ref>


마이비카드로 교통 사용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한국철도공사]] 관할 철도역들의 일부 자동판매기 및 [[스토리웨이]]에서 유통용으로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 [[스토리웨이]] 일부 매장의 경우 마이비카드 대신 [[티머니]]를 이용하는 곳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마이비카드로 교통 사용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한국철도공사]] 관할 철도역들의 일부 자동판매기 및 [[스토리웨이]]에서 유통용으로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 [[스토리웨이]] 일부 매장의 경우 마이비카드 대신 [[티머니]]를 이용하는 곳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2013년 11월 13일 (수) 12:46 판

마이비카드
주 사용지역 구형: 부산, 울산, 광주
전북 · 충남 · 충북 · 경주 · 광양 · 구미 · 김천 · 김해 · 나주 · 목포 · 밀양 · 사천 · 순천 · 양산 · 여수 · 원주 · 진주 · 창원 · 춘천 · 담양 · 보성 · 영암 · 장성 · 함안 · 화순
신형: 캐시비 사용 지역과 같다.
호환 사용 구형: 서울 · 인천 · 경기도 · 제주 · 강릉 · 동해 · 삼척 · 태백 · 포항 · 정선 · 평창 · 홍천 · 영월
신형: 캐시비 사용 지역과 같다.
주 발급자 ㈜마이비, ㈜롯데
사용 기간 2000년부터
www.mybi.co.kr

마이비카드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선불식 전자 화폐이다. 2000년 부산광역시에서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교통 카드를 발급 및 유통하고 있다. 롯데그룹에 합병된 후에는 2012년부터 이비카드 기반으로 변경되어 캐시비 브랜드로 나오고 있다.

초기에는 대중교통 운임 지불 수단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자동판매기, 유통, 관공서 무인민원 발급기에서 사용하거나 공중전화 통화시 공중전화카드 대신 사용하는 등 대체 지불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마이비카드의 역사

2000년 9월 주식회사 마이비의 설립과 함께 부산광역시에서 디지털부산카드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에 앞서 1998년 2월 부산광역시에는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출시한 하나로카드가 상용화되어 있었지만 이는 대중교통 분야에 한정된 교통 카드로만 기능할 수 있었고, 실질적으로 당시 외국에서 칩을 수입하여 들여 왔기에 시민들의 수요를 적시에 따라갈 수 없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전자화폐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카드의 서비스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를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부산은행을 비롯하여 롯데캐피탈, 부산롯데호텔,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KB테크놀로지(KEBT), 드림라인, 한국IT벤처투자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합작 법인을 설립한 뒤 2000년 9월 디지털부산카드의 상용화를 시작하였다. 이후 2002년에는 전라북도의 신명이카드, 경상북도의 신나리카드, 경상남도의 디지털경남카드를 출시하였고 울산광역시의 디지털울산카드와 전라남도의 디지털전남예향카드를 출시하여 대한민국의 남부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확대하였다. 영남과 호남 지역을 아우르며 성장하였다.

이어 2003년에는 충청북도의 으뜸e카드를 출시하였으며 2004년에는 광주광역시의 빛고을카드, 충청남도의 디지털충남카드를 출시하였고 2006년에는 강원도까지 교통카드를 출시하여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구입, 충전한 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는 교통카드 전국 호환 정책과 함께 수도권 지역까지 사용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신 마이비카드

이와 같은 대중교통 분야 이외에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지역의 브랜드 택시나 일부 개인택시에서 마이비카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말 구세군 자선냄비나 사랑의 열매 등 디지털 모금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GS25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에서 지불 시스템도 갖추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등의 입장권 결제, 민원업무 시스템의 수수료 결제 등도 마이비카드로 가능하게 되었다. 2009년 9월 28일 롯데그룹이 인수하여 롯데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0년 12월 28일 ㈜이비와 ㈜마이비는 공동 브랜드인 캐시비를 출시하였고[1], 롯데그룹의 캐시비 통합 정책에 따라 2012년 4월 캐시비를 기반으로 하는 신형 마이비카드를 출시하였다.[2] 그 과정에서 캐시비이비카드·마이비카드·하나로카드의 사용 지역을 모두 포함하게 되었다. 기존 마이비카드가 단종된 이상 캐시비가 출시된 이후 호환된 지역에서는 기존 마이비카드의 사용 가능성이 낮거나 없다. 한 술 더 떠서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티머니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캐시비의 호환 사용은 허용하였으나, MIFARE 기반 교통카드 사용 금지 조치를 시 차원에서 내리게 되어 기존 마이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마이비카드의 기술

마이비카드는 필립스사의 MIFARE Standard 1K와 PROX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 기술은 서울교통카드에도 이용된 바 있다. 카드 표면에 집적 회로가 노출되어 있는 마이비카드는 ISO 7816과 ISO 14443 표준을 따르며, 나머지는 모두 ISO 14443 표준만 따른다. MIFARE PROX 기술은 서울특별시의 신 교통카드보급형 티머니에 사용되고 있어서 현재 전국적으로 두루 쓰이는 두 교통 카드 시스템의 호환에 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마이페어 시스템은 복제가 쉽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티머니로 시스템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아예 마이페어 기반 교통카드의 사용을 금지했다. 광주광역시에서도 MIFARE 기반 교통카드가 복제되기 쉽다는 특성 때문에 시 차원에서 한페이의 이용을 권장하는 추세다.

기본적으로 마이비카드는 지역 간 차별 없이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똑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기능의 제한이 있어서 다른 지역에 가더라도 사용이 무차별한 티머니와 비교된다. 특히 빛고을카드의 경우는 수도권에서 일부 호환되지 않으며[3] 빛고을카드 도입 초기에는 전라남도 면허 시내버스와도 호환하지 않았다.[4]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선불 교통카드 기능과 KB프리패스의 후불 교통 카드 기능과 호환된다. 기존에 판매하던 디지털경기카드를 비롯한 지역별 교통카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기술적으로는 수도권에서도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2007년 11월에는 한국스마트카드·㈜이비와 함께 2008년까지 표준 SIM을 장착하여 각 회사의 교통카드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1월 10일부터는 수도권 지역에서도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비카드의 사용

마이비카드는 주로 대중교통의 이용에 사용되는 교통카드이다. 그러나 전자화폐의 형태로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점, 자동판매기 등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대중교통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일부 택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택시의 경우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다.

여러 종류

현재 마이비카드는 일반용(만19~64세)과 청소년용(만13 ~ 18세), 어린이용(만6 ~ 12세)의 3종이 기본적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의 경우 대학생의 도시철도 운임이 별도로 책정되어 있으므로 대학생용 교통카드가 추가로 발매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도 종전까지는 대학생용 교통카드가 발급되었으나 일반 운임과 통합되어 별도의 교통카드가 불필요하게 되었고, 이미 발급된 대학생용 교통카드는 일반용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부산광역시에서 발급되는 어린이용 카드는 마이비 키즈 카드라고도 한다.

한편, 형태상 마이비카드는 카드형·미니카드형·액세서리형을 선택할 수 있다. 미니카드형을 ㈜마이비에서는 마이미니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발급되는 카드나 대학교 학생증이나 기업의 신분증과 함께 제공되는 카드는 일반 카드형이 많으며, 일반 충전소에서 구입하거나 도시철도에서 구입하는 경우는 대부분 액세서리형이다. 일반 카드형은 주로 학생증 및 은행과 연계한 카드일 경우에 주로 발급되며, 일반 충전식 카드는 미니카드형만 일부 유통되고 있다. 액세서리형의 경우 휴대전화의 장식용으로도 사용되며, 시중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마이비카드는 액세서리형이고 마이비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부산용과 기타지역용으로 나누어 판매되고 있다. 마이비 키즈 카드의 경우는 부산용으로만 나오고 1명당 1매만 구입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광역시의 디지털부산카드를 비롯해 수종의 지역 카드가 존재하나, 지역별 카드는 단종되고 대부분 액세서리형으로 유통되고 있어서 이러한 구분은 무의미해졌다.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마이비카드는 액세서리형이지만 마이비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자신이 찍은 사진을 이용하여 "마이디 카드" 라는 셀프 디자인 카드를 주문하여 발급받을 수 있었다. 이 카드는 일반 카드형이었으며, 반드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을 올려야 했다. 웹에서 다운로드받은 사진 혹은 연예인의 사진은 업로드할 수 없었다. 2012년 3월 6일부터 청소년용 마이디 카드 발급을 종료하였으며, 2012년 6월 8일부터는 일반용 마이디 카드 발급도 종료하여 마이디 카드 서비스가 완전히 중단되었다.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카드

롯데그룹2009년 9월 28일에 마이비를 인수한 후 2010년 3월 3일롯데 자이언츠 구단과 마이비가 제휴하여 만든 카드이며, 일반 카드형으로 롯데 자이언츠 회원 및 롯데멤버스 기능이 결합된 교통 카드이다.[5] 롯데 자이언츠 인터넷 일반 회원으로 가입하면 발급받을 수 있고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롯데멤버스 홈페이지와 연동되며 재발급시 수수료가 부과된다. 롯데멤버스 홈페이지와 별도로 마이비 홈페이지에서 이 카드를 등록할 때에는 "롯데멤버스 등록하기"란에서 겉면에 있는 롯데멤버스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해야 한다. 2012년 3월 19일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 카드로 변경되어 마이비형의 발행이 중단되었다.

한국관광공사와 제휴한 외국인 전용 선불 카드이며, 내국인은 구입할 수 없다. 한국관광공사에서 나오는 선불 카드는 코리아패스 선불카드 기본과 코리아패스 선불카드 부산으로 나뉜다. 기본형은 캐시비가 탑재되어 있고 부산용은 마이비카드가 탑재되어 있다. 김해국제공항 코리아패스 서비스 데스크, 부산국제여객터미널 관광안내소, 부산역 롯데멤버스 안내 데스크가 판매처이다.

지역적 구분

교통 카드로 이용되는 마이비카드는 지역적으로 사용에 차이가 있다. 이는 대중교통 체계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마이비카드도 지역별로 다른 정책을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카드가 활용된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마이비카드를 통해 대중교통 이외의 유료도로, 택시 등의 이용도 가능하다.

주 사용 지역

마이비카드는 지역별로 다른 교통카드를 발급하고 있어서 티머니와 달리 같은 마이비카드라도 지역마다 환승 및 사용 방식이 다른 점이 많았으나, 2009년 1월 1일부터 서비스 지역 안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도 환승 정책이 서로 다른 지역이 있으므로 참고한다. 또한 예전 마이비카드의 사용 지역 중 경산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에서는 대경교통카드 공용화 합의 이후 현재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하고 단말기를 철거하여 마이비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6]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2013년 4월 1일자로 시내버스 교통카드티머니 시스템으로 변경하고 마이페어 교통카드 사용을 전면 금지하여 기존 마이비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캐시비는 호환할 수 있다.)

  • 호서대학교 셔틀버스[7]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구형 마이비카드와 호서대학교 학생증 스마트카드만 사용이 가능하고, 캐시비 기반으로 바뀐 신형 마이비카드와 캐시비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호환 사용 지역

위에 언급된 주 사용 지역 외에도 다른 지역의 교통카드와 호환하여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 전국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ATM에서 충전이 지원되어 상대적으로 충전의 제한이 적은 티머니와 달리 마이비카드는 이들 지역에서는 충전이 제한적이며 사용만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형의 경우 충전은 일부 지역만 가능한데, 충전소의 검색은 마이비카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현재는 수도권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울특별시 공항버스나 경기도 시외버스에서는 마이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8] 롯데그룹 편입 이후 세븐일레븐 일부 매장에 있는 롯데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수도권에서도 부산광역시교통카드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여 서울특별시경기도 지역의 모든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의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모든 시내버스수도권 전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운임 지불도 가능하다. 이들 지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고객안내 센터, 코레일의 멤버십 회원 창구나 부산은행 수도권 지점[9]에서 마이비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허의 시내버스 역시 운임 지불이 가능하며, 캐시비를 도입한 강원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마이비카드로 시내버스 운임 지불이 가능하다.[10]

마이비카드로 교통 사용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한국철도공사 관할 철도역들의 일부 자동판매기 및 스토리웨이에서 유통용으로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 스토리웨이 일부 매장의 경우 마이비카드 대신 티머니를 이용하는 곳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주석

  1. 교통비 결제도 되는 선불카드 나왔다 - 파이낸셜뉴스
  2. 부산시, 전국호환용 교통카드"캐시비"보급 - 연합뉴스
  3. 자세히 설명하자면, 구형 빛고을카드는 인천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에만 호환되며, 수도권 전철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캐시비의 사용이 광주광역시에서도 허용되어 이러한 제약은 줄어들었다.
  4. 광주시내버스 전용 카드 논란 - 한국일보
  5.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 카드 출시 - 이데일리
  6. 이후 경산시에서는 2011년 8월 16일부터 티머니캐시비를 호환 사용하고 있다.
  7. 아산캠퍼스를 기점으로 온양온천역과 천안캠퍼스의 두 방면으로 나뉘어 운행한다.
  8. 수도권에서는 대중교통만 사용이 가능하다.
  9. 일부 카드는 제외한다.
  10. 다만 공시적으로 공지가 되어 있지는 않다.

함께 보기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