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녀
해녀(海女)는 주로 바닷속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자로 공기탱크 없이 간단한 잠수복과 잠수용 오리발, 마스크를 착용하고 바닷물에 들어가 전복과 성게 그리고 조개(보말,소라,미역) 등을 채취한다. 잠수복을 착용하고 오리발을 사용하는 현대 해녀들의 일회 잠수시간 및 표면휴식시간은 5m 잠수시에는 약 32초 및 46초이며 10m 잠수시에는 43초 및 85초로서 5m 잠수시에는 한 시간에 46번 정도, 그리고 10m 잠수시에는 한 시간에 28번 정도 잠수한다.[1] 현재 고무로 된 잠수복을 착용하고 있지만 이전에는 다른 장비 없이 면으로 된 잠수복만을 착용하고 물에 들어갔다.[2] 제주도의 해녀들이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그 전통(문화)을 보존하려는 노력(해녀학교 등)이 있으며, 해녀허벅춤과 같은 노래가 구전되고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
---|---|
Culture of Jeju Haenyeo(Women Divers) | |
국가 | 대한민국 |
등재번호 | 1068 |
지역 | 아시아 및 태평양 |
등재 역사 | |
등재연도 | 2016년 |
목록 | 대표목록 |
해녀 문화
편집현재의 모습
편집전문적인 해녀 양성을 위해 해녀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해녀에게 주는 잠수어업증이라는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채취물의 판매가 가능하다.[3]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공개된 해녀들의 수입은 천차만별이지만, 보통 성수기 기준 하루 30-50만원이다.[4] 1960년대 당시 월세가 200원이던 시절 남편의 한 달 월급을 하루 만에 벌었던 적이 있다는 해녀도 있다. 해녀들은 가족의 생계 때문에 물질을 시작했지만, 해녀로서 강한 정체성과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5]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는 독립적이고 강한 여성상으로 한국 최초의 일하는 어머니로 여겨지며, 공동체 문화가 뿌리 깊게 남아있어 능력에 따라 공동작업을 하며 이익을 나누고 서로의 안전을 보살펴준다.[6][7]
인류무형문화유산
편집유네스코에서는 제주 해녀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8]
고령화
편집서귀포시가 2020년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서귀포시의 해녀는 총1,579명이고, 이중 60대 이상이 1,442명으로 91.3%에 달했다.[9]
관련 문화재
편집-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
- 해녀노래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1호)
- 와흘본향당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9-3호)
- 제주 해녀의 물옷과 물질도구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0호)
각주
편집- ↑ “해녀의 잠수양상, 박양생, 고신대학교 의학부 생리학교”. 2015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2일에 확인함.
- ↑ 전수진, 늙은 해녀와 깊은 바다, 중앙일보
- ↑ “"욕심 부리면 죽는다" 제주 최연소 해녀가 말하는 해녀의 삶”. 2020년 1월 2일. 2020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자기야’ 하루에 50만원? 해녀 반전 고소득에 시청자도 입이 쩍”.
- ↑ “[이슈&분석]울산해녀 20년 내 명맥 끊길 위기 - 경상일보”. 2020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Lessons from Jeju | Freediving and Motherhood with Kimi Werner - YouTube”. 2020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수정: 2020.06.24 21:39, 입력: 2020 06 24 21:33 (2020년 6월 24일). “[조례를 찾아서](25)사라져가는 ‘제주해녀’,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발판 된 조례”. 2020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제주해녀문화
- ↑ 박지호 기자 (2020년 2월 5일). “서귀포 해녀 고령화 '심각'…60대 이상이 91%”. 연합뉴스.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