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book explores the hermeneutic question of how non-conceptual religious reality is conceptual... more This book explores the hermeneutic question of how non-conceptual religious reality is conceptually interpreted in the Buddhist tradition. While interpreters of religion have to perform their task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their subjects, religious reality is typically considered as transcending conceptual categorization. Noting this dilemmatic problem, this work discusses the issues involved in Buddhist hermeneutics.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of which discusses possibilit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Buddhist hermeneutics, through three different topics: two exegetic strategies of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interpretive problems in the realistic approach to Buddhism, and historicist interpretations of Buddhism in modern times. The second part examines particular interpretive approaches to reality in East Asian Buddhism, such as the Chinese meditative practice of kanhua Chan, the Korean scholar-monk Wŏnhyo’s (617–686) view on non-duality of buddha-nature, and the Japanese monk Kūkai’s (774–835) perspective on emptiness. By addressing these issues, this volume illuminates the fundamental hermeneutic challenge in Buddhism: how to deliver dharma of no dharma.
(https://www.cambridgescholars.com/product/978-1-5275-9189-9)
Wŏnhyo (元曉, 617-686),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 more Wŏnhyo (元曉, 617-686),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ciliatory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embracing a broad spectrum of doctrinal perspectives. He sought to reconcile the tensions between the Madhyamaka school’s notion of emptiness (空) and the Yogācāra school's emphasis on existence (有),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相) emphasized by Yogācāra thought. Rather than privileging one doctrine over another or attempting to establish a hierarchy between them, Wŏnhyo acknowledged the unique significance of each school and proposed a framework that allowed their coexistence. This reconciliatory approach is exemplified in his various writings, one of which is his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titled Hae simmil gyŏng so 解深密經疏. Although the main body of this commentary has been lost, the surviving preface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Wŏnhyo’s intellectual stance. In this preface, he identifies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as a definitive scripture (yoŭi kyŏng, 了義經, nītārtha -sūtra ), reflecting his deep respect for Yogācāra thought and underscoring the central role it played in his philosophical framework. A significant question arises regarding the response of contemporaneous scholars from the Faxiang/Pŏpsang/Hossō (法相) tradition, the East Asian counterpart of Indian Yogācāra school, to Wŏnhyo’s interpretation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ir generally critical stance toward both Madhyamak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These critiques often appeared in the context of debates over emptiness (空) versus existence (有), or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versus phenomenal aspects (相) emphasized in Yogācāra. While Faxiang scholars are generally recognized for their opposition to these views, their responses to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are less clearly articulated. Previous scholarship on Wŏnhyo has primarily centered on his reconciliatory views, with comparatively less emphasis on situating his thought within the broader intellectual landscape of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at gap by investigating how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was received by Japanese Hossō scholars. By analyzing the varied attitudes that Japanese Hossō scholars, such as Zenju (善珠, 723-797), Zōshun (蔵俊, 1104-1180), and Kiben (基弁, 1722-1791), exhibited when citing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position of Wŏnhyo’s thought within the Hossō tradition in Japa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paper seeks to illuminate the diverse currents of thought within the Faxiang/Pŏpsang/Hossō tradition, which often transcended the simplistic dichotomies of emptiness versus existence or tathāgatagarbha versus Yogācāra. Building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urther aims to contextualize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 신라 원효(元曉, 617-686)는 특정 불교 이론이나 학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포괄적으로 수용한 불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如來藏)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중관과 유식 간의 공(空)과 유(有)의 대립 및 여래장과 유식 간의 성 (性)과 상(相)의 대립을 화해하려 하였다. 원효의 화해 사상의 특징은 여래장사상과 함께 중관사상 및 유식사상 각각의 개별적 의의를 모두 인정하여 이들이 공존하는 구도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두 사상 중 하나를 양자택일하거나 혹은 사상 간의 우열을 가림으로써 논쟁을 해 결하려 한 것이 아니라 각 사상들이 지닌 의의와 가치를 모두 인정하 였다. 이러한 원효의 화해 사상은 그가 다방면의 불교 사상에 대한 저 술을 남긴 사실에도 나타나는데, 그 저술들 중 하나가 대표적 유식경전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대한 주석인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이 다. 이 저술의 본문은 일실되었지만, 현존하는 서문(序文)에서 해심밀 경이 요의경(了義經)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통해 유식사상을 근본적으 로 중시하고 있는 원효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해심밀경을 요의경으로 보는 원효의 관점에 대해 당시 법상유식논사들은 어떠한 입장을 가졌을까? 일반적으로 공과 유, 혹은 성과 상 간의 논쟁 구도에서 법상유식가들은 중관 및 여래장사상에 대 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식사상뿐 아니라 중관사상 및 여래장사상 또한 모두 받아들인 원효의 입장에 대해서 법 상유식논사들이 어떠한 태도를 취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기존의 원효 연구는 주로 원효의 화해 사상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동아시아 불교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사상적 위치 및 의미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법상논사들의 저술에 인용된 원효의 해 심밀경소의 잔간들을 단초로, 원효 사상이 일본 법상논사들에게 어떻 게 받아들여졌는가를 고찰해 보려 한다. 즉, 젠주(善珠, 723-797), 조슌 (蔵俊, 1104-1180), 기벤(基弁, 1722-1791)과 같은 일본 법상논사들이 원 효의 해심밀경소를 인용하는 태도가 일관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 여, 일본 법상 사상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법상종 내에 공유대립 혹은 성상대립이라는 단순한 이분법 적 도식을 넘어서는 다양한 사상 조류가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고, 더 불어 원효의 사상을 보다 넓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 속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In the backdrop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which was initiated in 1981 when the Supreme Pa... more In the backdrop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which was initiated in 1981 when the Supreme Patriarch of Korean Chogye Order,
Sŏngch’ŏl (1912-1993), criticized Chinul’s (知訥, 1158-1210) idea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
漸修) in favor of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cultivation” (tono tonsu, 頓悟頓修), the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sudden” and “gradual” for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n Chinul’s thought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is debate is whether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kanhwa Sŏn (看話禪) practice, which Chinul emphasized
in his later year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awakening” (haeo, 解悟) attained through intellectual
understanding (chihae, 知解) of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while the
kanhwa Sŏn is considered a practice that transcends an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ds directly to “realization-awakening” (chŭngo, 證
悟). Advocates of the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cultivation approach strongly reject intellectual elements in enlightenment,
den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They argue that Chinul’s emphasis
on kanhwa Sŏn in his later years is attributed to a transformative shift
in his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Chinul's
philosophical framework seek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kanhwa Sŏn. From
this perspective, they assert that although understanding-awakening is
obtained through intellectual elements, it ultimately culminates in the
realization-awakening. Ultimately,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can be
approached as a question of whether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are consistent, centered
on the role and legitimacy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n the polemical situa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the understanding-awakening to be
contrasted with the realization-awakening, being either completely
disregarded or merely regarded as an incomplete realiz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first, the current views on these two types of awake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underlie
awakening and cultivation. Subsequently, Chinul’s view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is reevaluated in light of the concept of
“nature-origination” (sŏnggi, 性起). Based on this analysis, the
soter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s discussed, and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is addressed.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만년에 간화선을 강조한 것도 그가 사상적 전환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지눌의 사상체계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적 연결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해오가 비록 지적 이해를 매개로 얻어지지만 점수를 거쳐 결국 증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돈점논쟁은 깨달음과 닦음에 있어서 지해(知解)의 역할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이 정합성을 가지는가의 구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사상적 연결 문제를 해오와 증오의 의미와 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논의해 보려 한다. 논쟁의 구도 속에서 해오는 증오와 대비되어 전혀 인정되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불완전한 깨달음으로만 여겨진 경향이 있다. 먼저 기존의 해오와 증오에 대한 해석을 깨달음과 닦음에 내재된 근본적 문제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리고 나서 지눌이 제시하는 해오의 의미를 성기(性起)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조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오와 증오의 수증론적 관계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행의 연결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원효(元曉, 617~686)와 대현(大賢, 8세기 경)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사상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 more 원효(元曉, 617~686)와 대현(大賢, 8세기 경)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사상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전을 수입하여 번역한 이래 유식(唯識)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 혹은 삼승(三乘, tri -yāna )과 일승(一乘, eka -yāna ) 간 의 이론적 긴장이 형성되었고, 이 둘 중 어느 입장에 더 중점을 두는가 에 따라 당시 사상적 진영은 크게 둘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원효와 대현은 양분된 두 입장을 모두 받아들인 논사들로 알려져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 대한 자신의 주석인 기신론소(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여래장 개념의 설명에 법상유식(法相唯識)의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이 두 이론 이 서로 상충되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유식 논사로 알려져 있으면서도 불성(佛性) 사상을 받아들인 대현 또한 성(性)과 상(相), 혹은 일승과 삼승의 입장을 모두 수용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원효와 대현 의 이러한 사상적 입장을 일률적 구도 하에서 해석할 수는 없다. 왜냐 하면 설령 이들이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사상적 입장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 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승과 삼승에 대한 원효와 대현의 사상적 입장을 고찰함으로써 지금까지 그다지 밝혀져 있지 않은 이들의 사상적 차별 성의 문제를 논의하려 한다. 원효와 대현의 현존 저술 가운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주석을 남긴 범망경(梵網經)에 대한 입장을 비교함으로 써 이들의 사상적 상이성을 논의한다. 또한, 이 논의 과정을 통해 전통 적 범망경 주석가들이 일승 혹은 삼승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따라 범망경 주석 부분을 달리 하고 있다는 문제 또한 검토한다. 이 를 바탕으로, 삼승과 일승 모두를 수용하는 화합적 견해 또한 사상가의 기본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나아가 고대 동아시아의 사상 구도에 내재한 유기적 다면성 문제에 대한 재조 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Wŏnhyo (元曉, 617-686) and Taehyŏn (大賢, c. 8th century), prominent Buddhist exegetes of the Silla dynasty,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had similar doctrinal views. Following Xuanzang’s (玄奘, 602~664) translation of the Buddhist literature that had newly been imported from India, doctrinal tension began to emerge between Yogācār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or the three vehicles (tri -yāna ) and one vehicle (eka -yāna ) theories.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positions was emphasized more, the views of contemporary Buddhist exegetes were largely divided. In this polemic situation, Wŏnhyo and Taehyŏn are known for their somehow paradoxic embracement of the two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In his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 Wŏnhyo draws upon various Yogācāra texts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 Taehyŏn is also known for his acceptance of both notions of the nature (K.sŏng 性) and characteristics (K. sang 相), or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However, it cannot simply be said that their views are similar to each other,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fundamental doctrinal posi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hitherto unexplored issue of how Wŏnhyo and Taehyŏn differed in their views, by observing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theories. To do so, I will comparativly examine Wŏnhyo and Taehyŏn’s views on the Brahmāʼs Net Sutra, on which they both wrote commentaries. In the process, I will also discuss the ongoing issue of why traditional commentators of the Brahmāʼs Net Sutra , such as Zhiyi (538-597), Ŭijŏk (c. seventh century), Sŭngjang (c. seventh century), Fazang (643-712), have commented on different parts of the Sutra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or three vehicles theory. Based on this, I argue that two types of ecumenical position may be possible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depending on the exegetes’ doctrinal perspectives.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known as a Yogācāra ... more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known as a Yogācāra master. In East Asia the Yogācāra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Xuanzang (602-664)’s new translations of Buddhist literature, is generally designated as the Dharma Characteristics (C. Faxiang, K. Pŏpsang) school, in distinction from the Yogācāra schools formed before Xuanzang. Taehyŏn, who belongs to the Yogācāra tradition after Xuanzang, was also considered as a master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n East Asia, however, ‘Characteristics school (Xiang zong)’, i.e.,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s regarded as doctrinally antagonistic against the so-called ‘Nature school (Xing zong)’, such as Madhayamaka, Tathāgatagrbha, and Hwaŏm (C. Huayan). In this regard, Taehyŏn’s doctrinal position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his thought contains both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The conflict between Taehyŏn’s thought and the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requires a new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na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these two concepts, by analyzing his commentaries on the two representative treatises 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that is,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respectively. 신라 대현(⼤賢, 8세기 경)은 유식논사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유식 은 중국의 현장(⽞奘, 602-664)의 새로운 번역[新譯]을 바탕으로 수립된 법상종(法相宗)과 그 이전 번역[舊譯]에 근거하여 수립된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분 하에 현장 이후 유식 전통에 속하는 대현은 보통 법상종 논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법상종을 가리키는 소위 ‘상종(相宗)’과 중관 및 여래장 사상으로 대표되는 ‘성종(性宗)’이 상반되는 사상 체계라고 여겨져 왔고, 이러한 전통 하에 이 두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대현의 사상적 성향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대현의 사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적 논사들뿐 아니라 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성과 상을 상반된 이론 체계로 보는 사상 구도 하에서 대현의 ‘복합적’ 사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성과 상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상종과 성종의 대표적 논서로 각각 알려진 성유식론』(成唯識論)과 대승기신론』(⼤乘起信論)에 대한 대현의 주석서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乘起信論內義略探記)를 고찰함으로써, 성과 상에 대한 대현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전형적인 이분법 구도를 재조명한다. 또한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의 분석 과정에서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효 (元曉, 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입장과 대현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 내에서 유식논사로서 대현의 사상적 위치를 가늠해 본다.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 kno... more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 known for its synthesis of two concepts of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In the Yogācāra tradition, ālayavijñāna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deluded consciousness, in which karmic seeds arise and cease at every moment. However, the Awakening of Faith describes it as a combined consciousness, in which neither-arising-nor-ceasing tathāgatagarbha is combined with arising-and-ceasing mind in a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or non-dual, condition.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drew attention from Buddhist exegetes, such as Wŏnhyo(元曉, 617-686), Fazang(法藏, 643-712), in polemic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ctrinal disputes between emptiness (viz., Bhāvaviveka’s [ca. 500–570] Madhyamaka view) and existence (via., Dharmapāla’s [ca. 6th century] Yogācāra view) or the controversial notion of Buddha-nature. As representative commentators of the Awakening of Faith, Wŏnhyo and Fazang both sought to demonstrate the non-duality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by drawing upon the notion of ālayavijñāna, the combined consciousness. One thing overlooked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commentators commonly focused on the non-duality of tathāgatagarbha and arising-and-ceasing mind is that they had distinct understandings of the non-duality. Wŏnhyo considered the “non-duality” as encompassing both “not-idential” and “not-different” states, Fazang regarded it as their alternative. Such distinct views of the non-duality further represent their positions on doctrinal tensions between Madhyamaka, New Yogācāra, and Old Yogācāra in the contemporary East Asia.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핵심적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승기신론(⼤乘起信論)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이라는 두 개념을 결합시킨다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식 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라야식이 생멸하는 망식(妄識)으로 여겨지지만, 기신론에서 알라야식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여래장과 생멸심(生滅心)이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非異]의 상태의 화합식(和合識)으로 설해져 있다. 불생불멸과 생멸, 혹은 진(眞)과 망(妄)의 화합식으로서의 알라야식의 개념은, 당시 공(空)과 유(有)의 대립이나 불성(佛性)을 둘러싼 논쟁적 상황 속에서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와 중국의 법장(法藏, 643~712)과 같은 불교 논사들이 주목한 개념이었다. 대표적인 기신론 주석가로 알려져 있는 원효와 법장은 모두 여래장과 생멸심이 비일비이(非⼀非異)의 상태로 화합한 것으로서의 알라야식 개념을 바탕으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의 불이원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 두 논사가 공통적으로 여래장과 생멸심의 불이원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흔히 간과되고 있는 점은 불이원성에 대한 이들의 해석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원효는 ‘비일비이’의 해석에 있어서 ‘비일(非⼀)’과 ‘비이(非異)’라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를 ‘비일’과 ‘비이’의 상태를 극복한 후에 도출되는 새로운 상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원효가 ‘비일’ 및 ‘비이’의 경우를 ‘비일비이’와 공존하는 것으로 보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의 상태에서는 ‘비일’ 혹은 ‘비이’의 상태가 결코 공존할 수 없다고 보는 두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불이원성에 대한 두 논사의 해석의 상이성은 당시 논쟁의 중심이 되었던 중관, 신유식, 구유식 사상에 대한 두 논사의 입장의 차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a compiled translation of Indian commen... more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a compiled translation of Indian commentaries on Vasubandhu’s (ca. fourth or fifth centuries CE) Triṃśikā, centering onDharmapāla’s(ca. sixth century) exegesis, is well known as the foundational text that offers the doctrinal basis of the East Asian Yogācāra school—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Ch. Faxiang zong, K. Pŏpsang chong, J. Hossōshū 法相宗). In his commentary to the Cheng weishi lun, Kuiji 窺基(632–682), the de facto founder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considers Dharmapāla’s criticism in the Cheng weishi lun toward those adhering to ‘‘emptiness’’ as aimed at such a Madhyamaka scholiast as Bhāviveka (ca. 500–570). Kuiji’s interpretation has tended to be generally accepted under the backdrop of the contemporary controversy revolving around the distinct doctrinal views between Dharmapāla and Bhāviveka. However, just as the question of whether Madhyamaka and Yogācāra over the long history of Mahāyāna Buddhism were philosophical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cannot find an easy answer, we cannot simply conclude based on the ‘‘orthodox’’ explanation that these two scholiasts were doctrinally antagonistic. Indeed, the Silla Yogācāra monk Taehyŏn 大賢(ca. eighth century) introduced three distinct interpretations by contemporary scholar monks on this matter. This paper examines East Asian commentators’ interpret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pāla and Bhāviveka as presented in Taehyŏn’s commentary of the Cheng weishi lun, and further discusses how Taehyŏn explains doctrinal conflict between the seemingly contrasting notions, such as ‘the conditioned’ (saṃskāra) and ‘the unconditioned’ (asaṃskāra), by observing his interpretation of such a concept of ‘the immaculate consciousness’ (amalavijñāna).
The Buddhist ethical concept of kuśala (C. shan 善), which is usually rendered as “wholesome” or “... more The Buddhist ethical concept of kuśala (C. shan 善), which is usually rendered as “wholesome” or “skillful,” has drawn significant scholarly attention. Although scholars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on how to approach Buddhist ethical systems, it seems to be commonly acknowledged that the wholesome dharmas in early Buddhism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mundane level and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supramundane level. According to the typical account of Buddhist soteriology, a practitioner should cultivate these two types of wholesome dharmas in order to reach the final goal of nirvāṇa. However, in Mahāyāna Buddhism, in which the division between the mundane and the supramundane sphere was ultimately deni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mundane and supramundane levels was often seen as being problematic. As a result, a philosophical problem arose concerning how to explain the doctrinal contrast between the ultimate universality and the concrete particularities. In ancient East Asia this problem emerged centering on the two conflicting notions of the Buddha-nature (Skt. buddha-dhātu, alt. tathāgatagarbha, C. foxing 佛性), the universal spiritual capability innate in all sentient beings, and the icchantikas (C. yichanti 一闡提), “incorrigibles,” those who are devoid of the capability (or, the wholesome dharmas) to attain Buddhahoo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hilosophical conundrum entailed from doctrinal incompatibility between the universal capability to become a Buddha and the beings who lack the wholesome dharmas by examining the Silla scholar monk Wŏnhyo’s 元曉 (617–686) understanding of the four antinomies (Skt. catuṣkoṭi, C. siju 四句) on the Buddha-nature of the Nirvāṇa Sutra.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semin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known f... more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semin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known for its synthesis of the two Mahāyāna concepts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Unlike early Yogācāra texts, such as the Yogācārabhūmi, in which ālayavijñāna is described as a defiled consciousness, the Awakening of Faith explains it as a “synthetic” consciousness, in which tathāgatagarbha and the defiled mind are unified in a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condition. East Asian Buddhist exegetes noted the innovative explana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and compiled the commentaries, among which Huayan master Fazang’s (643–712) commentary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reatise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athāgatagarbha texts in East Asia. However, as scholarly perceptions that the commentators’ interpretations do not always represent the Awakening of Faith’s tenets themselves have grown, the propriety of relying on Fazang’s commentary for understanding the treatise has also been questioned.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this regard is that the Silla scholar-monk Wŏnhyo’s (617–686) commentaries, which are known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Fazang’s, present very different views.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wo distinct interpretations existed in Wŏnhyo’s days for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of the Awakening of Faith, by comparing Wŏnhyo and Fazang’s commentaries, and further considers the possibility that the Awakening of Faith’s doctrine of ālayavijñāna is not doctrinally incompatible with that of early Yogācāra on the basis of Wŏnhyo’s view on ālayavijñāna.
Wŏnch’ŭk 圓測(613~696) was a Silla exegete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 more Wŏnch’ŭk 圓測(613~696) was a Silla exegete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Since modern scholarship on Wŏnch’ŭk began,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his Yogācāra thought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The dishonorable image of Wŏnch’ŭk described in the Sung Kao-seng chuan has been reevaluated based on a discovery of new biographical materials, and Wŏnch’ŭk’s scholarly position in modern times has been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aramārtha’s (499∼569), an exegete of Old Yogācāra. In the 1990’s, a new perspective was raised, positing that Wŏnch’ŭk’s doctrinal position was based on the New Yogācāra, in contrast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While this novel argument trul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Wŏnch’ŭk’s doctrinal views, it fell short of explaining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Wŏnch’ŭk and Ji 基(632~682). Given that we cannot determine Wŏnch’ŭk’s commitment to either the Old or New Yogācāra, this article seek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Wŏnch’ŭk’s scholasticism may be explained. To do this, first I critically review previous scholarship on Wŏnch’ŭk, examine the problems unresolved in the current research literature and finally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본 논문에서는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이분법 적 구도를 전제로 하여 양자택일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 고,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원측이 양측의 입장을 모두 평등하게 수용하고 있 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는 세 부류의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원측 연구에 대한 시 각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신라 출신 승려로서 동아시아 유식전통의 격동기에 살다간 원측에 대한 학 계의 해석은 이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될 당시부터 이분법적 구도 하에 진 행되었다. 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원측의 전기문이 왜곡된 것이라는 사실 은 서명파와 자은파의 대립을 배경으로 한다는 인식 하에 고찰되어졌고, 원측 저술에 구유식 논사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의 인용문이 다수 포함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원측의 주요 사상적 기반이 신유식이 아니라 구 유식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원측 저술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원측이 신유식 사상에 충실하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고 현재까 지 원측 교학의 신유식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원 측과 진제의 사상적 연계성이나 원측과 신유식 논사 자은기(慈恩基, 632∼ 682)의 견해의 상이성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어 구유식과 신유식 가운데 원측 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유식과 신유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 원측 사상에 대해 양자택 일적 해석 방식을 취한 지금까지의 시도와 달리, 원측이 구유식과 신유식의 양 측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원측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원측이 어떻게 모두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시각 하에 조 망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구유식과 신유 식의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제점이 학계에서 지적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더 주목된다. 이 각각의 새로운 시각 하에 서 원측이 어떤 근거와 이유를 가지고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원측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Silla monk Jinpyo 眞表(ca. 8th centry) is known as a Vinaya master, who rebuilt Geumsan monastery ... more Silla monk Jinpyo 眞表(ca. 8th centry) is known as a Vinaya master, who rebuilt Geumsan monastery and ordained people at the ordination platform of complete equality(C. fangdeng jietan, K.bangdeung gyedan ⽅等戒壇) on the one hand, and as a Yogācāra monk on the other. The extant records in Jinpyo’s biographies, however, mostly focus on his miraculous behaviors, severe level of repentance, and practice of divination by using wooden “wheels” on the basis of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占察善惡業報經. Such Jinpyo’s image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his contemporary Yogācāra monks, such as Daehyeon ⼤賢 (ca. 8th century), who is rather known for his sophisticated study of Buddhist doctrines and philosophical works. Moreover, no work is known to us that is attributed to Jinpyo. Given this,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the sutra that Jinpyo relied on throughout his career, is worth considering as the only textual source, by which we may trace his doctrinal position. This article first considers the doctrinal connection between the ordination platform of complete equality and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then discusses the supernatural element of the repentance and ordination in Buddhist doctrinal context, and finally examines the similarity between this sutra and the chapter of cultivating faith(C. xiuxing xinxin fen, K. suhaeng sinsim bun 修⾏信⼼分) of the Awakening of Faith(C. Dasheng qixin lun, K. Daeseung gisillon ) ⼤乘起信論.
신라 景德王代의 승려 眞表(8세기 경)는 金山寺를 중창하고 方等戒壇에서 菩薩戒를 널리 베푼 律師로 알려져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相宗 계통 승려로 전해져 온다. 하지만 僧傳에 기록된 진표에 대한 자료는 그의 신이한 행적이나 그가 행한 亡身懺이라는 특이한 懺法, 그리고 『占察善惡業報經』을 바탕으로 木輪相法에 의한 占을 행한 것이 중심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진표와 거의 동시대인으로서 신라의 瑜伽祖로 알려져 있는 大賢(8세기)을 위시한 유식학 승려들이 보통 그들의 교학적 사상이나 저술을 중심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매우 상이하다. 이와 같이 진표의 행적은 교학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고, 게다가 진표의 저술로 알려진 것은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진표의 사상적 성향을 가능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가 의지한 『占察經』에 주목하려 한다. 먼저 율사로서의 진표가 의지한 『점찰경』과 방등계단의 사상적 연계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점찰경』의 참회와 수계 이론의 신이성에 대해 논의한 후, 이 경과 『大乘起信論』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율사로서의 진표가 바탕을 둔 사상적 기조가 어떠한 것이었나를 논의해 본다.
The Yugaron gi 瑜伽論記, Silla monk Dullyun’s 遁倫 (alt. 道倫, ca. 650-730) commentary on the Yogācārabhū... more The Yugaron gi 瑜伽論記, Silla monk Dullyun’s 遁倫 (alt. 道倫, ca. 650-730) commentary on the Yogācārabhūmi, is an important material in Buddhist studies, not only because it is the only extant East Asian commentary that deals with the entire volumes of the Yogācārabhūmi, but also because it collectively cites ancient East Asian Yogācāra exegetes’ views, which are now lost. However, the research on the Yugaron gi has not progressed very far since its initial stage, because the contemporary controversial issues in Yogācāra doctrinal system has not been studied enough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Yugaron gi.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ystemic study on the Yugaron gi, this article, as an initial step toward a broa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verviews precedent research on the Yugaron gi and then discusses the remaining tasks.
신라승 둔륜(遁倫 혹은 道倫, ca. 650~730)의 『유가론기(瑜伽論記)』는 유식학의 근본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 대한 현존하는 몇 가지 주석서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유가론(瑜伽論)』100권 전체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로서 중요하다. 특히 『유가론기』에는 지금은 일실된 신라논사들의 『유가론』 주석서의 설을 포함하여 이전 논사들의 학설들이 집성되어 있어 당시 유식논사들의 산일된 주장과 사상적 이슈들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임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가론기』의 사상적 중요성에 대한 학계의 초기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유가론기』와 이 논서에 등장하는 신라 논사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이것은 『유가론기』가 유식학의 방대한 교리체계를 정리한『유가론)』의 주석서라는 점 이외에, 『유가론기』의 사상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당대 유식학의 교리적 논쟁점들에 대한 선행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가론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자각 하에, 이에 대한 선행 작업으로서 신라 유식학과 『유가론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상세히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남은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has been accepted in East Asia by either demonstrating its associatio... more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has been accepted in East Asia by either demonstrating its association to tathāgatagarbha or negating it, since Bodhiruci (fl. 508-35) introduced it by translating the Daśabhūmikasūtra-śāstra. It was in this context that the Awakening of Faith (C.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drew East Asian Buddhist scholiasts’ attention. The central messag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at tathāgatagarbha is synthesized to ālayavijñāna in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condition is directly associated to the contemporary issue of how ālayavijñāna serves as the basis of sentient being’s enlightenment. Silla Yogācāra exegete Taehyŏn 大賢(ca. 8th century) is one of the East Asian monks who noted the Awakening of Faith and arti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in the Taesŭng kisillon naeŭi yakt’amgi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his commentary of the Awakening of Faith.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in his commentary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comparison to those of other exegetes, such as Wŏnhyo 元曉 (617-686) and Fazang 法藏 (643-712).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at there were distinct doctrinal positions on the tathāgatagarbha of the Awakening of Faith, which are also associated to their understandings of consciousness system.
The theory of the “three Buddha bodies” (Skt. trikāya, Ch. sanshen, K. samsin 三身) is a well-known... more The theory of the “three Buddha bodies” (Skt. trikāya, Ch. sanshen, K. samsin 三身) is a well-known doctrine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Buddhist scripture accounts of this theory show a wide range of variation. The Golden Light Sutra (Skt. Suvarṇaprabhāsottamasūtra, Ch. Jinguangming jing, K. Geumgwangmyeong gyeong 金光明經)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riptures that discuss this theory. Many East Asian exegetes paid attention to this theory as presented in the Golden Light Sutra, but their interpretations of it differed according to their doctrinal posi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Silla exegete Wonhyo’s 元曉(617-686) position on the theory of three Buddha bodies by comparing his interpretations of the Golden Light Sutra to Cien Ji’s 慈恩基(632-682) and Jingying Huiyuan’s 淨影慧遠(523-592). Although Wonhyo’s commentary on the Golden Light Sutra, the Geumgwangmyeong gyeong so 金光明經疏, no longer exists, the Japanese monk Gangyō 願曉(835–871) cites a significant part of Wonhyo’s text in his own commentary on the sutra, the Konkōmyō saishō ō kyō gensū 金光明最勝王經玄樞. By comparing Wonhyo’s commentary to Cien Ji’s and Jingying Huiyuan’s, this article ultimately aims to bring ab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Wonhyo’s scholastic position within the contemporary dynamics of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State-protection Buddhism” (C. huguo Fojiao, K. hoguk Pulgyo 護國佛敎), the idea that Buddhism prote... more “State-protection Buddhism” (C. huguo Fojiao, K. hoguk Pulgyo 護國佛敎), the idea that Buddhism protects the state from various natural as well as societal difficulties, was widely accepted in premodern East Asia. Not a few number of East Asian rulers, who adopted Buddhism as the state ideology, expected Buddhist deities, such as the four heavenly kings (S.cāturmahārājakāyika), to protect the state as a result of their faith in such a “state-protection” scripture as the Golden Light Sutra. Although state-protection Buddhism has been approached focusing on its political aspect, from Buddhist doctrinal viewpoint, state-protection refers to none other than “Dharma-protection” (C. hufa, K. hobŏp 護法), and those who take on the role of protecting the state also are protectors of the Dharma. East Asian Buddhist scholiasts, however, did not always reach consensus on the nature of kingship as Dharma-protector. This article explores distinct interpretations on kingship in the GLS between two eminent Buddhist exegetes, Wŏnhyo 元曉 (617-686) and Huizhao 慧昭 (774-850), by comparing their views as described in the commentaries on the Golden Light Sutra. Although Wŏnhyo’s commentary on the Golden Light Sutra, the Kŭmgwangmyŏng kyŏng so 金光明經疏, is not extant,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entary is cited in Japanese monks’ commentaries on the sutra, such as Gangyou’s 願曉 (835-871) Konkōmyō saishō ō kyō genus 金光明最勝王經玄樞, and we can therefore compare it to Huizhao’s commentary, Jinguangming zuishengwang jing shu 金光明最勝王經疏.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views on the sutra, the article discusses how the two exegetes interpret kingship in the Golden Light Sutra in their distinct ways of reconciliation of the two dilemmatic concepts of commonality and particularity.
Madhyamaka and Yogācāra are two Mahāyāna schools which have distinct systems. In the seventh cent... more Madhyamaka and Yogācāra are two Mahāyāna schools which have distinct systems. In the seventh century East Asia, the doctrin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chools was received as doctrinal contrast in the polemic circumstance of Emptiness-Existence (C. kongyou 空有) controversy. In this context, Ji 基(632–682), the putative founder of East Asian Yogācāra school, has been normally considered by scholars to have advocated ‘Existence’ (viz., Yogācāra) in opposition to ‘Emptiness’ (viz., Madhyamaka). It is problematic, however, to brand Ji’s Yogācāra position simply as anti-Madhyamaka. Although Ji evidently expresses evident criticism on such a Madhyamaka exegete as Bhāvaviveka (ca. 500–570) in some of his works, he also describes Bhāvaviveka in an amicable or even respective way in other works. By analyzing Ji’s extant works, this article argues that Ji’s scholastic attitude toward Madhyamaka changed from criticism to approval.
The Awakening of Faith is a seminal treatise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Its doctrinal aspe... more The Awakening of Faith is a seminal treatise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Its doctrinal aspects that encompass perspectives of various Buddhist schools made huge influence o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East Asian Buddhism. In modern Korean Buddhist scholarship, research on the Awakening of Faith has continued focusing on Wŏnhyo’s 元曉(617~686) commentaries, such as the Kisillon so 起信論疏 and the Taesŭng kisillon pyŏlgi 大乘起信論別記, an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chievement on this subject. Although Korean scholarship has reached a certain level of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Awakening of Faith through Wŏnhyo’s commentaries, however, broader doctrinal significance of the Awakening of Faith beyond Wŏnhyo’s, or Korean, perspective does not seem to has been properly considered. Given that the Awakening of Faith has its long history since it appeared in the sixth century, the treatise must have been place in various types of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text. Furthermore, it is certain that Wŏnhyo’s thoughts on the Awakening of Faith will be more explained when illuminated 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In need of extending the research scop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is article overvie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Awakening of Faith in China, Korea, and Japan up until modern times 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By doing this, I disclose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doctrinal perspectives revolving around the Awakening of Faith, and suggest to reconsider Korean Buddhist scholarship on the Awakening of Faith, which has been focused on Wŏnhyo.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has been explained through traditional bifurcations, such as “Old” a... more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has been explained through traditional bifurcations, such as “Old” and “New” Yogācāra Buddhism, Tathāgatagarbha and Yogācāra, One Vehicle (一乘, S. eka-yana) and Three Vehicles (三乘, S. tri-yana), or Dharma Nature School (法性宗) and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法相宗). These conceptual pairs have served as useful tools in expla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octrinal evolvement of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These simplistic binary frames, however, contain historical and/or doctrinal problems i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Yogācāra tradition in East Asia. In this regards, this paper critically reflects on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bifurcation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thereby disclosing fundamental problems of the binary frame. The paper finally discusses the prospect of studies on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This book explores the hermeneutic question of how non-conceptual religious reality is conceptual... more This book explores the hermeneutic question of how non-conceptual religious reality is conceptually interpreted in the Buddhist tradition. While interpreters of religion have to perform their task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their subjects, religious reality is typically considered as transcending conceptual categorization. Noting this dilemmatic problem, this work discusses the issues involved in Buddhist hermeneutics.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of which discusses possibilit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Buddhist hermeneutics, through three different topics: two exegetic strategies of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interpretive problems in the realistic approach to Buddhism, and historicist interpretations of Buddhism in modern times. The second part examines particular interpretive approaches to reality in East Asian Buddhism, such as the Chinese meditative practice of kanhua Chan, the Korean scholar-monk Wŏnhyo’s (617–686) view on non-duality of buddha-nature, and the Japanese monk Kūkai’s (774–835) perspective on emptiness. By addressing these issues, this volume illuminates the fundamental hermeneutic challenge in Buddhism: how to deliver dharma of no dharma.
(https://www.cambridgescholars.com/product/978-1-5275-9189-9)
Wŏnhyo (元曉, 617-686),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 more Wŏnhyo (元曉, 617-686),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ciliatory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embracing a broad spectrum of doctrinal perspectives. He sought to reconcile the tensions between the Madhyamaka school’s notion of emptiness (空) and the Yogācāra school's emphasis on existence (有),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相) emphasized by Yogācāra thought. Rather than privileging one doctrine over another or attempting to establish a hierarchy between them, Wŏnhyo acknowledged the unique significance of each school and proposed a framework that allowed their coexistence. This reconciliatory approach is exemplified in his various writings, one of which is his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titled Hae simmil gyŏng so 解深密經疏. Although the main body of this commentary has been lost, the surviving preface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Wŏnhyo’s intellectual stance. In this preface, he identifies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as a definitive scripture (yoŭi kyŏng, 了義經, nītārtha -sūtra ), reflecting his deep respect for Yogācāra thought and underscoring the central role it played in his philosophical framework. A significant question arises regarding the response of contemporaneous scholars from the Faxiang/Pŏpsang/Hossō (法相) tradition, the East Asian counterpart of Indian Yogācāra school, to Wŏnhyo’s interpretation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ir generally critical stance toward both Madhyamak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These critiques often appeared in the context of debates over emptiness (空) versus existence (有), or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versus phenomenal aspects (相) emphasized in Yogācāra. While Faxiang scholars are generally recognized for their opposition to these views, their responses to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are less clearly articulated. Previous scholarship on Wŏnhyo has primarily centered on his reconciliatory views, with comparatively less emphasis on situating his thought within the broader intellectual landscape of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at gap by investigating how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was received by Japanese Hossō scholars. By analyzing the varied attitudes that Japanese Hossō scholars, such as Zenju (善珠, 723-797), Zōshun (蔵俊, 1104-1180), and Kiben (基弁, 1722-1791), exhibited when citing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position of Wŏnhyo’s thought within the Hossō tradition in Japa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paper seeks to illuminate the diverse currents of thought within the Faxiang/Pŏpsang/Hossō tradition, which often transcended the simplistic dichotomies of emptiness versus existence or tathāgatagarbha versus Yogācāra. Building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urther aims to contextualize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 신라 원효(元曉, 617-686)는 특정 불교 이론이나 학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포괄적으로 수용한 불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如來藏)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중관과 유식 간의 공(空)과 유(有)의 대립 및 여래장과 유식 간의 성 (性)과 상(相)의 대립을 화해하려 하였다. 원효의 화해 사상의 특징은 여래장사상과 함께 중관사상 및 유식사상 각각의 개별적 의의를 모두 인정하여 이들이 공존하는 구도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두 사상 중 하나를 양자택일하거나 혹은 사상 간의 우열을 가림으로써 논쟁을 해 결하려 한 것이 아니라 각 사상들이 지닌 의의와 가치를 모두 인정하 였다. 이러한 원효의 화해 사상은 그가 다방면의 불교 사상에 대한 저 술을 남긴 사실에도 나타나는데, 그 저술들 중 하나가 대표적 유식경전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대한 주석인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이 다. 이 저술의 본문은 일실되었지만, 현존하는 서문(序文)에서 해심밀 경이 요의경(了義經)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통해 유식사상을 근본적으 로 중시하고 있는 원효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해심밀경을 요의경으로 보는 원효의 관점에 대해 당시 법상유식논사들은 어떠한 입장을 가졌을까? 일반적으로 공과 유, 혹은 성과 상 간의 논쟁 구도에서 법상유식가들은 중관 및 여래장사상에 대 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식사상뿐 아니라 중관사상 및 여래장사상 또한 모두 받아들인 원효의 입장에 대해서 법 상유식논사들이 어떠한 태도를 취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기존의 원효 연구는 주로 원효의 화해 사상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동아시아 불교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사상적 위치 및 의미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법상논사들의 저술에 인용된 원효의 해 심밀경소의 잔간들을 단초로, 원효 사상이 일본 법상논사들에게 어떻 게 받아들여졌는가를 고찰해 보려 한다. 즉, 젠주(善珠, 723-797), 조슌 (蔵俊, 1104-1180), 기벤(基弁, 1722-1791)과 같은 일본 법상논사들이 원 효의 해심밀경소를 인용하는 태도가 일관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 여, 일본 법상 사상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법상종 내에 공유대립 혹은 성상대립이라는 단순한 이분법 적 도식을 넘어서는 다양한 사상 조류가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고, 더 불어 원효의 사상을 보다 넓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 속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In the backdrop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which was initiated in 1981 when the Supreme Pa... more In the backdrop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which was initiated in 1981 when the Supreme Patriarch of Korean Chogye Order,
Sŏngch’ŏl (1912-1993), criticized Chinul’s (知訥, 1158-1210) idea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
漸修) in favor of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cultivation” (tono tonsu, 頓悟頓修), the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sudden” and “gradual” for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n Chinul’s thought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is debate is whether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kanhwa Sŏn (看話禪) practice, which Chinul emphasized
in his later year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awakening” (haeo, 解悟) attained through intellectual
understanding (chihae, 知解) of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while the
kanhwa Sŏn is considered a practice that transcends an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ds directly to “realization-awakening” (chŭngo, 證
悟). Advocates of the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cultivation approach strongly reject intellectual elements in enlightenment,
den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They argue that Chinul’s emphasis
on kanhwa Sŏn in his later years is attributed to a transformative shift
in his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Chinul's
philosophical framework seek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kanhwa Sŏn. From
this perspective, they assert that although understanding-awakening is
obtained through intellectual elements, it ultimately culminates in the
realization-awakening. Ultimately,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can be
approached as a question of whether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are consistent, centered
on the role and legitimacy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n the polemical situa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the understanding-awakening to be
contrasted with the realization-awakening, being either completely
disregarded or merely regarded as an incomplete realiz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first, the current views on these two types of awake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underlie
awakening and cultivation. Subsequently, Chinul’s view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is reevaluated in light of the concept of
“nature-origination” (sŏnggi, 性起). Based on this analysis, the
soter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s discussed, and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is addressed.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만년에 간화선을 강조한 것도 그가 사상적 전환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지눌의 사상체계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적 연결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해오가 비록 지적 이해를 매개로 얻어지지만 점수를 거쳐 결국 증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돈점논쟁은 깨달음과 닦음에 있어서 지해(知解)의 역할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이 정합성을 가지는가의 구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사상적 연결 문제를 해오와 증오의 의미와 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논의해 보려 한다. 논쟁의 구도 속에서 해오는 증오와 대비되어 전혀 인정되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불완전한 깨달음으로만 여겨진 경향이 있다. 먼저 기존의 해오와 증오에 대한 해석을 깨달음과 닦음에 내재된 근본적 문제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리고 나서 지눌이 제시하는 해오의 의미를 성기(性起)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조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오와 증오의 수증론적 관계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행의 연결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원효(元曉, 617~686)와 대현(大賢, 8세기 경)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사상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 more 원효(元曉, 617~686)와 대현(大賢, 8세기 경)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사상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전을 수입하여 번역한 이래 유식(唯識)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 혹은 삼승(三乘, tri -yāna )과 일승(一乘, eka -yāna ) 간 의 이론적 긴장이 형성되었고, 이 둘 중 어느 입장에 더 중점을 두는가 에 따라 당시 사상적 진영은 크게 둘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원효와 대현은 양분된 두 입장을 모두 받아들인 논사들로 알려져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 대한 자신의 주석인 기신론소(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여래장 개념의 설명에 법상유식(法相唯識)의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이 두 이론 이 서로 상충되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유식 논사로 알려져 있으면서도 불성(佛性) 사상을 받아들인 대현 또한 성(性)과 상(相), 혹은 일승과 삼승의 입장을 모두 수용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원효와 대현 의 이러한 사상적 입장을 일률적 구도 하에서 해석할 수는 없다. 왜냐 하면 설령 이들이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사상적 입장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 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승과 삼승에 대한 원효와 대현의 사상적 입장을 고찰함으로써 지금까지 그다지 밝혀져 있지 않은 이들의 사상적 차별 성의 문제를 논의하려 한다. 원효와 대현의 현존 저술 가운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주석을 남긴 범망경(梵網經)에 대한 입장을 비교함으로 써 이들의 사상적 상이성을 논의한다. 또한, 이 논의 과정을 통해 전통 적 범망경 주석가들이 일승 혹은 삼승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따라 범망경 주석 부분을 달리 하고 있다는 문제 또한 검토한다. 이 를 바탕으로, 삼승과 일승 모두를 수용하는 화합적 견해 또한 사상가의 기본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나아가 고대 동아시아의 사상 구도에 내재한 유기적 다면성 문제에 대한 재조 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Wŏnhyo (元曉, 617-686) and Taehyŏn (大賢, c. 8th century), prominent Buddhist exegetes of the Silla dynasty,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had similar doctrinal views. Following Xuanzang’s (玄奘, 602~664) translation of the Buddhist literature that had newly been imported from India, doctrinal tension began to emerge between Yogācār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or the three vehicles (tri -yāna ) and one vehicle (eka -yāna ) theories.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positions was emphasized more, the views of contemporary Buddhist exegetes were largely divided. In this polemic situation, Wŏnhyo and Taehyŏn are known for their somehow paradoxic embracement of the two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In his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 Wŏnhyo draws upon various Yogācāra texts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 Taehyŏn is also known for his acceptance of both notions of the nature (K.sŏng 性) and characteristics (K. sang 相), or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However, it cannot simply be said that their views are similar to each other,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fundamental doctrinal posi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hitherto unexplored issue of how Wŏnhyo and Taehyŏn differed in their views, by observing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theories. To do so, I will comparativly examine Wŏnhyo and Taehyŏn’s views on the Brahmāʼs Net Sutra, on which they both wrote commentaries. In the process, I will also discuss the ongoing issue of why traditional commentators of the Brahmāʼs Net Sutra , such as Zhiyi (538-597), Ŭijŏk (c. seventh century), Sŭngjang (c. seventh century), Fazang (643-712), have commented on different parts of the Sutra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or three vehicles theory. Based on this, I argue that two types of ecumenical position may be possible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depending on the exegetes’ doctrinal perspectives.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known as a Yogācāra ... more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known as a Yogācāra master. In East Asia the Yogācāra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Xuanzang (602-664)’s new translations of Buddhist literature, is generally designated as the Dharma Characteristics (C. Faxiang, K. Pŏpsang) school, in distinction from the Yogācāra schools formed before Xuanzang. Taehyŏn, who belongs to the Yogācāra tradition after Xuanzang, was also considered as a master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n East Asia, however, ‘Characteristics school (Xiang zong)’, i.e.,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s regarded as doctrinally antagonistic against the so-called ‘Nature school (Xing zong)’, such as Madhayamaka, Tathāgatagrbha, and Hwaŏm (C. Huayan). In this regard, Taehyŏn’s doctrinal position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his thought contains both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The conflict between Taehyŏn’s thought and the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requires a new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na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these two concepts, by analyzing his commentaries on the two representative treatises 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that is,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respectively. 신라 대현(⼤賢, 8세기 경)은 유식논사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유식 은 중국의 현장(⽞奘, 602-664)의 새로운 번역[新譯]을 바탕으로 수립된 법상종(法相宗)과 그 이전 번역[舊譯]에 근거하여 수립된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분 하에 현장 이후 유식 전통에 속하는 대현은 보통 법상종 논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법상종을 가리키는 소위 ‘상종(相宗)’과 중관 및 여래장 사상으로 대표되는 ‘성종(性宗)’이 상반되는 사상 체계라고 여겨져 왔고, 이러한 전통 하에 이 두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대현의 사상적 성향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대현의 사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적 논사들뿐 아니라 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성과 상을 상반된 이론 체계로 보는 사상 구도 하에서 대현의 ‘복합적’ 사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성과 상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상종과 성종의 대표적 논서로 각각 알려진 성유식론』(成唯識論)과 대승기신론』(⼤乘起信論)에 대한 대현의 주석서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乘起信論內義略探記)를 고찰함으로써, 성과 상에 대한 대현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전형적인 이분법 구도를 재조명한다. 또한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의 분석 과정에서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효 (元曉, 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입장과 대현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 내에서 유식논사로서 대현의 사상적 위치를 가늠해 본다.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 kno... more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 known for its synthesis of two concepts of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In the Yogācāra tradition, ālayavijñāna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deluded consciousness, in which karmic seeds arise and cease at every moment. However, the Awakening of Faith describes it as a combined consciousness, in which neither-arising-nor-ceasing tathāgatagarbha is combined with arising-and-ceasing mind in a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or non-dual, condition.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drew attention from Buddhist exegetes, such as Wŏnhyo(元曉, 617-686), Fazang(法藏, 643-712), in polemic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ctrinal disputes between emptiness (viz., Bhāvaviveka’s [ca. 500–570] Madhyamaka view) and existence (via., Dharmapāla’s [ca. 6th century] Yogācāra view) or the controversial notion of Buddha-nature. As representative commentators of the Awakening of Faith, Wŏnhyo and Fazang both sought to demonstrate the non-duality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by drawing upon the notion of ālayavijñāna, the combined consciousness. One thing overlooked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commentators commonly focused on the non-duality of tathāgatagarbha and arising-and-ceasing mind is that they had distinct understandings of the non-duality. Wŏnhyo considered the “non-duality” as encompassing both “not-idential” and “not-different” states, Fazang regarded it as their alternative. Such distinct views of the non-duality further represent their positions on doctrinal tensions between Madhyamaka, New Yogācāra, and Old Yogācāra in the contemporary East Asia.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핵심적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승기신론(⼤乘起信論)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이라는 두 개념을 결합시킨다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식 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라야식이 생멸하는 망식(妄識)으로 여겨지지만, 기신론에서 알라야식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여래장과 생멸심(生滅心)이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非異]의 상태의 화합식(和合識)으로 설해져 있다. 불생불멸과 생멸, 혹은 진(眞)과 망(妄)의 화합식으로서의 알라야식의 개념은, 당시 공(空)과 유(有)의 대립이나 불성(佛性)을 둘러싼 논쟁적 상황 속에서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와 중국의 법장(法藏, 643~712)과 같은 불교 논사들이 주목한 개념이었다. 대표적인 기신론 주석가로 알려져 있는 원효와 법장은 모두 여래장과 생멸심이 비일비이(非⼀非異)의 상태로 화합한 것으로서의 알라야식 개념을 바탕으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의 불이원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 두 논사가 공통적으로 여래장과 생멸심의 불이원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흔히 간과되고 있는 점은 불이원성에 대한 이들의 해석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원효는 ‘비일비이’의 해석에 있어서 ‘비일(非⼀)’과 ‘비이(非異)’라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를 ‘비일’과 ‘비이’의 상태를 극복한 후에 도출되는 새로운 상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원효가 ‘비일’ 및 ‘비이’의 경우를 ‘비일비이’와 공존하는 것으로 보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의 상태에서는 ‘비일’ 혹은 ‘비이’의 상태가 결코 공존할 수 없다고 보는 두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불이원성에 대한 두 논사의 해석의 상이성은 당시 논쟁의 중심이 되었던 중관, 신유식, 구유식 사상에 대한 두 논사의 입장의 차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a compiled translation of Indian commen... more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a compiled translation of Indian commentaries on Vasubandhu’s (ca. fourth or fifth centuries CE) Triṃśikā, centering onDharmapāla’s(ca. sixth century) exegesis, is well known as the foundational text that offers the doctrinal basis of the East Asian Yogācāra school—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Ch. Faxiang zong, K. Pŏpsang chong, J. Hossōshū 法相宗). In his commentary to the Cheng weishi lun, Kuiji 窺基(632–682), the de facto founder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considers Dharmapāla’s criticism in the Cheng weishi lun toward those adhering to ‘‘emptiness’’ as aimed at such a Madhyamaka scholiast as Bhāviveka (ca. 500–570). Kuiji’s interpretation has tended to be generally accepted under the backdrop of the contemporary controversy revolving around the distinct doctrinal views between Dharmapāla and Bhāviveka. However, just as the question of whether Madhyamaka and Yogācāra over the long history of Mahāyāna Buddhism were philosophical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cannot find an easy answer, we cannot simply conclude based on the ‘‘orthodox’’ explanation that these two scholiasts were doctrinally antagonistic. Indeed, the Silla Yogācāra monk Taehyŏn 大賢(ca. eighth century) introduced three distinct interpretations by contemporary scholar monks on this matter. This paper examines East Asian commentators’ interpret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pāla and Bhāviveka as presented in Taehyŏn’s commentary of the Cheng weishi lun, and further discusses how Taehyŏn explains doctrinal conflict between the seemingly contrasting notions, such as ‘the conditioned’ (saṃskāra) and ‘the unconditioned’ (asaṃskāra), by observing his interpretation of such a concept of ‘the immaculate consciousness’ (amalavijñāna).
The Buddhist ethical concept of kuśala (C. shan 善), which is usually rendered as “wholesome” or “... more The Buddhist ethical concept of kuśala (C. shan 善), which is usually rendered as “wholesome” or “skillful,” has drawn significant scholarly attention. Although scholars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on how to approach Buddhist ethical systems, it seems to be commonly acknowledged that the wholesome dharmas in early Buddhism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mundane level and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supramundane level. According to the typical account of Buddhist soteriology, a practitioner should cultivate these two types of wholesome dharmas in order to reach the final goal of nirvāṇa. However, in Mahāyāna Buddhism, in which the division between the mundane and the supramundane sphere was ultimately deni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holesome dharmas on the mundane and supramundane levels was often seen as being problematic. As a result, a philosophical problem arose concerning how to explain the doctrinal contrast between the ultimate universality and the concrete particularities. In ancient East Asia this problem emerged centering on the two conflicting notions of the Buddha-nature (Skt. buddha-dhātu, alt. tathāgatagarbha, C. foxing 佛性), the universal spiritual capability innate in all sentient beings, and the icchantikas (C. yichanti 一闡提), “incorrigibles,” those who are devoid of the capability (or, the wholesome dharmas) to attain Buddhahoo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hilosophical conundrum entailed from doctrinal incompatibility between the universal capability to become a Buddha and the beings who lack the wholesome dharmas by examining the Silla scholar monk Wŏnhyo’s 元曉 (617–686) understanding of the four antinomies (Skt. catuṣkoṭi, C. siju 四句) on the Buddha-nature of the Nirvāṇa Sutra.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semin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known f... more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semin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known for its synthesis of the two Mahāyāna concepts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Unlike early Yogācāra texts, such as the Yogācārabhūmi, in which ālayavijñāna is described as a defiled consciousness, the Awakening of Faith explains it as a “synthetic” consciousness, in which tathāgatagarbha and the defiled mind are unified in a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condition. East Asian Buddhist exegetes noted the innovative explana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and compiled the commentaries, among which Huayan master Fazang’s (643–712) commentary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reatise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athāgatagarbha texts in East Asia. However, as scholarly perceptions that the commentators’ interpretations do not always represent the Awakening of Faith’s tenets themselves have grown, the propriety of relying on Fazang’s commentary for understanding the treatise has also been questioned.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this regard is that the Silla scholar-monk Wŏnhyo’s (617–686) commentaries, which are known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Fazang’s, present very different views.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wo distinct interpretations existed in Wŏnhyo’s days for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of the Awakening of Faith, by comparing Wŏnhyo and Fazang’s commentaries, and further considers the possibility that the Awakening of Faith’s doctrine of ālayavijñāna is not doctrinally incompatible with that of early Yogācāra on the basis of Wŏnhyo’s view on ālayavijñāna.
Wŏnch’ŭk 圓測(613~696) was a Silla exegete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 more Wŏnch’ŭk 圓測(613~696) was a Silla exegete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Since modern scholarship on Wŏnch’ŭk began,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his Yogācāra thought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The dishonorable image of Wŏnch’ŭk described in the Sung Kao-seng chuan has been reevaluated based on a discovery of new biographical materials, and Wŏnch’ŭk’s scholarly position in modern times has been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aramārtha’s (499∼569), an exegete of Old Yogācāra. In the 1990’s, a new perspective was raised, positing that Wŏnch’ŭk’s doctrinal position was based on the New Yogācāra, in contrast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While this novel argument trul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Wŏnch’ŭk’s doctrinal views, it fell short of explaining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Wŏnch’ŭk and Ji 基(632~682). Given that we cannot determine Wŏnch’ŭk’s commitment to either the Old or New Yogācāra, this article seek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Wŏnch’ŭk’s scholasticism may be explained. To do this, first I critically review previous scholarship on Wŏnch’ŭk, examine the problems unresolved in the current research literature and finally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본 논문에서는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이분법 적 구도를 전제로 하여 양자택일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 고,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원측이 양측의 입장을 모두 평등하게 수용하고 있 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는 세 부류의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원측 연구에 대한 시 각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신라 출신 승려로서 동아시아 유식전통의 격동기에 살다간 원측에 대한 학 계의 해석은 이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될 당시부터 이분법적 구도 하에 진 행되었다. 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원측의 전기문이 왜곡된 것이라는 사실 은 서명파와 자은파의 대립을 배경으로 한다는 인식 하에 고찰되어졌고, 원측 저술에 구유식 논사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의 인용문이 다수 포함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원측의 주요 사상적 기반이 신유식이 아니라 구 유식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원측 저술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원측이 신유식 사상에 충실하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고 현재까 지 원측 교학의 신유식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원 측과 진제의 사상적 연계성이나 원측과 신유식 논사 자은기(慈恩基, 632∼ 682)의 견해의 상이성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어 구유식과 신유식 가운데 원측 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유식과 신유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 원측 사상에 대해 양자택 일적 해석 방식을 취한 지금까지의 시도와 달리, 원측이 구유식과 신유식의 양 측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원측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원측이 어떻게 모두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시각 하에 조 망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구유식과 신유 식의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제점이 학계에서 지적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더 주목된다. 이 각각의 새로운 시각 하에 서 원측이 어떤 근거와 이유를 가지고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원측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Silla monk Jinpyo 眞表(ca. 8th centry) is known as a Vinaya master, who rebuilt Geumsan monastery ... more Silla monk Jinpyo 眞表(ca. 8th centry) is known as a Vinaya master, who rebuilt Geumsan monastery and ordained people at the ordination platform of complete equality(C. fangdeng jietan, K.bangdeung gyedan ⽅等戒壇) on the one hand, and as a Yogācāra monk on the other. The extant records in Jinpyo’s biographies, however, mostly focus on his miraculous behaviors, severe level of repentance, and practice of divination by using wooden “wheels” on the basis of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占察善惡業報經. Such Jinpyo’s image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his contemporary Yogācāra monks, such as Daehyeon ⼤賢 (ca. 8th century), who is rather known for his sophisticated study of Buddhist doctrines and philosophical works. Moreover, no work is known to us that is attributed to Jinpyo. Given this,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the sutra that Jinpyo relied on throughout his career, is worth considering as the only textual source, by which we may trace his doctrinal position. This article first considers the doctrinal connection between the ordination platform of complete equality and the Zhancha shane yebao jing, then discusses the supernatural element of the repentance and ordination in Buddhist doctrinal context, and finally examines the similarity between this sutra and the chapter of cultivating faith(C. xiuxing xinxin fen, K. suhaeng sinsim bun 修⾏信⼼分) of the Awakening of Faith(C. Dasheng qixin lun, K. Daeseung gisillon ) ⼤乘起信論.
신라 景德王代의 승려 眞表(8세기 경)는 金山寺를 중창하고 方等戒壇에서 菩薩戒를 널리 베푼 律師로 알려져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相宗 계통 승려로 전해져 온다. 하지만 僧傳에 기록된 진표에 대한 자료는 그의 신이한 행적이나 그가 행한 亡身懺이라는 특이한 懺法, 그리고 『占察善惡業報經』을 바탕으로 木輪相法에 의한 占을 행한 것이 중심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진표와 거의 동시대인으로서 신라의 瑜伽祖로 알려져 있는 大賢(8세기)을 위시한 유식학 승려들이 보통 그들의 교학적 사상이나 저술을 중심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매우 상이하다. 이와 같이 진표의 행적은 교학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고, 게다가 진표의 저술로 알려진 것은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진표의 사상적 성향을 가능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가 의지한 『占察經』에 주목하려 한다. 먼저 율사로서의 진표가 의지한 『점찰경』과 방등계단의 사상적 연계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점찰경』의 참회와 수계 이론의 신이성에 대해 논의한 후, 이 경과 『大乘起信論』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율사로서의 진표가 바탕을 둔 사상적 기조가 어떠한 것이었나를 논의해 본다.
The Yugaron gi 瑜伽論記, Silla monk Dullyun’s 遁倫 (alt. 道倫, ca. 650-730) commentary on the Yogācārabhū... more The Yugaron gi 瑜伽論記, Silla monk Dullyun’s 遁倫 (alt. 道倫, ca. 650-730) commentary on the Yogācārabhūmi, is an important material in Buddhist studies, not only because it is the only extant East Asian commentary that deals with the entire volumes of the Yogācārabhūmi, but also because it collectively cites ancient East Asian Yogācāra exegetes’ views, which are now lost. However, the research on the Yugaron gi has not progressed very far since its initial stage, because the contemporary controversial issues in Yogācāra doctrinal system has not been studied enough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Yugaron gi.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ystemic study on the Yugaron gi, this article, as an initial step toward a broa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verviews precedent research on the Yugaron gi and then discusses the remaining tasks.
신라승 둔륜(遁倫 혹은 道倫, ca. 650~730)의 『유가론기(瑜伽論記)』는 유식학의 근본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 대한 현존하는 몇 가지 주석서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유가론(瑜伽論)』100권 전체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로서 중요하다. 특히 『유가론기』에는 지금은 일실된 신라논사들의 『유가론』 주석서의 설을 포함하여 이전 논사들의 학설들이 집성되어 있어 당시 유식논사들의 산일된 주장과 사상적 이슈들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임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가론기』의 사상적 중요성에 대한 학계의 초기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유가론기』와 이 논서에 등장하는 신라 논사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이것은 『유가론기』가 유식학의 방대한 교리체계를 정리한『유가론)』의 주석서라는 점 이외에, 『유가론기』의 사상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당대 유식학의 교리적 논쟁점들에 대한 선행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가론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자각 하에, 이에 대한 선행 작업으로서 신라 유식학과 『유가론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상세히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남은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has been accepted in East Asia by either demonstrating its associatio... more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has been accepted in East Asia by either demonstrating its association to tathāgatagarbha or negating it, since Bodhiruci (fl. 508-35) introduced it by translating the Daśabhūmikasūtra-śāstra. It was in this context that the Awakening of Faith (C.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drew East Asian Buddhist scholiasts’ attention. The central messag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at tathāgatagarbha is synthesized to ālayavijñāna in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condition is directly associated to the contemporary issue of how ālayavijñāna serves as the basis of sentient being’s enlightenment. Silla Yogācāra exegete Taehyŏn 大賢(ca. 8th century) is one of the East Asian monks who noted the Awakening of Faith and arti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in the Taesŭng kisillon naeŭi yakt’amgi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his commentary of the Awakening of Faith.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in his commentary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comparison to those of other exegetes, such as Wŏnhyo 元曉 (617-686) and Fazang 法藏 (643-712).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at there were distinct doctrinal positions on the tathāgatagarbha of the Awakening of Faith, which are also associated to their understandings of consciousness system.
The theory of the “three Buddha bodies” (Skt. trikāya, Ch. sanshen, K. samsin 三身) is a well-known... more The theory of the “three Buddha bodies” (Skt. trikāya, Ch. sanshen, K. samsin 三身) is a well-known doctrine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Buddhist scripture accounts of this theory show a wide range of variation. The Golden Light Sutra (Skt. Suvarṇaprabhāsottamasūtra, Ch. Jinguangming jing, K. Geumgwangmyeong gyeong 金光明經)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riptures that discuss this theory. Many East Asian exegetes paid attention to this theory as presented in the Golden Light Sutra, but their interpretations of it differed according to their doctrinal posi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Silla exegete Wonhyo’s 元曉(617-686) position on the theory of three Buddha bodies by comparing his interpretations of the Golden Light Sutra to Cien Ji’s 慈恩基(632-682) and Jingying Huiyuan’s 淨影慧遠(523-592). Although Wonhyo’s commentary on the Golden Light Sutra, the Geumgwangmyeong gyeong so 金光明經疏, no longer exists, the Japanese monk Gangyō 願曉(835–871) cites a significant part of Wonhyo’s text in his own commentary on the sutra, the Konkōmyō saishō ō kyō gensū 金光明最勝王經玄樞. By comparing Wonhyo’s commentary to Cien Ji’s and Jingying Huiyuan’s, this article ultimately aims to bring ab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Wonhyo’s scholastic position within the contemporary dynamics of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State-protection Buddhism” (C. huguo Fojiao, K. hoguk Pulgyo 護國佛敎), the idea that Buddhism prote... more “State-protection Buddhism” (C. huguo Fojiao, K. hoguk Pulgyo 護國佛敎), the idea that Buddhism protects the state from various natural as well as societal difficulties, was widely accepted in premodern East Asia. Not a few number of East Asian rulers, who adopted Buddhism as the state ideology, expected Buddhist deities, such as the four heavenly kings (S.cāturmahārājakāyika), to protect the state as a result of their faith in such a “state-protection” scripture as the Golden Light Sutra. Although state-protection Buddhism has been approached focusing on its political aspect, from Buddhist doctrinal viewpoint, state-protection refers to none other than “Dharma-protection” (C. hufa, K. hobŏp 護法), and those who take on the role of protecting the state also are protectors of the Dharma. East Asian Buddhist scholiasts, however, did not always reach consensus on the nature of kingship as Dharma-protector. This article explores distinct interpretations on kingship in the GLS between two eminent Buddhist exegetes, Wŏnhyo 元曉 (617-686) and Huizhao 慧昭 (774-850), by comparing their views as described in the commentaries on the Golden Light Sutra. Although Wŏnhyo’s commentary on the Golden Light Sutra, the Kŭmgwangmyŏng kyŏng so 金光明經疏, is not extant,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entary is cited in Japanese monks’ commentaries on the sutra, such as Gangyou’s 願曉 (835-871) Konkōmyō saishō ō kyō genus 金光明最勝王經玄樞, and we can therefore compare it to Huizhao’s commentary, Jinguangming zuishengwang jing shu 金光明最勝王經疏.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views on the sutra, the article discusses how the two exegetes interpret kingship in the Golden Light Sutra in their distinct ways of reconciliation of the two dilemmatic concepts of commonality and particularity.
Madhyamaka and Yogācāra are two Mahāyāna schools which have distinct systems. In the seventh cent... more Madhyamaka and Yogācāra are two Mahāyāna schools which have distinct systems. In the seventh century East Asia, the doctrin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chools was received as doctrinal contrast in the polemic circumstance of Emptiness-Existence (C. kongyou 空有) controversy. In this context, Ji 基(632–682), the putative founder of East Asian Yogācāra school, has been normally considered by scholars to have advocated ‘Existence’ (viz., Yogācāra) in opposition to ‘Emptiness’ (viz., Madhyamaka). It is problematic, however, to brand Ji’s Yogācāra position simply as anti-Madhyamaka. Although Ji evidently expresses evident criticism on such a Madhyamaka exegete as Bhāvaviveka (ca. 500–570) in some of his works, he also describes Bhāvaviveka in an amicable or even respective way in other works. By analyzing Ji’s extant works, this article argues that Ji’s scholastic attitude toward Madhyamaka changed from criticism to approval.
The Awakening of Faith is a seminal treatise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Its doctrinal aspe... more The Awakening of Faith is a seminal treatise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Its doctrinal aspects that encompass perspectives of various Buddhist schools made huge influence o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East Asian Buddhism. In modern Korean Buddhist scholarship, research on the Awakening of Faith has continued focusing on Wŏnhyo’s 元曉(617~686) commentaries, such as the Kisillon so 起信論疏 and the Taesŭng kisillon pyŏlgi 大乘起信論別記, an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chievement on this subject. Although Korean scholarship has reached a certain level of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Awakening of Faith through Wŏnhyo’s commentaries, however, broader doctrinal significance of the Awakening of Faith beyond Wŏnhyo’s, or Korean, perspective does not seem to has been properly considered. Given that the Awakening of Faith has its long history since it appeared in the sixth century, the treatise must have been place in various types of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text. Furthermore, it is certain that Wŏnhyo’s thoughts on the Awakening of Faith will be more explained when illuminated 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In need of extending the research scop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is article overvie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Awakening of Faith in China, Korea, and Japan up until modern times 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By doing this, I disclose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doctrinal perspectives revolving around the Awakening of Faith, and suggest to reconsider Korean Buddhist scholarship on the Awakening of Faith, which has been focused on Wŏnhyo.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has been explained through traditional bifurcations, such as “Old” a... more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has been explained through traditional bifurcations, such as “Old” and “New” Yogācāra Buddhism, Tathāgatagarbha and Yogācāra, One Vehicle (一乘, S. eka-yana) and Three Vehicles (三乘, S. tri-yana), or Dharma Nature School (法性宗) and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法相宗). These conceptual pairs have served as useful tools in expla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octrinal evolvement of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These simplistic binary frames, however, contain historical and/or doctrinal problems i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Yogācāra tradition in East Asia. In this regards, this paper critically reflects on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bifurcation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thereby disclosing fundamental problems of the binary frame. The paper finally discusses the prospect of studies on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This is a Chinese translation of 「如來藏思想과 唯識思想의 傳統的 二分法에 관한 諸問題」[Problems on Traditional Bifurcati... more This is a Chinese translation of 「如來藏思想과 唯識思想의 傳統的 二分法에 관한 諸問題」[Problems on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athāgatagarbha and Yogācāra in East Asia] (2015).
This is an important article that critically diagnoses problems in Korean Buddhist studies and th... more This is an important article that critically diagnoses problems in Korean Buddhist studies and the field's prospects in the broad context of transnational Buddhism. Although the number of Western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n Buddhism has increase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in Korea, seems to be still far away. In his article, Prof. Sem Vermeersch, a Western Buddhist scholar who has been working in Korea for nearly twenty years, analyzes Korean Buddhist scholarship both inside and outside Korea from an insightful perspective. The author explores the problem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from four different angles. In the first section, he discusses how the study of Korean Buddhism in the West began and developed, and, second, criticall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in comparison to global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this, he examines in the third section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Buddhist source materials into English. Finally, he presents prospects for Korean Buddhist studies in association with the broader methodological change in the humanities. In the first section, the author discusses how Korean Buddhist studies have developed in the West. Addressing the difficulties th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 2016
Previous Buddhist scholarship has generally regarded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as a "side line... more Previous Buddhist scholarship has generally regarded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as a "side line" or "offshoot" from the "mainstream" group of tathāgatagarbha scriptural texts, such as the Tathāgatagarbha-sūtra. This view has been also supported by the presumed chronological order between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and the Tathāgatagarbha-sūtra: The Tathāgatagarbha-sūtra, which is also the putative earliest tathāgatagarbha text,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arlier text than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on the basis of the supposed evidence that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refers to the Tathāgatagarbha-sūtra by its title on the one hand and borrows one simile from the Tathāgatagarbha-sūtra on the other. Michael Radich's book,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and the Emergence of Tathāgatagarbha Doctrine, fundamentally challenges such previous scholarship on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Employing meticulous analysis of vast range of primary-source materials, Radich convincingly demonstrates that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is most likely "our earliest" tathāgatagarbha text. More importantly, Radich, presents an insightful perspective on the matter of the origin of the tathāgatagarbha doctrine: He argues that the tathāgatagarbha/*buddhadhātu ideas of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constitutes part of a broader pattern of docetic Buddhology, the idea that the buddhas' appearance is not the reality of their true nature.
Uploads
Books by Sumi Lee
(https://www.cambridgescholars.com/product/978-1-5275-9189-9)
Papers by Sumi Lee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ciliatory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embracing a broad spectrum of doctrinal perspectives. He sought to
reconcile the tensions between the Madhyamaka school’s notion of
emptiness (空) and the Yogācāra school's emphasis on existence (有),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相) emphasized by Yogācāra
thought. Rather than privileging one doctrine over another or attempting
to establish a hierarchy between them, Wŏnhyo acknowledged the unique
significance of each school and proposed a framework that allowed their
coexistence. This reconciliatory approach is exemplified in his various
writings, one of which is his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titled Hae simmil gyŏng so 解深密經疏. Although the main body of this
commentary has been lost, the surviving preface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Wŏnhyo’s intellectual stance. In this preface, he identifies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as a definitive scripture (yoŭi kyŏng, 了義經,
nītārtha -sūtra ), reflecting his deep respect for Yogācāra thought and
underscoring the central role it played in his philosophical framework.
A significant question arises regarding the response of
contemporaneous scholars from the Faxiang/Pŏpsang/Hossō (法相)
tradition, the East Asian counterpart of Indian Yogācāra school, to
Wŏnhyo’s interpretation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ir generally critical
stance toward both Madhyamak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These
critiques often appeared in the context of debates over emptiness (空)
versus existence (有), or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versus
phenomenal aspects (相) emphasized in Yogācāra. While Faxiang scholars
are generally recognized for their opposition to these views, their
responses to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are less clearly articulated.
Previous scholarship on Wŏnhyo has primarily centered on his
reconciliatory views, with comparatively less emphasis on situating his
thought within the broader intellectual landscape of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at gap by investigating how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was received by Japanese Hossō scholars. By analyzing
the varied attitudes that Japanese Hossō scholars, such as Zenju (善珠,
723-797), Zōshun (蔵俊, 1104-1180), and Kiben (基弁, 1722-1791), exhibited when citing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position of Wŏnhyo’s thought within the Hossō tradition in Japa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paper seeks to illuminate the diverse
currents of thought within the Faxiang/Pŏpsang/Hossō tradition, which
often transcended the simplistic dichotomies of emptiness versus existence or tathāgatagarbha versus Yogācāra. Building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urther aims to contextualize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
신라 원효(元曉, 617-686)는 특정 불교 이론이나 학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포괄적으로 수용한 불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如來藏)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중관과 유식 간의 공(空)과 유(有)의 대립 및 여래장과 유식 간의 성
(性)과 상(相)의 대립을 화해하려 하였다. 원효의 화해 사상의 특징은
여래장사상과 함께 중관사상 및 유식사상 각각의 개별적 의의를 모두
인정하여 이들이 공존하는 구도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두 사상 중
하나를 양자택일하거나 혹은 사상 간의 우열을 가림으로써 논쟁을 해
결하려 한 것이 아니라 각 사상들이 지닌 의의와 가치를 모두 인정하
였다. 이러한 원효의 화해 사상은 그가 다방면의 불교 사상에 대한 저
술을 남긴 사실에도 나타나는데, 그 저술들 중 하나가 대표적 유식경전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대한 주석인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이
다. 이 저술의 본문은 일실되었지만, 현존하는 서문(序文)에서 해심밀
경이 요의경(了義經)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통해 유식사상을 근본적으
로 중시하고 있는 원효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해심밀경을 요의경으로 보는 원효의 관점에 대해 당시
법상유식논사들은 어떠한 입장을 가졌을까? 일반적으로 공과 유, 혹은
성과 상 간의 논쟁 구도에서 법상유식가들은 중관 및 여래장사상에 대
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식사상뿐 아니라
중관사상 및 여래장사상 또한 모두 받아들인 원효의 입장에 대해서 법
상유식논사들이 어떠한 태도를 취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기존의 원효 연구는 주로 원효의 화해 사상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동아시아 불교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사상적
위치 및 의미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법상논사들의 저술에 인용된 원효의 해
심밀경소의 잔간들을 단초로, 원효 사상이 일본 법상논사들에게 어떻
게 받아들여졌는가를 고찰해 보려 한다. 즉, 젠주(善珠, 723-797), 조슌
(蔵俊, 1104-1180), 기벤(基弁, 1722-1791)과 같은 일본 법상논사들이 원
효의 해심밀경소를 인용하는 태도가 일관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
여, 일본 법상 사상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법상종 내에 공유대립 혹은 성상대립이라는 단순한 이분법
적 도식을 넘어서는 다양한 사상 조류가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고, 더
불어 원효의 사상을 보다 넓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 속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Sŏngch’ŏl (1912-1993), criticized Chinul’s (知訥, 1158-1210) idea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
漸修) in favor of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cultivation” (tono tonsu, 頓悟頓修), the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sudden” and “gradual” for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n Chinul’s thought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is debate is whether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kanhwa Sŏn (看話禪) practice, which Chinul emphasized
in his later year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awakening” (haeo, 解悟) attained through intellectual
understanding (chihae, 知解) of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while the
kanhwa Sŏn is considered a practice that transcends an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ds directly to “realization-awakening” (chŭngo, 證
悟). Advocates of the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cultivation approach strongly reject intellectual elements in enlightenment,
den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They argue that Chinul’s emphasis
on kanhwa Sŏn in his later years is attributed to a transformative shift
in his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Chinul's
philosophical framework seek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kanhwa Sŏn. From
this perspective, they assert that although understanding-awakening is
obtained through intellectual elements, it ultimately culminates in the
realization-awakening. Ultimately,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can be
approached as a question of whether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are consistent, centered
on the role and legitimacy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n the polemical situa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the understanding-awakening to be
contrasted with the realization-awakening, being either completely
disregarded or merely regarded as an incomplete realiz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first, the current views on these two types of awake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underlie
awakening and cultivation. Subsequently, Chinul’s view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is reevaluated in light of the concept of
“nature-origination” (sŏnggi, 性起). Based on this analysis, the
soter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s discussed, and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is addressed.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만년에 간화선을 강조한 것도 그가 사상적 전환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지눌의 사상체계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적 연결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해오가 비록 지적 이해를 매개로 얻어지지만 점수를 거쳐 결국 증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돈점논쟁은 깨달음과 닦음에 있어서 지해(知解)의 역할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이 정합성을 가지는가의 구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사상적 연결 문제를 해오와 증오의 의미와 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논의해 보려 한다. 논쟁의 구도 속에서 해오는 증오와 대비되어 전혀 인정되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불완전한 깨달음으로만 여겨진 경향이 있다. 먼저 기존의 해오와 증오에 대한 해석을 깨달음과 닦음에 내재된 근본적 문제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리고 나서 지눌이 제시하는 해오의 의미를 성기(性起)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조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오와 증오의 수증론적 관계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행의 연결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전을 수입하여 번역한 이래 유식(唯識)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 혹은 삼승(三乘, tri -yāna )과 일승(一乘, eka -yāna ) 간
의 이론적 긴장이 형성되었고, 이 둘 중 어느 입장에 더 중점을 두는가
에 따라 당시 사상적 진영은 크게 둘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원효와 대현은 양분된 두 입장을 모두 받아들인 논사들로
알려져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 대한 자신의 주석인
기신론소(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여래장
개념의 설명에 법상유식(法相唯識)의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이 두 이론
이 서로 상충되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유식 논사로 알려져 있으면서도
불성(佛性) 사상을 받아들인 대현 또한 성(性)과 상(相), 혹은 일승과 삼승의 입장을 모두 수용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원효와 대현
의 이러한 사상적 입장을 일률적 구도 하에서 해석할 수는 없다. 왜냐
하면 설령 이들이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사상적 입장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
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승과 삼승에 대한 원효와 대현의 사상적 입장을
고찰함으로써 지금까지 그다지 밝혀져 있지 않은 이들의 사상적 차별
성의 문제를 논의하려 한다. 원효와 대현의 현존 저술 가운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주석을 남긴 범망경(梵網經)에 대한 입장을 비교함으로
써 이들의 사상적 상이성을 논의한다. 또한, 이 논의 과정을 통해 전통
적 범망경 주석가들이 일승 혹은 삼승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따라 범망경 주석 부분을 달리 하고 있다는 문제 또한 검토한다. 이
를 바탕으로, 삼승과 일승 모두를 수용하는 화합적 견해 또한 사상가의
기본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나아가
고대 동아시아의 사상 구도에 내재한 유기적 다면성 문제에 대한 재조
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Wŏnhyo (元曉, 617-686) and Taehyŏn (大賢, c. 8th century), prominent
Buddhist exegetes of the Silla dynasty,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had similar doctrinal views. Following Xuanzang’s (玄奘, 602~664)
translation of the Buddhist literature that had newly been imported from
India, doctrinal tension began to emerge between Yogācār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or the three vehicles (tri -yāna ) and one vehicle
(eka -yāna ) theories.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positions was
emphasized more, the views of contemporary Buddhist exegetes were
largely divided. In this polemic situation, Wŏnhyo and Taehyŏn are known
for their somehow paradoxic embracement of the two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In his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
Wŏnhyo draws upon various Yogācāra texts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 Taehyŏn is also known for his acceptance of both
notions of the nature (K.sŏng 性) and characteristics (K. sang 相), or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However, it cannot simply be said that
their views are similar to each other,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fundamental doctrinal posi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hitherto
unexplored issue of how Wŏnhyo and Taehyŏn differed in their views,
by observing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theories.
To do so, I will comparativly examine Wŏnhyo and Taehyŏn’s views on
the Brahmāʼs Net Sutra, on which they both wrote commentaries. In the
process, I will also discuss the ongoing issue of why traditional
commentators of the Brahmāʼs Net Sutra , such as Zhiyi (538-597), Ŭijŏk
(c. seventh century), Sŭngjang (c. seventh century), Fazang (643-712), have commented on different parts of the Sutra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or three vehicles theory. Based on this, I argue that two types of ecumenical position may be possible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depending on the exegetes’ doctrinal perspectives.
Characteristics school. In East Asia, however, ‘Characteristics school (Xiang zong)’, i.e.,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s regarded as doctrinally antagonistic against the so-called ‘Nature school (Xing zong)’, such as Madhayamaka, Tathāgatagrbha, and Hwaŏm (C. Huayan). In this regard, Taehyŏn’s doctrinal position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his thought contains both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The conflict between Taehyŏn’s thought and the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requires a new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na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these two concepts, by analyzing his commentaries on the two
representative treatises 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that is,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respectively.
신라 대현(⼤賢, 8세기 경)은 유식논사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유식 은 중국의 현장(⽞奘, 602-664)의 새로운 번역[新譯]을 바탕으로 수립된 법상종(法相宗)과 그 이전 번역[舊譯]에 근거하여 수립된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분 하에 현장 이후 유식 전통에 속하는 대현은 보통 법상종 논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법상종을 가리키는 소위 ‘상종(相宗)’과 중관 및 여래장 사상으로 대표되는 ‘성종(性宗)’이 상반되는 사상 체계라고 여겨져 왔고, 이러한 전통 하에 이 두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대현의 사상적 성향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대현의 사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적 논사들뿐 아니라 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성과 상을 상반된 이론 체계로 보는 사상 구도 하에서 대현의 ‘복합적’
사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성과 상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상종과 성종의 대표적 논서로 각각 알려진 성유식론』(成唯識論)과 대승기신론』(⼤乘起信論)에 대한 대현의 주석서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乘起信論內義略探記)를 고찰함으로써, 성과 상에 대한 대현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전형적인 이분법 구도를 재조명한다. 또한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의 분석 과정에서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효
(元曉, 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입장과 대현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 내에서 유식논사로서 대현의 사상적 위치를 가늠해 본다.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핵심적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승기신론(⼤乘起信論)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이라는 두 개념을 결합시킨다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식 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라야식이 생멸하는 망식(妄識)으로 여겨지지만, 기신론에서 알라야식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여래장과 생멸심(生滅心)이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非異]의 상태의 화합식(和合識)으로 설해져 있다. 불생불멸과 생멸, 혹은 진(眞)과 망(妄)의 화합식으로서의 알라야식의 개념은, 당시 공(空)과 유(有)의 대립이나 불성(佛性)을 둘러싼 논쟁적 상황 속에서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와 중국의 법장(法藏, 643~712)과 같은 불교 논사들이 주목한 개념이었다. 대표적인 기신론 주석가로 알려져 있는 원효와 법장은 모두 여래장과 생멸심이 비일비이(非⼀非異)의 상태로 화합한 것으로서의 알라야식 개념을 바탕으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의 불이원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 두 논사가 공통적으로 여래장과 생멸심의 불이원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흔히 간과되고 있는 점은 불이원성에 대한 이들의 해석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원효는 ‘비일비이’의 해석에 있어서 ‘비일(非⼀)’과 ‘비이(非異)’라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를 ‘비일’과 ‘비이’의 상태를 극복한 후에 도출되는 새로운 상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원효가 ‘비일’ 및 ‘비이’의 경우를 ‘비일비이’와 공존하는 것으로 보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의 상태에서는 ‘비일’ 혹은 ‘비이’의 상태가 결코 공존할 수 없다고 보는 두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불이원성에 대한 두 논사의 해석의 상이성은 당시 논쟁의 중심이 되었던 중관, 신유식, 구유식 사상에 대한 두 논사의 입장의 차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Since modern scholarship
on Wŏnch’ŭk began,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his Yogācāra
thought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The dishonorable image of
Wŏnch’ŭk described in the Sung Kao-seng chuan has been reevaluated
based on a discovery of new biographical materials, and Wŏnch’ŭk’s
scholarly position in modern times has been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aramārtha’s (499∼569), an exegete of Old Yogācāra. In the
1990’s, a new perspective was raised, positing that Wŏnch’ŭk’s
doctrinal position was based on the New Yogācāra, in contrast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While this novel argument trul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Wŏnch’ŭk’s doctrinal views, it
fell short of explaining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Wŏnch’ŭk and
Ji 基(632~682). Given that we cannot determine Wŏnch’ŭk’s
commitment to either the Old or New Yogācāra, this article seek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Wŏnch’ŭk’s scholasticism may be explained.
To do this, first I critically review previous scholarship on Wŏnch’ŭk,
examine the problems unresolved in the current research literature and
finally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본 논문에서는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이분법
적 구도를 전제로 하여 양자택일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
고,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원측이 양측의 입장을 모두 평등하게 수용하고 있
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는 세 부류의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원측 연구에 대한 시
각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신라 출신 승려로서 동아시아 유식전통의 격동기에 살다간 원측에 대한 학
계의 해석은 이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될 당시부터 이분법적 구도 하에 진
행되었다. 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원측의 전기문이 왜곡된 것이라는 사실
은 서명파와 자은파의 대립을 배경으로 한다는 인식 하에 고찰되어졌고, 원측
저술에 구유식 논사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의 인용문이 다수 포함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원측의 주요 사상적 기반이 신유식이 아니라 구
유식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원측 저술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원측이 신유식 사상에 충실하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고 현재까
지 원측 교학의 신유식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원
측과 진제의 사상적 연계성이나 원측과 신유식 논사 자은기(慈恩基, 632∼
682)의 견해의 상이성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어 구유식과 신유식 가운데 원측
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유식과 신유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 원측 사상에 대해 양자택
일적 해석 방식을 취한 지금까지의 시도와 달리, 원측이 구유식과 신유식의 양
측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원측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원측이 어떻게 모두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시각 하에 조
망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구유식과 신유
식의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제점이 학계에서 지적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더 주목된다. 이 각각의 새로운 시각 하에
서 원측이 어떤 근거와 이유를 가지고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원측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신라 景德王代의 승려 眞表(8세기 경)는 金山寺를 중창하고 方等戒壇에서 菩薩戒를 널리 베푼 律師로 알려져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相宗 계통 승려로 전해져 온다. 하지만 僧傳에 기록된 진표에 대한 자료는 그의 신이한 행적이나 그가 행한 亡身懺이라는 특이한 懺法, 그리고 『占察善惡業報經』을 바탕으로 木輪相法에 의한 占을 행한 것이 중심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진표와 거의 동시대인으로서 신라의 瑜伽祖로 알려져 있는 大賢(8세기)을 위시한 유식학 승려들이 보통 그들의 교학적 사상이나 저술을 중심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매우 상이하다. 이와 같이 진표의 행적은 교학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고, 게다가 진표의 저술로 알려진 것은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진표의 사상적 성향을 가능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가 의지한 『占察經』에 주목하려 한다. 먼저 율사로서의 진표가 의지한 『점찰경』과 방등계단의 사상적 연계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점찰경』의 참회와 수계 이론의 신이성에 대해 논의한 후, 이 경과 『大乘起信論』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율사로서의 진표가 바탕을 둔 사상적 기조가 어떠한 것이었나를 논의해 본다.
신라승 둔륜(遁倫 혹은 道倫, ca. 650~730)의 『유가론기(瑜伽論記)』는 유식학의 근본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 대한 현존하는 몇 가지 주석서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유가론(瑜伽論)』100권 전체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로서 중요하다. 특히 『유가론기』에는 지금은 일실된 신라논사들의 『유가론』 주석서의 설을 포함하여 이전 논사들의 학설들이 집성되어 있어 당시 유식논사들의 산일된 주장과 사상적 이슈들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임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가론기』의 사상적 중요성에 대한 학계의 초기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유가론기』와 이 논서에 등장하는 신라 논사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이것은 『유가론기』가 유식학의 방대한 교리체계를 정리한『유가론)』의 주석서라는 점 이외에, 『유가론기』의 사상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당대 유식학의 교리적 논쟁점들에 대한 선행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가론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자각 하에, 이에 대한 선행 작업으로서 신라 유식학과 『유가론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상세히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남은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https://www.cambridgescholars.com/product/978-1-5275-9189-9)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reconciliatory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embracing a broad spectrum of doctrinal perspectives. He sought to
reconcile the tensions between the Madhyamaka school’s notion of
emptiness (空) and the Yogācāra school's emphasis on existence (有),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相) emphasized by Yogācāra
thought. Rather than privileging one doctrine over another or attempting
to establish a hierarchy between them, Wŏnhyo acknowledged the unique
significance of each school and proposed a framework that allowed their
coexistence. This reconciliatory approach is exemplified in his various
writings, one of which is his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titled Hae simmil gyŏng so 解深密經疏. Although the main body of this
commentary has been lost, the surviving preface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Wŏnhyo’s intellectual stance. In this preface, he identifies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as a definitive scripture (yoŭi kyŏng, 了義經,
nītārtha -sūtra ), reflecting his deep respect for Yogācāra thought and
underscoring the central role it played in his philosophical framework.
A significant question arises regarding the response of
contemporaneous scholars from the Faxiang/Pŏpsang/Hossō (法相)
tradition, the East Asian counterpart of Indian Yogācāra school, to
Wŏnhyo’s interpretation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ir generally critical
stance toward both Madhyamak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These
critiques often appeared in the context of debates over emptiness (空)
versus existence (有), or intrinsic nature (性) of tathāgatagarbha versus
phenomenal aspects (相) emphasized in Yogācāra. While Faxiang scholars
are generally recognized for their opposition to these views, their
responses to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are less clearly articulated.
Previous scholarship on Wŏnhyo has primarily centered on his
reconciliatory views, with comparatively less emphasis on situating his
thought within the broader intellectual landscape of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at gap by investigating how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was received by Japanese Hossō scholars. By analyzing
the varied attitudes that Japanese Hossō scholars, such as Zenju (善珠,
723-797), Zōshun (蔵俊, 1104-1180), and Kiben (基弁, 1722-1791), exhibited when citing Wŏnhyo’s Hae simmil kyŏng so,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position of Wŏnhyo’s thought within the Hossō tradition in Japa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paper seeks to illuminate the diverse
currents of thought within the Faxiang/Pŏpsang/Hossō tradition, which
often transcended the simplistic dichotomies of emptiness versus existence or tathāgatagarbha versus Yogācāra. Building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urther aims to contextualize Wŏnhyo’s reconciliatory approach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
신라 원효(元曉, 617-686)는 특정 불교 이론이나 학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포괄적으로 수용한 불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如來藏)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중관과 유식 간의 공(空)과 유(有)의 대립 및 여래장과 유식 간의 성
(性)과 상(相)의 대립을 화해하려 하였다. 원효의 화해 사상의 특징은
여래장사상과 함께 중관사상 및 유식사상 각각의 개별적 의의를 모두
인정하여 이들이 공존하는 구도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두 사상 중
하나를 양자택일하거나 혹은 사상 간의 우열을 가림으로써 논쟁을 해
결하려 한 것이 아니라 각 사상들이 지닌 의의와 가치를 모두 인정하
였다. 이러한 원효의 화해 사상은 그가 다방면의 불교 사상에 대한 저
술을 남긴 사실에도 나타나는데, 그 저술들 중 하나가 대표적 유식경전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대한 주석인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이
다. 이 저술의 본문은 일실되었지만, 현존하는 서문(序文)에서 해심밀
경이 요의경(了義經)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통해 유식사상을 근본적으
로 중시하고 있는 원효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해심밀경을 요의경으로 보는 원효의 관점에 대해 당시
법상유식논사들은 어떠한 입장을 가졌을까? 일반적으로 공과 유, 혹은
성과 상 간의 논쟁 구도에서 법상유식가들은 중관 및 여래장사상에 대
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식사상뿐 아니라
중관사상 및 여래장사상 또한 모두 받아들인 원효의 입장에 대해서 법
상유식논사들이 어떠한 태도를 취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기존의 원효 연구는 주로 원효의 화해 사상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동아시아 불교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사상적
위치 및 의미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법상논사들의 저술에 인용된 원효의 해
심밀경소의 잔간들을 단초로, 원효 사상이 일본 법상논사들에게 어떻
게 받아들여졌는가를 고찰해 보려 한다. 즉, 젠주(善珠, 723-797), 조슌
(蔵俊, 1104-1180), 기벤(基弁, 1722-1791)과 같은 일본 법상논사들이 원
효의 해심밀경소를 인용하는 태도가 일관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
여, 일본 법상 사상계 내에서 원효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법상종 내에 공유대립 혹은 성상대립이라는 단순한 이분법
적 도식을 넘어서는 다양한 사상 조류가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고, 더
불어 원효의 사상을 보다 넓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 속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Sŏngch’ŏl (1912-1993), criticized Chinul’s (知訥, 1158-1210) idea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
漸修) in favor of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cultivation” (tono tonsu, 頓悟頓修), the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sudden” and “gradual” for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n Chinul’s thought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is debate is whether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kanhwa Sŏn (看話禪) practice, which Chinul emphasized
in his later year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awakening” (haeo, 解悟) attained through intellectual
understanding (chihae, 知解) of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while the
kanhwa Sŏn is considered a practice that transcends an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ds directly to “realization-awakening” (chŭngo, 證
悟). Advocates of the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cultivation approach strongly reject intellectual elements in enlightenment,
den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They argue that Chinul’s emphasis
on kanhwa Sŏn in his later years is attributed to a transformative shift
in his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Chinul's
philosophical framework seek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kanhwa Sŏn. From
this perspective, they assert that although understanding-awakening is
obtained through intellectual elements, it ultimately culminates in the
realization-awakening. Ultimately,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can be
approached as a question of whether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are consistent, centered
on the role and legitimacy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n the polemical situa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the understanding-awakening to be
contrasted with the realization-awakening, being either completely
disregarded or merely regarded as an incomplete realiz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first, the current views on these two types of awake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underlie
awakening and cultivation. Subsequently, Chinul’s view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is reevaluated in light of the concept of
“nature-origination” (sŏnggi, 性起). Based on this analysis, the
soter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s discussed, and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is addressed.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만년에 간화선을 강조한 것도 그가 사상적 전환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지눌의 사상체계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적 연결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해오가 비록 지적 이해를 매개로 얻어지지만 점수를 거쳐 결국 증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돈점논쟁은 깨달음과 닦음에 있어서 지해(知解)의 역할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이 정합성을 가지는가의 구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사상적 연결 문제를 해오와 증오의 의미와 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논의해 보려 한다. 논쟁의 구도 속에서 해오는 증오와 대비되어 전혀 인정되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불완전한 깨달음으로만 여겨진 경향이 있다. 먼저 기존의 해오와 증오에 대한 해석을 깨달음과 닦음에 내재된 근본적 문제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리고 나서 지눌이 제시하는 해오의 의미를 성기(性起)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조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오와 증오의 수증론적 관계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행의 연결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성향을 지닌 불교 논사로 평가되어 왔다. 현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부터 새로운 경전을 수입하여 번역한 이래 유식(唯識)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 혹은 삼승(三乘, tri -yāna )과 일승(一乘, eka -yāna ) 간
의 이론적 긴장이 형성되었고, 이 둘 중 어느 입장에 더 중점을 두는가
에 따라 당시 사상적 진영은 크게 둘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원효와 대현은 양분된 두 입장을 모두 받아들인 논사들로
알려져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 대한 자신의 주석인
기신론소(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여래장
개념의 설명에 법상유식(法相唯識)의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이 두 이론
이 서로 상충되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유식 논사로 알려져 있으면서도
불성(佛性) 사상을 받아들인 대현 또한 성(性)과 상(相), 혹은 일승과 삼승의 입장을 모두 수용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원효와 대현
의 이러한 사상적 입장을 일률적 구도 하에서 해석할 수는 없다. 왜냐
하면 설령 이들이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사상적 입장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
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승과 삼승에 대한 원효와 대현의 사상적 입장을
고찰함으로써 지금까지 그다지 밝혀져 있지 않은 이들의 사상적 차별
성의 문제를 논의하려 한다. 원효와 대현의 현존 저술 가운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주석을 남긴 범망경(梵網經)에 대한 입장을 비교함으로
써 이들의 사상적 상이성을 논의한다. 또한, 이 논의 과정을 통해 전통
적 범망경 주석가들이 일승 혹은 삼승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따라 범망경 주석 부분을 달리 하고 있다는 문제 또한 검토한다. 이
를 바탕으로, 삼승과 일승 모두를 수용하는 화합적 견해 또한 사상가의
기본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나아가
고대 동아시아의 사상 구도에 내재한 유기적 다면성 문제에 대한 재조
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Wŏnhyo (元曉, 617-686) and Taehyŏn (大賢, c. 8th century), prominent
Buddhist exegetes of the Silla dynasty,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had similar doctrinal views. Following Xuanzang’s (玄奘, 602~664)
translation of the Buddhist literature that had newly been imported from
India, doctrinal tension began to emerge between Yogācāra and
tathāgatagarbha thoughts, or the three vehicles (tri -yāna ) and one vehicle
(eka -yāna ) theories.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positions was
emphasized more, the views of contemporary Buddhist exegetes were
largely divided. In this polemic situation, Wŏnhyo and Taehyŏn are known
for their somehow paradoxic embracement of the two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In his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
Wŏnhyo draws upon various Yogācāra texts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 Taehyŏn is also known for his acceptance of both
notions of the nature (K.sŏng 性) and characteristics (K. sang 相), or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However, it cannot simply be said that
their views are similar to each other,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fundamental doctrinal posi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hitherto
unexplored issue of how Wŏnhyo and Taehyŏn differed in their views,
by observing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theories.
To do so, I will comparativly examine Wŏnhyo and Taehyŏn’s views on
the Brahmāʼs Net Sutra, on which they both wrote commentaries. In the
process, I will also discuss the ongoing issue of why traditional
commentators of the Brahmāʼs Net Sutra , such as Zhiyi (538-597), Ŭijŏk
(c. seventh century), Sŭngjang (c. seventh century), Fazang (643-712), have commented on different parts of the Sutra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on the one vehicle or three vehicles theory. Based on this, I argue that two types of ecumenical position may be possible on the one vehicle
and three vehicles, depending on the exegetes’ doctrinal perspectives.
Characteristics school. In East Asia, however, ‘Characteristics school (Xiang zong)’, i.e.,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s regarded as doctrinally antagonistic against the so-called ‘Nature school (Xing zong)’, such as Madhayamaka, Tathāgatagrbha, and Hwaŏm (C. Huayan). In this regard, Taehyŏn’s doctrinal position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his thought contains both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The conflict between Taehyŏn’s thought and the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requires a new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na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these two concepts, by analyzing his commentaries on the two
representative treatises 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that is,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respectively.
신라 대현(⼤賢, 8세기 경)은 유식논사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유식 은 중국의 현장(⽞奘, 602-664)의 새로운 번역[新譯]을 바탕으로 수립된 법상종(法相宗)과 그 이전 번역[舊譯]에 근거하여 수립된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분 하에 현장 이후 유식 전통에 속하는 대현은 보통 법상종 논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법상종을 가리키는 소위 ‘상종(相宗)’과 중관 및 여래장 사상으로 대표되는 ‘성종(性宗)’이 상반되는 사상 체계라고 여겨져 왔고, 이러한 전통 하에 이 두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대현의 사상적 성향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대현의 사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적 논사들뿐 아니라 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성과 상을 상반된 이론 체계로 보는 사상 구도 하에서 대현의 ‘복합적’
사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성과 상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상종과 성종의 대표적 논서로 각각 알려진 성유식론』(成唯識論)과 대승기신론』(⼤乘起信論)에 대한 대현의 주석서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乘起信論內義略探記)를 고찰함으로써, 성과 상에 대한 대현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전형적인 이분법 구도를 재조명한다. 또한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의 분석 과정에서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효
(元曉, 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입장과 대현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 내에서 유식논사로서 대현의 사상적 위치를 가늠해 본다.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핵심적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승기신론(⼤乘起信論)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이라는 두 개념을 결합시킨다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식 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라야식이 생멸하는 망식(妄識)으로 여겨지지만, 기신론에서 알라야식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여래장과 생멸심(生滅心)이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非異]의 상태의 화합식(和合識)으로 설해져 있다. 불생불멸과 생멸, 혹은 진(眞)과 망(妄)의 화합식으로서의 알라야식의 개념은, 당시 공(空)과 유(有)의 대립이나 불성(佛性)을 둘러싼 논쟁적 상황 속에서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와 중국의 법장(法藏, 643~712)과 같은 불교 논사들이 주목한 개념이었다. 대표적인 기신론 주석가로 알려져 있는 원효와 법장은 모두 여래장과 생멸심이 비일비이(非⼀非異)의 상태로 화합한 것으로서의 알라야식 개념을 바탕으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의 불이원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 두 논사가 공통적으로 여래장과 생멸심의 불이원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흔히 간과되고 있는 점은 불이원성에 대한 이들의 해석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원효는 ‘비일비이’의 해석에 있어서 ‘비일(非⼀)’과 ‘비이(非異)’라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를 ‘비일’과 ‘비이’의 상태를 극복한 후에 도출되는 새로운 상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원효가 ‘비일’ 및 ‘비이’의 경우를 ‘비일비이’와 공존하는 것으로 보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의 상태에서는 ‘비일’ 혹은 ‘비이’의 상태가 결코 공존할 수 없다고 보는 두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불이원성에 대한 두 논사의 해석의 상이성은 당시 논쟁의 중심이 되었던 중관, 신유식, 구유식 사상에 대한 두 논사의 입장의 차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Since modern scholarship
on Wŏnch’ŭk began,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his Yogācāra
thought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The dishonorable image of
Wŏnch’ŭk described in the Sung Kao-seng chuan has been reevaluated
based on a discovery of new biographical materials, and Wŏnch’ŭk’s
scholarly position in modern times has been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aramārtha’s (499∼569), an exegete of Old Yogācāra. In the
1990’s, a new perspective was raised, positing that Wŏnch’ŭk’s
doctrinal position was based on the New Yogācāra, in contrast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While this novel argument trul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Wŏnch’ŭk’s doctrinal views, it
fell short of explaining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Wŏnch’ŭk and
Ji 基(632~682). Given that we cannot determine Wŏnch’ŭk’s
commitment to either the Old or New Yogācāra, this article seek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Wŏnch’ŭk’s scholasticism may be explained.
To do this, first I critically review previous scholarship on Wŏnch’ŭk,
examine the problems unresolved in the current research literature and
finally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본 논문에서는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이분법
적 구도를 전제로 하여 양자택일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
고,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원측이 양측의 입장을 모두 평등하게 수용하고 있
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는 세 부류의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원측 연구에 대한 시
각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신라 출신 승려로서 동아시아 유식전통의 격동기에 살다간 원측에 대한 학
계의 해석은 이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될 당시부터 이분법적 구도 하에 진
행되었다. 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원측의 전기문이 왜곡된 것이라는 사실
은 서명파와 자은파의 대립을 배경으로 한다는 인식 하에 고찰되어졌고, 원측
저술에 구유식 논사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의 인용문이 다수 포함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원측의 주요 사상적 기반이 신유식이 아니라 구
유식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원측 저술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원측이 신유식 사상에 충실하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고 현재까
지 원측 교학의 신유식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원
측과 진제의 사상적 연계성이나 원측과 신유식 논사 자은기(慈恩基, 632∼
682)의 견해의 상이성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어 구유식과 신유식 가운데 원측
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유식과 신유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 원측 사상에 대해 양자택
일적 해석 방식을 취한 지금까지의 시도와 달리, 원측이 구유식과 신유식의 양
측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원측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원측이 어떻게 모두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시각 하에 조
망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구유식과 신유
식의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제점이 학계에서 지적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더 주목된다. 이 각각의 새로운 시각 하에
서 원측이 어떤 근거와 이유를 가지고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원측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신라 景德王代의 승려 眞表(8세기 경)는 金山寺를 중창하고 方等戒壇에서 菩薩戒를 널리 베푼 律師로 알려져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相宗 계통 승려로 전해져 온다. 하지만 僧傳에 기록된 진표에 대한 자료는 그의 신이한 행적이나 그가 행한 亡身懺이라는 특이한 懺法, 그리고 『占察善惡業報經』을 바탕으로 木輪相法에 의한 占을 행한 것이 중심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진표와 거의 동시대인으로서 신라의 瑜伽祖로 알려져 있는 大賢(8세기)을 위시한 유식학 승려들이 보통 그들의 교학적 사상이나 저술을 중심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매우 상이하다. 이와 같이 진표의 행적은 교학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고, 게다가 진표의 저술로 알려진 것은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진표의 사상적 성향을 가능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가 의지한 『占察經』에 주목하려 한다. 먼저 율사로서의 진표가 의지한 『점찰경』과 방등계단의 사상적 연계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점찰경』의 참회와 수계 이론의 신이성에 대해 논의한 후, 이 경과 『大乘起信論』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율사로서의 진표가 바탕을 둔 사상적 기조가 어떠한 것이었나를 논의해 본다.
신라승 둔륜(遁倫 혹은 道倫, ca. 650~730)의 『유가론기(瑜伽論記)』는 유식학의 근본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 대한 현존하는 몇 가지 주석서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유가론(瑜伽論)』100권 전체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로서 중요하다. 특히 『유가론기』에는 지금은 일실된 신라논사들의 『유가론』 주석서의 설을 포함하여 이전 논사들의 학설들이 집성되어 있어 당시 유식논사들의 산일된 주장과 사상적 이슈들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임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가론기』의 사상적 중요성에 대한 학계의 초기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유가론기』와 이 논서에 등장하는 신라 논사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이것은 『유가론기』가 유식학의 방대한 교리체계를 정리한『유가론)』의 주석서라는 점 이외에, 『유가론기』의 사상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당대 유식학의 교리적 논쟁점들에 대한 선행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가론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자각 하에, 이에 대한 선행 작업으로서 신라 유식학과 『유가론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상세히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남은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