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동
노량진동(鷺梁津洞)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노량진1동과 노량진2동이 있다. 노량진1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에는 노량진동과 함께 본동이 있다.
노량진제1동 鷺梁津第1洞 | |
---|---|
로마자 표기 | Noryangjin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행정 구역 | 47통, 332반 |
법정동 | 노량진동, 본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28길 30 |
지리 | |
면적 | 1.58 km2 |
인문 | |
인구 | 31,844명(2022년 2월) |
세대 | 14,359세대 |
인구 밀도 | 20,2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노량진1동 주민센터 |
노량진제2동 鷺梁津第2洞 | |
---|---|
로마자 표기 | Noryangjin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행정 구역 | 24통, 157반 |
법정동 | 노량진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19길 48 |
지리 | |
면적 | 0.65 km2 |
인문 | |
인구 | 10,742명(2022년 2월) |
세대 | 7,128세대 |
인구 밀도 | 17,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노량진2동 주민센터 |
역사
편집노량진 행정구역 변천사 | ||||||
---|---|---|---|---|---|---|
과천군 하북면
(1896) |
→ | 시흥군 북면
(1914) |
→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1936) |
→ | 경성부 영등포구
(1943) |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1946) |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1949) |
→ | 서울특별시 관악구
(1973) |
→ | 서울특별시 동작구
(1980) |
노량진은 한강을 건너기 위한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촌락었다. 한강진, 양화진과 더불어 군대의 주둔을 위한 진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노도(露渡)라 하였는데 세종 이후로 노량이라 불린 것으로 파악된다.[1] 1414년부터 경기도 관찰사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했고, 도승의 관원이 파견되었다.[2]
1897년에 한강철교가, 1917년에 한강인도교가 세워짐에 따라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일본 자본가들이 노량진에 진출해 택지를 조성하기 시작하였다.[3] 1934년 노량진이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계획에 포함됨에 따라 전차 노선 연장에 대한 기대감도 생겼다. 1936년에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한강인도교의 초도식과 함께 노량진에도 전차가 개통되었다.[4]
경부선 노량진역을 중심으로 일대에 상가가 발달하였고 1974년에 전철이 개통되었으며 강북지역 및 강남과 영등포, 시흥, 안양 등지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한강대교와 상도터널이 개통되었다.
1977년에는 사대문 안 도심학원들을 사대문 외곽으로 이전시키는 계획이 발표되었고, 1978년에는 대성학원과 성지 상아탑학원이 노량진으로 옮겨진다.[5] 이 둘을 위시로 노량진역 건너편에 노량진로를 따라 여러 학원이 들어서 학원가가 형성되었다. 처음에는 대학 입시학원이 자리잡았으며, 시대에 따라 다른 종류의 학원들도 들어선다. 1970년대에는 중동 등 해외 건설현장 파견을 위한 자격증 학원들이, 2000년대에는 공무원 임용고시 시장이 커짐에 따라 공무원 학원들이 들어섰다.[6]
시설
편집- 노량진 상수도 수원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상수도 수원지이다.
노량진역 북쪽에 수산물 도매센터인 노량진수산시장이 있고, 한강대교의 남단에 있는 노량진 상수도 수원지는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상수도 수원지다. 그 밖에 노량진역 동쪽 언덕 위에는 사육신공원(지방유형문화재)이 있다.
노량진동에 있는 묘와 그 외 사육신비 등이 안장된 공원이다. 단종 복위에 힘 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에 추가로 김문기(金文起)를 현창(顯彰)하여 모신 곳이다.
법정동
편집- 노량진동
- 본동
교통
편집- ● 수도권 전철 1호선 및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량진역 - 9호선 승하차객 수 1위를 차지하는 역이다.
-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들역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angmyeoung Moon (2021년 10월). “Traditional period Noryang's spatiality and Change of Yongsan”. 《Seoul and History》 null (109): 121–165. doi:10.22827/SEOUL.2021..109.004.
- ↑ 태종실록 태종14년 12월 1일 자
- ↑ “大京城候補地선보기巡禮 【二】 怒濤쓸린二村洞과 新生復興村의發展”. 조선일보. 1933년 9월 30일.
- ↑ “今日부터電車도 鷺梁津까지直通”. 조선일보. 1936년 10월 23일.
- ↑ “都心13개學院이전”. 경향신문. 1978년 3월 4일.
- ↑ 서울역사박물관 (2022년 6월 20일). 《노량진: 삶의 환승지대 도시화의 전이지대》. 160쪽.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